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뷰티사이언스 보유 유무 |
2024년 3월 1일 현재 미보유 |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오늘은 제가 사용하는 주식앱의 기업리포트 중에서 맨 위 게시물이 '선진뷰티사이언스' 리포트였습니다.
클릭해보니 내용이 전혀 없길래 궁금해서 한번 리뷰해보았습니다.
기본적으로 제가 좋아하는 가격대(1-2만원대)이거나 시총 3천억 미만에 속하는 주식이면서 ROE가 좋아서 일단 맘에 들었습니다.
자, 그럼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는 선진뷰티사이언스의 행보를 짚어 보겠습니다.
선진 뷰티사이언스는 화장품 원료 제조 전문 기업으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 선진뷰티사이언스의 주력 제품군 : 자외선 차단 소재, 마이크로비드, 스킨케어 소재 등 화장품 소재
- 특히, 화장품 소재용 자외선 차단제 생산에 대해서는 미국 FDA의 기준에 맞추었고, 실사를 통해 국내 유일의 자외선 차단제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기업과 관련된 기사들을 검색해봤습니다.
- 우선, 서울시와 서울경제진흥원이 주관하는 '하이서울기업'에 선정되었다는 기사가 있었고,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72.8% 증가하여 8억 원을 기록함으로써 재정적으로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선진뷰티사이언스, 서울시 주관 우수기업 인증 '하이서울기업' 선정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화장품 원료 제조 전문 기업 선진뷰티사이언스가 서울시와 서울경제진흥원이 주관하는 '2023년 하이서울기업'에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하이서울기업 인증사업은
newspim.com
특색있는 소재 - "헥토라이트"
- 회사가 연구한 '헥토라이트' 소재에 관한 논문이 SCI급 저널의 전면 표지 논문으로 채택되었다는 기사가 있어 상당히 흥미로왔습니다. 이에 대해 좀더 알아보았습니다(제가 화장품쪽은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으로서 바라본 시각이라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Langmuir는 1985년에 창간되어 미국 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에서 발행하는 주간 학술지입니다. 이 저널은 인터페이스가 구조와 기능을 지배하는 시스템과 재료의 과학 및 응용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표면 및 콜로이드 화학 분야를 포함한 연구를 다룹니다. 저널의 이름은 1932년 화학 분야에서 노벨상을 수상한 어빙 랭뮤어(Irving Langmuir)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현재 Languir는 impact factor 4.331 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연구성과인 헥토라이트 기반은 선진뷰티사이언스의 연구소재개발과 관련이 있으며 제 2저자 이성호 (대표이사), 대표저자인 김진웅 교수는 회사와 C & D 계약을 체결한 관계입니다.
헥토라이트 기술개발과 선진뷰티바이오사이언스
헥토라이트는 희귀한 부드럽고 윤기 있는 흰색 점토광물로, 주로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며, 화학 및 기타 산업 응용 분야에서도 사용됩니다.
헥토라이트는 피부와 모발에서 기름과 불순물을 흡수하는 능력으로 인해 스킨케어 및 헤어케어 제품에서 인기 있는 성분입니다. 피부에서는 모공을 청소하고 빛나는 것을 줄여 깨끗하고 상쾌한 느낌을 주며, 모발 제품에서는 모발을 두껍게 하고 질감을 추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헥토라이트는 또한 메이크업 제품에서 번짐을 방지하고 매끄러운 마무리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헥토라이트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그 특성으로 인해 스킨케어, 헤어케어, 네일케어 및 메이크업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안전성과 효과성이 잘 입증되었으며, 자연스러운 성분으로서 소비자와 제조업체 사이에서 인기가 있습니다.
헥토라이트기반 이멀전 기술
선진뷰티바이오사이언스는 제품의 안정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헥토라이트 기반의 이멀전 기술을 지속적으로 연구 발전시켰고, 그동안 피커링 에멀젼의 단점으로 지적돼 온 유화 불안정성 극복을 위해 셀룰로오스 섬유와 헥토라이트 간 이중 복합화 작용을 이용한 것을 논문으로 발표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성과들을 종합해 볼 때, 선진뷰티사이언스는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화장품 소재 산업 내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향후 더 큰 성장을 기대해 볼 수 있겠습니다.
장항 신공장의 생산 효율성
- 생산 능력 강화: 연 4,800톤의 생산 능력 확보
- 매출 잠재력: 최대 1,500억원대 매출 가능성 시사
- 성장 전망: 키움증권 리포트를 통해 회사의 안정적인 성장 가능성을 암시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의 선진뷰티사이언스
- 당사의 제품군은 크게 화장품 소재, 계면활성제, 산업용 소재로 나눌 수 있습니다. 2020년 기준 매출액 비중은 화장품 소재 67%, 계면 활성제 31%, 산업용 소재는 2%로 소개되어 있고 대부분을 수출을 하고 있습니다.
투자 관점에서의 재무 분석
- 매출액: 2020년 464억에서 2021년 487억으로 증가하였으며, 2022년에는 643억을 기록, 큰 폭으로 성장하였습니다. 2023년 9월 매출액은 153억으로, 직전 분기인 2023년 6월 190억 대비 감소하였으나, 연말 예상치는 193억으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최종적으로 2023년 연매출 740억원, 영업이익 104억원 달성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신한투자증권리포트)
- 영업이익: 2020년 36억에서 2021년 37억으로 약간 증가하였고, 2022년에는 53억으로 더욱 증가하였습니다.
- 당기순이익: 2020년 30억에서 2021년 16억으로 감소했지만, 2022년에는 201억으로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2023년 3분기 당기순이익은 6억으로, 2023년 6월 17억 대비 감소하였습니다.
- 영업이익률: 2022년 8.27%에서 2023년 3분기 9.58%로 증가하였습니다.
- ROE(지배주주): 2022년 35.37%에서 2023년 3분기 35.24%로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부채비율: 2022년 102.75%에서 2023년 3분기 77.64%로 감소하였습니다.
- 당좌비율: 2022년 131.00에서 2023년 3분기 102.08로 감소하였습니다.
- 유보율: 2022년 986.10에서 2023년 3분기 1,055.60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PER(배): 2022년 4.18배에서 2023년 3분기 4.85배로 증가하였습니다.
- BPS(원): 2022년 5,376원에서 2023년 3분기 5,733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PBR(배): 2022년 1.25배에서 2023년 3분기 1.44배로 증가하였습니다.
이 데이터는 최근 연간 실적과 분기별 실적을 바탕으로 한 추이를 보여줍니다. 전년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일부 지표에서는 감소하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는 괜찮아보입니다.
이 정보는 투자자분들이 선진뷰티사이언스의 현재 상황과 미래의 전망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자세한 분석과 논의를 위해서는 관련 자료와 리포트를 참조하는 것이 좋으며, 주식 시장의 동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거래 정보와 전문가 분석이 필수적입니다.
챠트가 알려주는 이야기
다음은 선진뷰티사이언스의 주봉챠트입니다.
작년 8월 11920원으로 고점을 찍은 뒤 하락하여 7700원대를 지지하고 있습니다. 최저점보다 높은 저점을 형성하고 있고 장기 이동평균선의 강한 지지를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시기로는 상당히 괜찮은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의할 점은 무상증자, 유상증자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 점,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단위 : 주,천원
2022/03/30 |
무상증자 주식발행초과금 자본전입
|
6,087,630 | 6,101,640 |
2021/01/27 |
유상증자 시장상장공모
|
1,280,050 | 3,057,825 |
2021/01/27 |
액면분할
|
2,417,800 | |
2021/01/27 |
액면분할
|
2,417,800 | |
2021/01/27 |
무상증자 주식발행초과금 자본전입
|
169,680 | 2,417,800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로레알을 비롯한 세계 여러나라의 기업을 고객사를 가지고 있고, 현재는 자외선차단소재, 마이크로 비드가 전체 매출의 90%를 차지하고 있지만 위와 같이 스킨케어 소재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이루어내고 있는 기업으로 파악됩니다.
2024년 저의 관심종목에 포함시켰습니다.
이상 상승로켓이었습니다.
'테마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티엠반도체(084850) (0) | 2024.06.17 |
---|---|
잉글우드랩의 경쟁력 분석: K-뷰티 트렌드를 이끄는 혁신의 힘 (1) | 2024.05.26 |
삼성에스디에스(SDS): 기술 거인의 등장 (0) | 2024.01.27 |
트루엔(417790): 혁신적인 영상감시 솔루션 기업의 시장 동향과 산업 내 위치 (0) | 2023.12.23 |
넥스트칩(396270): 반도체 산업의 숨겨진 보석, 투자의 새로운 기회 (1) | 2023.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