로봇관련주

티로보틱스 (117730) - 로봇 시대를 기다리며

상승로켓 2023. 12. 18. 17:45

1. 회사 개요

설립 배경과 주요 사업

  • 설립연도: 2004년
  • 주요 사업: 티로보틱스는 클린 환경 물류 이송용 진공로봇 및 진공시스템 솔루션 분야 전문 업체입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반도체, 평판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OLED 등의 제조 분야에 사용되는 진공로봇 및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연구 개발 및 글로벌 선도

  • 연구 개발: 티로보틱스는 지속적인 연구와 기술 개발을 통해 8세대 진공로봇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며, 국내 유일의 중대형 진공로봇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사업 확장 및 전략

  • 사업 확장: 2004년 설립 이후 글로벌 진공로봇 전문기업에서 자율주행과 의료재활 분야에 대비한 종합로봇기업으로 변화 중입니다.
  • 주요 사업 부문: 글로벌 FPD/Semi제조사 및 장비사를 고객으로 하는 진공로봇 부문과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스마트팩토리 및 자율주행로봇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자율주행로봇 부문: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로봇과 일본 ZMP와의 협력을 통해 확보한 자율주행 솔루션으로 시장을 적극 공략 중입니다.

2. 최근 시장 동향

티로보틱스 관련 시장 전망: 푸드 테크 자동화, 의료재활,  웨어러블 로봇

  1. 푸드 테크 자동화 로봇 시장:
    o 현재 규모: 2022년 기준으로 글로벌 푸드 로보틱스 시장은 약 약 2조 7,300억 원.
    o 2023년 전망: 2023년에는 약 2조 9,640억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CAGR은 13.19%.
    o 장기 전망: 2028년까지 약 5조 2,000억 원, 2030년까지 약 7조 1,5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CAGR은 각각 10.2%와 12.8%.
  2. 의료재활 로봇 시장:
    o 의료재활 로봇 시장은 고령화 인구 증가, 재활 필요성 증가로 인해 성장 중.
    o 첨단 기술의 통합으로 더욱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재활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됨.
    o 재활 로봇 시장은 2023년부터 2035년까지 연간 약 23%의 CAGR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2년 시장 규모는 8억 달러로 추정되며, 2035년까지 이 시장은 2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3. 웨어러블 로봇 시장:
    o 웨어러블 로봇 시장은 제조, 물류,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증가 중.
    o 안전 강화, 효율성 증대, 재활 지원 등의 목적으로 채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o 웨어러블 로봇 및 외골격 시장은 2023년에 약 1.93조 원(USD 1.93 Billion)에서 2028년에는 약 7.76조 원(USD 7.76 Billion)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시장은 2023년부터 2028년까지 연간 약 32.05%의 CAGR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기술 발전과 응용 분야의 확대로 인해 상당한 성장이 예측됩니다.

3. 재무 성과 (2023.12월 현재)

  • 시가총액: 3,476억 원
  • 시가총액 순위: 코스닥 215위
  • 상장주식수: 17,773,193주
  • 액면가/매매단위: 500원/1주
  • 외국인 보유 현황:
    • 한도주식수(A): 17,773,193주
    • 보유주식수(B): 177,416주
    • 소진율(B/A): 1.00%
  • 52주 최고/최저: 39,500원/5,850원

티로보틱스의 최근 재무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매출액: 2022년 567억원에서 2023년 예상 457억원으로 감소 예상.
  • 영업이익: 지속적인 적자 기록. 2022년 -23억원, 2023년 예상 -37억원.
  • 당기순이익: 2022년 -13억원, 2023년 3분기 -36억원으로 적자 지속.
  • 영업이익률 및 순이익률: 각각 부정적인 수치 지속.
  • 부채비율: 높은 부채비율(2023년 3분기 1,284.82%).
  • 당좌비율: 유동성 관련 지표인 당좌비율 또한 낮은 편.
  • 유보율: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
  • EPS, PER, BPS, PBR: EPS와 PER는 부정적인 수치, BPS와 PBR은 시장가치 대비 자산가치가 낮은 수준을 보임.

4. 사업 전략 및 전망

  • 티로보틱스는 디스플레이용 진공로봇 생산을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이차전지 물류자동화 시스템 및 자율주행 로봇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회사의 기술 다각화와 사업 영역 확장을 반영하는 중요한 동향입니다​​.
  • 티로보틱스는 OLED 진공로봇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으며, 진공이송모듈과 진공로봇이 주요 매출원입니다. 헬스케어 웨어러블, 푸드테크, 자율주행 로봇 분야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자율주행 로봇 분야에서 일본 ZMP와의 협력과 모션디바이스 인수를 통해 기술 고도화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티로보틱스는 헬스케어, 자율주행 분야에서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로봇 개발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SK와의 물류자동화시스템 수주를 계기로 회사의 기술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추가 수주 및 고객사 다변화를 위해 노력 중입니다.

5. 투자자들을 위한 메시지

  • 재무 안정성 우려: 지속적인 영업 및 순이익 적자, 높은 부채비율, 낮은 당좌비율은 재무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 시장 가치 평가: PER 및 PBR 지표는 투자자들에게 비교적 부정적인 시장 가치 평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장기적 위험: 유보율 감소는 회사의 내부적인 성장 가능성과 재투자 능력이 낮아짐을 시사합니다.

2023년 12월 현재 최고점 39500원대비 50%하락한 19560원으로, 일봉은 18000원대에서 지지하며 반등을 모색하는 양상이며, 주봉챠트에서 60일 이동평균선에 근접하며 이평선을 테스트할 것으로 보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