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말에 공부는 강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배와 같다해서 계속 나아가지 않으면 뒤로 밀려간다는 말이 있습니다.
學問(학문)은 如逆水行舟(여역수행주)하여 不進則退(부진즉퇴)니라.
공부뿐만 아니라 인생도 뭔가 하지 않으면 유지되는 게 아니라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막연한 실천과 의지만으로는 지속적인 변화를 이루기 어렵습니다. 체계적인 프레임워크에 담아서 진행하지 않으면 NASSS와 같은 현상, 즉 초기 채택 실패(Nonadoption)나 중도 포기(Abandonment) 같은 문제들에 지배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번에 NASSS 프레임워크를 인생에 적용해보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이를 통해 변화의 과정을 더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고자 합니다.
NASSS 프레임워크?
NASSS의 각 글자는 디지털 헬스 기술 도입 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도전과제들을 나타냅니다: N - Nonadoption (비채택)
사용자들이 새로운 기술을 처음부터 받아들이지 않는 현상
예: 의료진이 새로운 디지털 플랫폼 사용을 거부
A - Abandonment (포기)
처음에는 채택했으나 지속적 사용에 실패하는 현상
예: 환자가 처음에는 모바일 건강관리 앱을 사용하다가 중단
S - Scale-up (규모 확대)
성공적인 파일럿에서 더 큰 규모로 확장하는 과정의 어려움
예: 한 병원에서 성공한 시스템을 병원 그룹 전체로 확장하는 과정
S - Spread (확산)
다른 맥락이나 환경으로 성공적으로 전파되는 것의 어려움
예: 도시 병원의 성공 사례를 농촌 지역에 적용하는 과정
S - Sustainability (지속가능성)
장기적으로 혁신을 유지하는 것의 어려움
예: 초기 투자 이후의 지속적인 운영과 개선 유지
이 프레임워크가 이런 이름을 가진 이유는:
디지털 헬스 프로젝트들이 자주 직면하는 실패 지점들을 명시적으로 드러냄
각 단계별 도전과제를 인식하고 대비할 수 있게 함
성공적인 구현을 위해 고려해야 할 핵심 영역들을 포괄함
이러한 도전과제들을 미리 인식하고 대응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디지털 헬스 기술의 성공적인 도입과 지속가능한 운영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인생의 변화 어떻게 이끌어낼 것인가?
NASSS 프레임워크를 개인의 Life Transformation에 맞게 재구성해보겠습니다.
Current State (기존 Condition 대신)
현재의 삶의 상태
변화가 필요한 영역 파악
개선이 필요한 습관이나 패턴
Tools & Methods (기존 Technology 대신)
변화를 위한 도구들
새로운 습관 형성 방법
트래킹 시스템
Value Proposition -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요? 가치가 도출되어야 ...
변화를 통해 얻고자 하는 가치
기대되는 삶의 질 향상
구체적인 목표와 성과
Support System (기존 Adopter System 대신)
자기 자신
가족과 친구
멘토나 코치
같은 목표를 가진 커뮤니티
Environment Setup (기존 Organization 대신)
물리적 환경 조성
루틴과 시스템 구축
장애물 제거와 촉진요소 배치
Life Context (기존 Wider System 대신)
직장/학교 환경
사회적 관계
문화적 맥락
시간적/경제적 자원
Integration & Evolution (기존 Embedding and Adapting 대신)
새로운 습관의 정착
지속적인 조정과 발전
장기적 성장 관리
PDCA 사이클과 함께:
Plan: 변화 계획 수립
Do: 새로운 습관과 시스템 실행
Check: 진행 상황 모니터링
Act: 피드백을 바탕으로 조정
이렇게 재구성된 프레임워크는 개인의 변화 과정에서:
실패 위험 요인 식별
성공적인 습관 형성 전략
지속가능한 변화 관리 를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게 됩니다.
이는 단순한 목표 설정이나 실행 계획을 넘어서, 변화의 전체 생태계를 고려한 종합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할 것 같습니다.
우리가 PDCA (Plan-Do-Check-Act)로 NASSS(무시, 포기, 편협, 일관성 없음)를 잘 넘기면 삶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