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더 재무상태가 양호한 기업이면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중소형주를 찾아보고 싶었다. 그러면서도 챠트상 너무 고점이 아니면 좋겠다는 바램도 있고...
영업이익율이 20%를 넘고, 매출도 계속 성장하고 차트도 기간조정을 거치면서 서서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는 트루엔이 상당히 매력적으로 느껴저 분석해보았다.
트루엔(417790): 혁신적인 영상감시 솔루션 기업의 시장 동향과 산업 내 위치
1. 회사 소개
- 기업 개요: 트루엔은 영상감시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디지털 영상감시시스템과 IoT사업을 주요 사업 영역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상품으로는 IP 카메라, IoT기기, 영상 스트리밍 솔루션 등이 있다.
- 연혁 및 발전 과정: 2005년에 설립된 트루엔은 2023년 5월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했다.
재무 상황
- 시가총액: 1,279억 원
- 시가총액순위: 코스닥 670위
- 상장주식수: 10,999,650
- 외국인 소진율: 0.92%
- 52주 최고/최저: 20,750원 / 8,990원
- PER/EPS (2022.12): 12.84배 / 906원
- PBR/BPS (2022.12): 1.44배 / 8,089원
주요 제품 매출현황
(단위: 천원) |
품 목 | 생산(판매) 개시일 |
주요상표 | 2023년 반기 매출액(비율) |
제품설명 |
IP 카메라 | 2005년 | TRUEN (OEM/ODM) |
16,553,611 (82.31%) |
- 고화질 주야간 영상감시장치 - 고배율/고해상도, 객체 인식 기능 - 방범, 어린이 보호, 주/정차 외 |
영상 스트리밍 솔루션 | 2008년 | TRUEN | 1,659,967 (8.26%) |
- Video Encoder, Video Decoder |
IoT 기기 | 2018년 | EGLOO | 1,629,747 (8.1%) |
- 홈 카메라, 비디오 도어벨, 클라우드서비스 - 스마트 플러그, 스마트 리모컨 |
기타 | 264,434 (1.32%) |
- 서비스 및 상품 등 | ||
합계 | 20,107,759 (100%) |
- |
2. 시장 상황 및 산업 동향
디지털 영상감시시스템 시장 전망
- 시장 규모: 글로벌 영상감시 시장은 2020년 53조원에서 2023년 82조원으로 성장할 전망이며, 2027년에는 146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연평균 성장률 +15.6%를 의미한다. 출처: 한국IR협의회
- 산업 내 위치: 트루엔은 영상감시 솔루션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와 혁신을 바탕으로 경쟁사 대비 강점을 보이고 있다. 출처: 씽크풀
IoT기기 시장 전망
- 시장 동향: IoT 솔루션의 B2C 시장 확대가 성장의 핵심 요소로 분석되고 있다. 트루엔은 이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출처: 씽크풀
영상 스트리밍 솔루션 시장 전망
- 시장 규모: 영상 스트리밍 솔루션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트루엔은 이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비디오 스트리밍 소프트웨어 시장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3. 트루엔(417790): 재무적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
재무 상황 분석
트루엔은 지속적인 성장과 재무적 안정성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몇 년간의 재무 데이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 매출액 성장: 2020년부터 2023년 예상까지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0년 330억원에서 2023년 예상 매출액은 457억원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준다.
-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역시 안정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23년 예상 영업이익은 112억원, 당기순이익은 102억원으로 예상되며, 이는 각각 전년 대비 증가하는 수치다.
- 영업이익률 및 순이익률: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24.51%와 22.25%로 예상되며, 이는 트루엔의 수익성이 안정적임을 나타낸다.
- ROE 및 부채비율: ROE는 15.85%로 예상되며, 부채비율은 매우 낮은 4.48%로 나타나 재무적 안정성이 높다.
- 당좌비율 및 유보율: 당좌비율은 774.55%로 매우 높으며, 유보율은 7,876.06%로 회사의 내부 유보금이 많음을 보여준다.
시장에서의 평가
- PER 및 PBR: 2023년 예상 PER은 11.53배, PBR은 1.62배로, 시장에서의 평가가 합리적인 수준임을 나타낸다.
- EPS 및 BPS: 주당순이익(EPS)은 1,008원, 주당순자산(BPS)은 7,162원으로 예상되며, 이는 주주 가치 증대를 의미한다.
4. 투자 전망 및 유의 사항
오버행(매도가능 대기 물량) 이슈
- 오버행 부담: KB증권은 트루엔에 대해 오버행 이슈를 부담 요인으로 지적했다. 주요 개인 주주와 유안타인베스트먼트가 상장 후 일부 엑시트에 나선 상황이다출처 : 파이낸셜투데이(http://www.ftoday.co.kr).
- 주주 구성 변화: 유안타인베스트먼트는 지분율을 4.45%로 줄였으며, 다른 주요 개인 주주들도 지분을 일부 매각했다.
트루엔(417790)과 경쟁하는 AI 영상감시 시스템 기업들
트루엔은 AI 기반 영상감시 시스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기업이지만, 이 분야에는 여러 경쟁 기업들이 존재한다. 주요 경쟁 기업들은 다음과 같다:
- 한화비전: 한화비전은 영상 보안 시장에서 토털 솔루션의 경쟁력을 강조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등 최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출처: 잡코리아
- 아이디스홀딩스: 아이디스홀딩스는 물리보안 영역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여 사용자의 의사 결정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지능형 CCTV를 개발하고 있다. 출처: 잡코리아
트루엔의 경쟁력
- 공공 영상감시 시장의 리더: 트루엔은 국내 공공 조달 시장에서 약 40%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공공분야의 인공지능 CCTV 설치 필요성 증가로 인한 수혜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당사의 주요 고객인 공공기관의 영상감시 카메라 시장은 매년 평균 12%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어 향후 좋은 전망이 예측됨
- 지능형 CCTV의 수요 증가: 공공 CCTV의 지능형 전환과 관련하여 서울시가 2026년까지 공공 CCTV를 지능형 CCTV로 100% 전환할 계획을 세우고 있어, 트루엔의 중장기 성장성이 양호하다.
챠트가 알려주는 이야기
2023년 12월 22일 현재 다음은 주봉챠트이다. 상장시 2마원대 최고점을 찍은 후 지속적 하락 후 횡보를 보이고 있다. 일봉챠트에서 11월/9일 대량거래가 발생하면서 우상향하여 120 이동평균선을 돌파하고 있어 주봉 챠트도 상승형태를 만들 것으로 보인다.
728x90
'테마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장품 소재 시장의 신성, 선진뷰티사이언스의 미래는? (2) | 2024.02.29 |
---|---|
삼성에스디에스(SDS): 기술 거인의 등장 (0) | 2024.01.27 |
넥스트칩(396270): 반도체 산업의 숨겨진 보석, 투자의 새로운 기회 (1) | 2023.12.23 |
기관의 연일 다량 매수 - 제이씨케미칼 137950 (0) | 2023.12.21 |
2차전지 리싸이클링은 성일하이텍과 함께 ! (0) | 2023.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