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클론의 혁신적인 CAR-T 치료제, 주가 레벨업의 신호탄?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새로운 종목을 발굴해봐야 현재 여러 주식에 발이 묶여, 주식을 살 돈이 없는 관계로 의미가 없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제가 직접 매수에 나서거나 매수의사가 없으면서 종목에 대해 글을 쓰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앱클론에 대해 다시 글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보유중).
이전에 작성한 저의 글은 시간순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https://stock-road-82.tistory.com/5
앱클론(174900)
최초 작성일: 2023.12.19. 종합 분석 요약 앱클론은 중소규모의 바이오/제약 기업으로, 현재 순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주가는 상당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시장에서는 자산가치
stock-road-82.tistory.com
[차트가 알려주는 이야기-1]
2023년 12월 19일 현재 가격과 기간조정을 거치며 11000원을 지지하는 중이며 5,20, 60, 120일 이평선이 수렴하고 있는 양상이다. 곧 주가가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모양새이다. 다행히 미국 금리상승이 멈추는 신호를 보이고 있는 등 외적인 경제 환경이 다소나마 안정을 찾아가고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것도 좋을 것 같다.
https://stock-road-82.tistory.com/26
앱클론 - 기관, 연기금 연속 순매수: 상승 준비중?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저의 매수 종목에 들어있는 앱클론의 투자자별 매매현황을 1-2주전부터 심상치 않게 보고 있습니다. 기관, 연기금등에서 조금씩 매일 매수 중인 것을 알게 되었습
stock-road-82.tistory.com
[차트가 알려주는 이야기 -2]
2024.2월 13일 현재 1만4천원대 주가로 기관이 15일 연속매수에 대한 글이었습니다. 120선을 지지하며 아주 조금씩 우상향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표가 나지 않게 매수중인 셈이죠.
아마도 기관 및 연기금의 매수가 완료될 때 쯤 주가의 움직임이 커지지 않을까 전망해봅니다...
https://stock-road-82.tistory.com/27
앱클론 - 기관, 연기금 연속매수의 화답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지난번 글에서 앱클론을 기관과 연기금 등이 연속 순매수한 이후 주가가 변동이 생길 것이라 예상하는 글을 올렸습니다. https://stock-road-82.tistory.com/26 앱클론 - 기관
stock-road-82.tistory.com
2024년 5월 24일 금요일, 다음주에 전환사채가 추가 상장됨에도 불구하고 기관과 외국인이 무려 38만주이상을 매수하는 그야말로 폭풍매수세를 보였습니다.

주가도 제가 처음 리뷰한 23년12월 1만1천원대에서 24년5월24일 종가 19550원으로 거의 두 배 가까이 올랐네요.
과연 월요일에 어떤 주가 흐름을 보여줄지 초미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전환사채 출현으로 하락할 지, 아니면 기관, 외국인의 폭풍매수는 다가올 큰 호재의 전조인지, 그야말로 흥미로운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미국 특허취득만으로 이런 매수세를 보였다고 보긴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최근 기사화된 호재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 앱클론은 최근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성과를 발표했습니다. 먼저, 앱클론의 CAR-T 치료제 후보물질 'AT101'이 임상 1상에서 암세포가 사라지는 '완전 관해'를 확인했습니다. 이는 혈액암 환자들에게 큰 희망을 주는 소식입니다(인터넷뉴스 한경닷컴) (앱클론(주)).
- 또한, 앱클론은 최근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AT501'과 'AM105'라는 혁신적인 항암치료제 플랫폼 기술을 발표했습니다. AT501은 고형암을 타겟으로 한 CAR-T 치료제이며, 암 표적을 찾아내 추적하는 새로운 '스위치'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 CAR-T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AM105는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종양 단백질과 면역자극인자에 동시에 결합해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합니다 (앱클론(주)) (아이뉴스24).
- 또한, 앱클론이 중국 헨리우스 바이오텍에 기술이전한 항체 치료제 'HLX22'가 임상 2상에서 기존 치료제 대비 뛰어난 효과를 보였습니다. 이는 HER2 양성 위암 치료제로, 상업화 시 로열티 수익이 기대됩니다 (앱클론(주))
HLB의 FDA 승인 불발로 인한 바이오제약의 약세흐름에 반전과 투심을 회복할 수 있는 좋은 소식이 들려오면 좋겠습니다.
이상 상승로켓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