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빅테크의 AI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확대가 가져오는 나비효과 ! ESS 수요 증가
최근 글로벌 빅테크 업체들이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인프라를 대폭 확대하면서 에너지 저장 장치(ESS)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친환경 에너지 전환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ESS 설치는 필수적입니다. 다시 2차전지 관련주에 봄바람이 불어오는 것인가요?
글로벌 빅테크의 AI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확대와 ESS 수요 증가
1. 서론
글로벌 빅테크 업체들이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인프라를 대폭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확장이 에너지 저장 장치(ESS) 수요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합니다. AI의 발전과 함께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ESS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2. AI 데이터센터에서 ESS의 중요성
AI 데이터센터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ESS를 필수적으로 사용합니다.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ESS는 에너지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 증가
AI의 발전으로 인해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AI 관련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가 2022년부터 2030년까지 세 배 증가하여 390 테라와트시(TWh)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TechBlog ComSoc). 이는 미국 전체 예상 전력 수요의 약 7.5%에 해당합니다 (TechBlog ComSoc).

Morgan Stanley의 연구에 따르면, AI로 인한 전력 수요는 연평균 7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데이터센터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Morgan Stanley). 이러한 전력 수요 증가는 ESS와 같은 에너지 저장 솔루션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합니다.
글로벌 빅테크의 AI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확대와 ESS 수요 증가
3. ESS 수요 및 설치 동향
최근 통계에 따르면, ESS 수요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우드 맥킨지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미국 에너지 저장 시장은 4.8기가와트(GW)의 용량을 설치하며 기록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며, 2023년 4분기에는 4.2GW가 설치되었습니다 (BloombergNEF) (Grand View Research). 이러한 증가의 주된 요인으로는 배터리 가격 하락,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의 확대, 그리고 정책적 지원 등이 있습니다.
ESS 수요는 연평균 27%의 성장률을 보이며 2030년까지 연간 110GW/372GWh의 설치량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BloombergNEF) (Energy Storage News). 이는 에너지 저장 솔루션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4. 배터리 가격 하락의 영향
ESS 비용의 약 90%를 차지하는 배터리 가격이 하락하면서 ESS 설치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배터리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ESS 설치 비용이 낮아지고, 이는 재생 가능 에너지원과의 통합을 촉진하여 에너지 저장 솔루션의 경제성을 높입니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와 텍사스에서는 2023년 4분기에만 77%의 설치량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pv magazine International). 2021년에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가격이 평균 $132/kWh였지만, 2030년까지는 $80/kWh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Energy Storage News). 이러한 배터리 가격 하락은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는 등의 구체적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5. 국내 배터리 제조업체의 대응
국내 배터리 3사도 이와 같은 추세에 발맞추어 전기차(EV)용 배터리 생산 라인을 ESS용으로 전환하며 배터리 공급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애리조나 주 퀸 크릭에 대규모 ESS 배터리 생산 공장을 설립하고 있으며, 2026년 첫 분기부터 생산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LG). 이 공장은 연간 16GWh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ESS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로 평가됩니다. 또한,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전기차(EV) 배터리 생산에서 ESS 배터리 생산으로 전환하여 시장 대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삼성SDI 역시 ESS 시장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새로운 LFP 배터리 제품을 개발하여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과 남미 지역에서 강력한 정책적 지원으로 인해 ESS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삼성 배터리 박스(SBB)와 같은 총 ESS 배터리 솔루션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삼성SDI는 ESS 전담 조직인 'ESS 비즈니스팀'을 신설하고, 국내외 시장에서 ESS 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Grand View Research).
6. 시장 점유율과 미래 전망
글로벌 ESS 시장에서 국내 배터리 제조업체들의 현재 시장 점유율은 약 10%에 불과하지만,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의 정책적 지원으로 인해 향후 ESS 배터리 시장 점유율이 확대될 가능성이 큽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미국 현지에서 생산한 배터리로 IRA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공급망을 구축하여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Grand View Research) (Intel Market Research).
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애리조나 주 퀸 크릭에 대규모 ESS 배터리 생산 공장을 설립하고 있으며, 2026년 첫 분기부터 생산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이 공장은 연간 16GWh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ESS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로 평가됩니다 (BloombergNEF).
삼성SDI 삼성SDI 역시 ESS 시장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새로운 LFP 배터리 제품을 개발하여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과 남미 지역에서 강력한 정책적 지원으로 인해 ESS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삼성 배터리 박스(SBB)와 같은 총 ESS 배터리 솔루션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삼성SDI는 ESS 전담 조직인 'ESS 비즈니스팀'을 신설하고, 국내외 시장에서 ESS 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MarketResearch) (Infolink Group).
미래 전망 우드 맥킨지에 따르면, 북미 ESS 시장은 2022년 12GWh에서 2030년 103GWh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ESS 시장의 밝은 미래를 보여줍니다. 또한, BloombergNEF는 글로벌 ESS 시장이 2030년까지 연평균 21% 성장하여 137GW/442GWh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Grand View Research) (BloombergNEF).
국내 배터리 제조업체들이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글로벌 시장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은 매우 높습니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의 전략적 투자는 이들 기업의 시장 점유율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7. 신성에스티
신성에스티는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핵심 부품을 공급하는 국내 주요 업체 중 하나입니다. 최근 이 회사는 2.3조 원 규모의 ESS 부품 신규 수주에 성공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신성에스티의 기술력과 시장 내 입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주요 성과 및 계획
2.3조 원 규모의 ESS 부품 신규 수주 신성에스티는 최근 2.3조 원 규모의 ESS 부품 신규 수주에 성공했습니다. 이 계약은 신성에스티의 주요 고객인 국내 대형 배터리 제조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ESS 부품 시장에서의 강력한 입지를 다시 한 번 입증했습니다.
북미 켄터키 주 LFP ESS 컨테이너 생산 시설 구축 계획 신성에스티는 북미 시장 확대를 위해 켄터키 주에 새로운 LFP(리튬 인산 철) ESS 컨테이너 생산 시설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이 시설은 2026년부터 가동될 예정이며, 연간 약 3천억 원의 신규 매출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를 통해 신성에스티는 북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것입니다.
미래 성장 전망 신성에스티는 ESS 부품 공급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향후 북미 및 글로벌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북미 켄터키 주의 생산 시설 구축을 통해 북미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전략은 신성에스티가 글로벌 ESS 시장에서 중요한 플레이어로 자리 잡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이와 같은 성과와 계획을 바탕으로, 신성에스티는 ESS 시장에서의 강력한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 ESS 부품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것입니다.
8. 챠트가 알려주는 이야기
신성에스티 이제 다시 상승하려는 그런 모양새이군요. 하지만 단기 급등중이므로 투자는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장기적으로는 AI 시대 전력량 공급망 확대와 더불어 ESS 성장을 감안하면 다시 좋은 날이 올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출처:
삼성SDI, 다시 국내 ESS 사업 본격화하나 - 전기신문
한동안 국내 ESS 사업을 중단하다시피 했던 삼성SDI가 다시 ESS 사업을 본격화한다. 과거와 같은 ‘폭발’ 사례가 사라지는 등 화재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된 데다가, RE100과 재생에너지 전환 등 탄
www.electimes.com
다시 2차 전지 관련주에 봄바람이 불어오나요??
상승로켓이었습니다.
'투자관련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초보자를 위한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완벽 가이드: 왜 호재일까? (1) | 2024.07.07 |
---|---|
러닝 트렌드 속 투자 전략: 스포츠 의류부터 디지털 헬스케어까지 (0) | 2024.06.12 |
앱클론 - 기관, 연기금 연속매수의 화답 (0) | 2024.02.26 |
오픈AI의 대담한 도전: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재편하다 (2) | 2024.02.10 |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바꾸는 대담한 행보: 윤석열 대통령의 대규모 투자 계획 발표 (1) | 2024.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