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스탁로드의 상승로켓입니다. 오늘은 로봇 관련 ETF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로봇 관련 ETF란?

미래 성장 분야로 인공지능, 로봇, 전기차-자율주행, 이차전지 분야를 떠올리긴 쉽고 다들 그런 성장하는 분야의 기업에 투자를 하고 싶어 한다. 하지만 어떤 기업에 투자를 해야하는지, 언제 매수를 해야하는지, 언제 매도를 해야하는지 실제적인 고민이 생길 수 밖에 없다. 

개별 기업 투자가 어렵고 부담스럽다는 생각이 들 경우에는  관련 분야에 투자를 하는 ETF가 제격이다. 

 

로봇 또한 먼 미래가 아니다. 당장 쿠팡같은 물류 기업만 봐도 로봇이 일하고 있다. 로봇관련 분야도 산업용 로봇, 전문 서비스 로봇, 개인 서비스 로봇, 로봇 부품, 로봇SW/플랫폼등 다양한 성격의 로봇 산업군으로 나눌 수 있다

 

마침 2023년 대한민국 대표 로봇기업 30개사가 선정되었다는 기사가 있었다. 어떤 로봇관련 기업들이 있는지 정보를 알 수 있는 좋은 기사라고 생각한다.

 

 

로봇신문은 '2023 올해의 대한민국 로봇기업(Korea Robot Company of the Year 2023)' 30개사를 선정, 발표했다. 이들 기업은 대한민국 로봇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적,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 CEO 경영 능력, 신제품 발표 및 시장 성과 등을 종합적 평가했다고 한다. 

  • 산업용 로봇 부문에서는 나우로보틱스, 뉴로메카, 두산로보틱스, 티로보틱스 등이 선정
  • 전문 서비스 로봇 부문에서는 고영테크놀러지, 로보티즈, 로봇앤드디자인, 모비어스, 시스콘, 유진로봇, 엑스와이지, LG전자, 코가로보틱스, 큐렉소, 트위니, 티라로보틱스
  • 개인 서비스 로봇 부문에는 로보케어, 엔젤로보틱스가, 로봇 부품 부문에는 시냅스이미징, 에스비비테크, 에스피지, 에이딘로보틱스, 유엔디, 웰콘시스템즈, 하이젠RNM 등이 이름을 올렸다.
  • 로봇SW/플랫폼 부문에서는 빅웨이브로보틱스, 씨메스, 클로봇이, 인공지능 부문에서는 마음ai, 원더풀플랫폼이 선정되었다.

이들 기업 중 유진로봇은 8년, 뉴로메카는 7년, 두산로보틱스는 6년 연속 수상의 영예를 안았으며, 티로보틱스는 6번째 수상을 기록했다. 이들 기업들은 연속 수상을 하며 로봇 산업에서의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원문 보기

 

국내 주요 로봇 관련 ETF 분석

로봇 ETF는 위험을 분산시키고, 산업 전반에 걸친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개별 기업의 성공에만 의존하지 않고, 산업 전체의 성장에 투자함으로써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1. KBSTAR AI&Robotics (44F5): 인공지능(AI) 및 로봇 관련 주요 국내 기업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더 알아보기
    • 상장일: 2023.10.24
    • 자산규모: 240억
    • 총보수: 연 0.4%
  2. KODEX K-로봇액티브: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영하는 로봇 관련 ETF로, 국내 로봇 관련 기업에 투자합니다. 더 알아보기
    • 상장일: 2022.11.15
    • 자산규모: 1,431억원
    • 총보수: 연 0.5%
  3. KODEX 글로벌로봇(합성):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로봇 및 자동화 관련 ETF입니다. 더 알아보기

 

로봇 및 AI 관련 ETF 분석: KODEX K-로봇액티브 vs KBSTAR AI&로봇

이들 두 ETF를 좀더 분석해보았다. 이들의 주요 편입 종목은 아래 표와 같다(비중 순으로 20개까지만)

KODEX K-로봇액티브 (삼성자산운용) KBSTAR AI&로봇 (469070) (KB자산운용)
종목명 비중(%) 종목명 보유비중(%)
삼성전자 8.99 두산로보틱스 7.07%
두산로보틱스 8.75 NAVER 5.74%
NAVER 8.22 레인보우로보틱스 5.53%
레인보우로보틱스 7.88 현대오토에버 5.20%
삼성에스디에스 7.77 셀바스AI 4.84%
현대오토에버 5.28 루닛 4.46%
KT 4.67 뉴로메카 4.12%
큐렉소 4.61 솔트룩스 3.74%
현대차 4.14 에스피지 3.71%
LG전자 3.99 엠로 3.52%
SK하이닉스 3.9 딥노이드 3.48%
뉴로메카 3.39 큐렉소 3.35%
에스피지 3.03 유일로보틱스 2.80%
SK텔레콤 2.92 코난테크놀로지 2.79%
카카오 2.59 알에스오토메이션 2.69%
로보티즈 2.17 로보티즈 2.57%
두산 2.05 엠투아이 2.55%
유진로봇 1.92 뷰노 2.52%
티로보틱스 1.87 마음AI 2.44%
    에스비비테크 2.43%

 

 

공통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주요 기업

  • 두산로보틱스, NAVER, 레인보우로보틱스, 현대오토에버, 큐렉소, 뉴로메카, 에스피지, 로보티즈

KODEX K-로봇액티브에만 포함된 주요 기업

  • 삼성전자, 삼성에스디에스, KT, 현대차, LG전자, SK하이닉스, SK텔레콤, 카카오, 두산, 유진로봇, 티로보틱스

KBSTAR AI&로봇에만 포함된 주요 기업

  • 셀바스AI, 루닛, 솔트룩스, 엠로, 딥노이드, 유일로보틱스, 코난테크놀로지, 알에스오토메이션, 엠투아이, 뷰노, 마음AI, 에스비비테크

 

요약: 로봇 산업의 미래를 투자하는 KBSTAR AI&로봇 ETF와 KODEX K-로봇액티브 ETF

KBSTAR AI&로봇 ETF

  • 특징: KBSTAR AI&로봇 ETF는 국내 AI 및 로봇 산업의 우수 종목군 중에서도 AI기반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종목을 선정하고 ( iSelect AI&로봇 지수) 해당 분야의 매출 관련도에 따라 최종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선정한다. 
  • 포트폴리오 구성: 전체 포트폴리오의 약 53.2%를 로봇 관련 종목에, 나머지 46.8%를 AI 관련 종목에 투자한다. 섹터별로는 IT(약 45%), 산업재(약 27%), 헬스케어(약 14%) 등으로 분포되어 있다.
  • 주요 종목: 산업용 로봇 제조 업체, 의료 AI/로봇 업체, 음성인식 및 자연어처리 SW 업체 등이 주된 편입 종목들이다.
  • 자료출처: https://www.kbstaretf.com/info/market/173

KODEX K-로봇액티브 ETF

  • 특징: KODEX K-로봇액티브 ETF는 경쟁력 있는 국내 로봇 관련 기업에 투자해, 장기적으로 코스피 대비 높은 자본이득을 추구하는 액티브 ETF다.
  • 투자 전략: 로봇 관련 핵심 경쟁력 보유 기업, 시장 선도 기업에 선별적으로 투자해 종목 선택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 지수 기반: AI 기반 키워드 필터링 기술로 국내 로봇 관련 종목을 추출한 ‘iSelect K-로봇테마 지수’를 기준으로 삼는다. 이 지수는 삼성전자, 현대차, 두산, 로보티즈, 레인보우로보틱스 등 다양한 업종을 포함한다.
  • 자료출처: https://m.samsungfund.com/etf/product/view.do?id=2ETFH5

이 두 ETF는 각각의 독특한 투자 전략과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국내 로봇 산업의 다양한 측면을 포착하고 있다. 

챠트가 알려주는 로봇 ETF 투자 전략

  • 현재 2023년 10월 27일 최저점을 찍고 지속해서 우상향하고 있다. 2024년 현재로서는 최고점 상태이다. 아무리 미래가 밝아보이고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고 하지만 지금 목돈을 투자할 수는 없다. 하락시마다 적립하듯 나누어 매수할 수 있을 정도라고 보인다.

로봇 ETF 투자의 위험과 고려사항

  • 코덱스 K-액티브 ETF는 삼성전자, 현대차, 네이버 등 대기업의 편입비중이 높아 큰 등락없이 리스크가 관리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올해 삼성전자, 현대차 등에 대해서는 밝은 전망을 내놓고 있어 그러한 기대에 편승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기업 편입비중이 높은만큼 고수익을 기대하기는 다소 어려울 수 있다.
  • KBSTAR AI&로봇 ETF는 상대적으로 코스닥등 미래가치가 높은 기업들이 많아 등락의 폭이 상대적으로 클수가 있는 것이 장점이자 단점일 수 있다. 또한 의료분야의 기업들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들  기업들의 선전에 따라 수익의 상당한 차이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당연하지만 언제나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