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4일 시장 동향에 대한 주요 기사들을 종합하여 정리했습니다.

1. 부동산 시장 동향: 대출 규제 영향과 지역별 편차

  • 서울 아파트 가격: 6월 30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주 대비 0.40% 상승하여 22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으나, 지난주(0.43% 상승) 대비 오름폭은 다소 줄었습니다. 이는 6월 27일 발표된 '가계부채 관리 방안'에 따른 초강도 대출 규제의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 강남 3구 및 한강 벨트: 강남 3구(강남 0.84%→0.73%, 서초 0.77%→0.65%, 송파 0.88%→0.75%)와 마용성(마포 0.98%→0.85%, 용산 0.74%→0.58%, 성동 0.99%→0.89%) 등 한강 벨트 주요 지역은 상승폭이 다소 누그러졌습니다.
  • 수도권 일부 지역 급등: 경기 성남시 분당구는 1.17% 상승하여 2018년 1월 다섯째 주(1.33%) 이후 7년 5개월여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과천시도 0.98% 올라 2018년 9월 둘째 주(1.22%) 이후 6년 9개월여 만에 최대 오름폭을 보였습니다. 이는 강남 3구와 용산구 등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이면서 나타난 '풍선 효과'와 재건축 기대가 맞물린 결과로 분석됩니다. 안양 동안구(0.37%)와 영등포구(0.66%) 등도 상승폭이 확대되었습니다.
  • 서울 외곽 지역: 주택담보대출(주담대) 6억원 제한의 타격이 작은 서울 외곽 지역 중 노원구(0.12%→0.17%), 도봉구(0.06%→0.08%), 금천구(0.06%→0.08%) 등 일부 지역도 상승폭을 키웠습니다.
  • 인천 및 지방: 인천은 0.01%에서 -0.02%로 하락 전환했고, 지방은 -0.03%에서 -0.02%로 내림세가 이어졌습니다.
  • 전세 시장: 지역별로 편차를 보였습니다. '메이플자이'(3307가구) 등 대단지 입주가 이뤄지고 있는 서초구는 전셋값이 0.15% 하락하여 서울 25개 자치구 중 유일하게 내렸습니다. 반면 서울 전셋값은 지난해 2.19%에 이어 올해 들어 0.95% 올랐습니다. 전문가들은 하반기 전월세 시장 불안을 전망하며 매수 포기자가 전월세 시장으로 유입돼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 정부의 불법행위 단속 강화: 국토교통부는 6.27 부동산 대책 이후 수도권 부동산 시장 질서를 왜곡하는 불법행위에 대한 현장 합동점검을 강화한다고 밝혔습니다. 점검 대상 지역을 서울 주요 지역에서 경기 과천, 성남 분당 등 수도권 지역으로 확대하고 점검반도 3개에서 6개로 확대 편성합니다. 자금조달계획서 내용 사실 여부, 대출 규정 위반 여부, 토지거래허가 실거주 의무이행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점검하며, 사업자 대출 자금을 부동산 구입에 사용하는 등의 편법 대출도 단속합니다. 국세청은 고가 주택의 자금 출처를 분석하여 편법 증여 및 세금 누락을 조사하고, 외국인 부동산 거래 불법행위도 함께 조사할 계획입니다.

2. 주식 시장 동향: 연기금 매도 vs 외국인 매수

  • 연기금 순매도 전환: 국민연금 등 연기금은 6월 유가증권시장에서 5072억 원어치를 순매도했습니다. 올 들어 5월까지 순매수를 이어가다 6월 코스피지수가 13.86% 급등하자 순매도로 전환했습니다. 이는 국민연금의 국내 주식 비중이 올해 목표치(14.9%)에 근접했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 삼성전자 급등과 외국인 매수: 삼성전자는 4.93% 오른 6만3800원에 거래를 마치며 연중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 이는 첨단 D램 양산,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 추격 등 기술 경쟁력 회복 기대와 함께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세에 힘입은 결과입니다. 외국인은 7월 3일 하루 동안 올 들어 최대 규모인 6075억 원(우선주 411억 원 포함)어치 삼성전자 주식을 순매수했습니다.
  • 증시 전망: 연기금의 매도세가 국내 증시 상승세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지만, 국민연금의 국내 주식 비중이 목표치를 초과하더라도 당장 팔지 않아도 되는 유연성이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의 매수세가 더 강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삼성전자가 본격적으로 상승하면 코스피지수도 추가 상승 동력을 얻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3. 기업 경영 및 법률 변화: 상법 개정안의 영향

  • '합산 3% 룰' 도입: 상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감사위원 선임 시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의 의결권을 합산하여 총 3%로 제한하는 '합산 3% 룰'이 내년 7월부터 확대 적용됩니다. 이는 감사위원회가 설치된 749개 상장기업에 영향을 미치며, 내년 하반기부터 감사위원 선임을 둘러싼 분쟁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내년 1월부터 상장회사의 전자주주총회가 의무화됩니다. 이는 '합산 3% 룰'과 결합하여 소액주주 및 행동주의 펀드의 영향력을 더욱 키울 것으로 전망됩니다.
  • 시장 영향: 단기적으로 주가 상승을 이끌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도 있지만, 기업의 의사 결정 구조 변화와 지속적인 실적 성장이 뒷받침되어야 주가 상승이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4. 과학기술 정책: AI 컨트롤타워 부활

  • 과학기술부총리 부활: 이재명 정부는 17년 만에 과학기술부총리를 부활시키기로 했습니다. 이는 'AI 3대 강국 진입'이라는 핵심 국정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AI 산업 육성과 연구개발(R&D) 정책을 총괄할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입니다.
  • 주요 인사 발탁: 40대 민간 AI 전문가인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이 초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로 지목되었고, 하정우 네이버 클라우드 AI혁신센터장이 AI미래기획수석으로 영입되었습니다.
  • R&D 예산 편성권 강화: 정부는 R&D 예산에 한해 기획재정부의 심의 기능을 부총리급으로 격상되는 과기정통부에 대폭 이양할 구상입니다. 관련 법안도 발의되어 R&D 예산을 정부 지출의 5% 이상으로 의무화하고 과기정통부에 R&D 예산 편성권을 대폭 이양하는 내용이 포함되었습니다.

5. 산업 동향: 뇌 수술 로봇 첫 수출 및 바이오 시장 활황

  • 고영테크놀러지 뇌 수술 로봇 수출: 3차원(3D) 반도체 검사장비 세계 1위 업체인 고영테크놀러지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침대 부착형 뇌 수술 로봇 '지니언트 크래니얼'을 미국의 한 종합병원에 공급할 예정입니다. 이 로봇은 올해 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증을 받았으며, 국내에서는 9개 대형 병원에서 500건 이상의 뇌 수술에 활용되어 수술 시간을 10분 내로 단축하는 성과를 보였습니다. 고영은 미국을 시작으로 일본, 중국 등으로 수출 시장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 중국 제약·바이오 시장 활황: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주가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비만치료제, 항암제 등 미래 유망 분야에서의 신약 개발 성과와 기술이전이 두드러지면서 3S바이오(연초 대비 321.3% 급등), 이노벤트 바이오로직스(138.3% 상승), 한썬제약(82.3% 상승) 등 다수의 기업이 높은 주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1억 달러(약 1360억 원) 이상의 대형 글로벌 기술이전 계약에서 중국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4%에서 2025년 32%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는 중국 정부의 대규모 투자와 지원, 의약품 규제 개혁 및 임상 승인 기간 단축 등의 정책적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6. 글로벌 경제 및 정치 동향

  • 영국 국채값 급락: 복지 지출 개혁을 둘러싼 영국의 내홍으로 인해 국채금리가 급등하며 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7월 2일(현지시간) 영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전장 대비 0.16%포인트 오른 4.61%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키어 스타머 내각의 복지개편안이 당내 반발에 부딪히고 재무장관의 거취가 불안해진 데 따른 투자 심리 위축으로 풀이됩니다.
  • 일본 참의원 선거전 돌입: 7월 3일 일본 국회에서 상원에 해당하는 참의원 선거가 공식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선거는 이시바 시게루 내각의 중간평가 성격을 띠며, 여야 모두 첨예한 공방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19일까지 유세가 진행되고 20일에 투·개표가 이뤄지며, 총 125명을 선출합니다.
  • 유럽 정크본드 시장 호황: 유럽의 정크본드(고위험·고수익 채권) 시장이 유례없는 호황을 누리고 있습니다. 6월 유럽의 정크본드 발행액은 225억 유로(약 36조 1320억 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한 관세정책에 따른 불안감으로 미국 시장에서 빠져나간 자금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유럽으로 몰리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분석됩니다.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들도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는 데 성공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2025년 7월 1일 주요 시장 동향 기사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부동산 시장 동향: '똘똘한 한 채' 쏠림 심화 및 정책 제언

서울과 지방 간 주택 가격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정부의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서울 집값 과열을 잡기 어렵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다주택자 규제가 서울 쏠림 현상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며, 규제 완화를 통해 수요를 분산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됩니다.

주요 내용:

  • 서울-지방 양극화 심화: 서울 집값은 급등세를 보이는 반면, 지방은 미분양에 시달리는 역대급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주택자들이 지방 주택을 정리하고 서울 주요 상급지로 몰리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 대출 규제 한계: 지난 28일부터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이 6억 원으로 제한되었지만, 현금 부자들에게는 오히려 기회가 되어 서울 집값 과열을 잡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입니다.
  • 다주택자 규제 문제점:
    • 세금 중과: 다주택자는 취득세,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등 모든 부동산 생애주기에서 중과를 받고 있습니다.
    • 종부세 합산 기준: 현재는 보유 주택 수가 아닌 공시가격 합산 기준으로 종부세를 차등 부과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12억 원짜리 집 1채를 가진 사람은 종부세를 내지 않지만, 4억 원짜리 집 3채를 가진 사람은 동일한 부동산 자산(12억 원)을 보유하고도 9억 원을 제외한 3억 원에 대해 종부세를 내야 하는 불합리성이 지적됩니다.
  • 지방 미분양 증가: 현재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은 2만 7천 가구를 돌파하며 12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 공급 시장 불안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 정부 지원 요구: 법인이나 개인 임대사업자가 지방 부동산 시장에 진출할 때 종부세와 취득세를 과감하게 면제해주는 등의 파격적 혜택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2. SK그룹주 동반 상승: SK온 사업 호전 기대

SK이노베이션이 30일 25% 넘게 급등하며 SK온의 사업 호전 기대감이 주가를 끌어올렸습니다. 이에 따라 다른 2차전지 종목과 SK그룹주도 동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주요 내용:

  • SK이노베이션 급등: SK이노베이션은 25.15% 급등한 12만 2,400원에 마감했습니다. 기관과 외국인이 순매수를 이끌었으며, 시가총액이 이틀 만에 약 3조 7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 SK온 실적 개선 기대:
    • 북미 배터리 출하량 증가: 한화투자증권은 현대자동차 조지아 메타플랜트 효과로 북미 지역 배터리 출하량이 전년 대비 26%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 SK온 2분기 흑자전환 예상: 하나증권은 현대차 판매량 호조로 SK온 가동률이 전반적으로 올라갔으며, SK온의 적자가 대폭 줄어들면서 SK이노베이션도 2분기에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영업이익 추정치 672억 원, 기존 증권가 추정치 -1,867억 원).
  • 2차전지 및 SK그룹주 동반 상승: LG에너지솔루션 3.13% 상승, TIGER 2차전지 TOP10 ETF 6.63% 상승. 지주사 SK(주) 3.29%, 중간지주사 SK스퀘어 3.8% 상승.
  • 주가 강세 요인: 그동안 주가 약세 요인이었던 배터리 사업의 호전 기대와 함께 인공지능, 재생에너지 등 새 정부 정책 수혜 기대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3. SK하이닉스 독주: 반도체 ETF 수익률 싹쓸이

SK하이닉스 주가가 연일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SK하이닉스 비중이 높은 레버리지 상품들이 6월 ETF 수익률 1~3위를 휩쓸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며 관련 ETF 수익률의 우상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

  • ETF 수익률 상위권 싹쓸이: 6월 1~27일 기준 SK하이닉스를 높은 비중으로 담은 반도체·IT 관련 레버리지 ETF가 수익률 최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 1위: TIGER 반도체TOP10레버리지 (45.34%)
    • 2위: TIGER 200IT레버리지 (45.17%)
    • 3위: KODEX 반도체레버리지 (39.47%)
    • 이들 상위 3개 ETF의 포트폴리오 내 SK하이닉스 비중은 20% 안팎입니다.
  • SK하이닉스 주가 상승: 올해 주당 17만 원대에서 시작한 주가는 6월 30일 29만 2천 원으로 마감하며 6개월여 만에 70%가량 상승했습니다. 시가총액은 6월 24일 삼성전자에 이어 두 번째로 200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 HBM(고대역폭메모리) 견인: 인공지능(AI) 산업의 급속한 성장이 주가 상승을 견인했으며, SK하이닉스의 올해 HBM 점유율이 70%를 넘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 증권사 목표주가 상향:
    • 신한투자증권: SK하이닉스를 업종 내 최선호주로 꼽고 목표주가를 32만 원에서 38만 원으로 상향 조정.
    • 맥쿼리: 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의 독주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하며 2027년 영업이익을 90조 7천억 원으로 전망, 목표주가 36만 원으로 상향.
    • JP모간: 2027년 영업이익을 60조 3천70억 원으로 전망하며 4년 연속 이익 사이클을 탈 것으로 분석.

4. 네이버, 첫 한국형 추론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 씽크' 공개

네이버가 30일 자체 개발한 추론형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 씽크'를 공개했습니다. 이는 한국어에 특화된 모델을 기반으로 글로벌 추론 AI 경쟁에 도전장을 던진 것으로 평가됩니다.

주요 내용:

  • 하이퍼클로바X 씽크 공개: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시각 정보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추론하는 능력을 갖춘 모델입니다. 질문을 깊게 사고하고 탐색하는 과정을 거쳐 답변 정확도를 높였습니다.
  • 성능 향상:
    • 한국어 추론 능력: 코발트(KoBALT)-700 벤치마크에서 48.9점, 해례(HAERAE) 벤치마크에서 87.8점 기록하며 국내 최고 성능 입증.
    • 시각 추론 정확도: KCSAT-STEM 벤치마크에서 46.4% 정답률 기록 (GPT-4.1의 40.3%보다 높음).
    • 번역 정확도 (한국어->영어): 90.3% (LG 엑사원 77.5%보다 우위).
  • '디지털 브레인' 역할: 기존 생성형 AI가 텍스트를 만드는 도구였다면, 추론형 AI는 판단하고 실행하는 '디지털 브레인'으로 평가됩니다.
  • AI 에이전트 전략 핵심: 하이퍼클로바X 씽크는 네이버가 추진하는 AI 에이전트 전략의 핵심 기술로, 사용자 명령을 이해하고 필요한 도구(API)를 스스로 호출하여 실제 업무를 수행하는 '실행형 AI'의 기반이 됩니다.
  • 향후 계획: 하이퍼클로바X 씽크 모델을 고도화하여 시각·음성·문서까지 통합적으로 다루는 멀티모달 추론형 AI로 진화시킬 계획입니다. 일부 모델은 오픈소스로 공개하여 국내 AI 생태계에 개방하고, 비영어권 국가가 글로벌 AI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지겠다는 전략입니다.

5. LG전자, 노르웨이 OSO 인수: 냉난방공조(HVAC) 사업 강화

LG전자가 노르웨이 온수 솔루션 기업 OSO를 인수하며 냉난방공조(HVAC) 핵심 기술을 내재화하고 유럽 클린테크 시장 공략을 강화합니다. 이는 LG전자가 HVAC의 '마지막 퍼즐'인 온수 관련 핵심 기술까지 확보하며 730조 원 규모의 글로벌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할 채비를 마쳤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

  • OSO 인수 목적: 미래 성장동력인 HVAC 사업을 강화하고, 유럽의 급증하는 히트펌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온수 솔루션 분야 유럽 1위 기업인 OSO를 인수했습니다. 인수 가격은 수천억 원 규모로 알려졌습니다.
  • OSO의 기술력: OSO는 히트펌프로 가열한 물을 저장하는 기술인 스테인리스 워터스토리지 분야에서 유럽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에너지 효율이 높고 열 손실이 낮은 제품을 생산합니다.
  • LG 히트펌프와 시너지: LG전자의 고효율 히트펌프 솔루션과 OSO의 워터스토리지를 결합한 일체형 제품을 출시하여 유럽 HVAC 사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유럽 히트펌프 시장은 2030년까지 2배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HVAC 사업 포트폴리오 완성: LG전자는 HVAC 사업을 2030년까지 20조 원 규모로 키운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이를 위해 작년 말 HVAC 사업부를 ES(에코솔루션)사업본부로 분리했습니다.
  • B2B 사업 확장: LG전자는 HVAC 사업을 앞세워 전체 매출에서 기업 간 거래(B2B) 사업 비중을 지난해 35%에서 2030년 45% 수준으로 높일 계획입니다. 최근 마이크로소프트(MS)의 AI 데이터센터에 칠러(초대형 냉방기) 공급 계약을 맺고, 싱가포르 초대형 물류센터 일감을 수주하는 등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6. K-배터리 자금난: 투자 지연으로 인한 경쟁력 약화 우려

한국 배터리 업체들이 자금난으로 인해 적기에 투자를 하지 못하고 구형 라인으로 버티면서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이는 중국 CATL 등 경쟁사에 유럽 계약을 뺏기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

  • 투자 지연 현황:
    • SK온: 헝가리 이반처 공장 옆에 30GWh 규모의 2공장 부지를 마련했으나, 자금 문제로 아직 투자 계획도 세우지 못하고 있습니다.
    • 삼성SDI: 헝가리 괴드 공장의 구형 라인을 교체해야 하지만, 자금 압박으로 필요한 설비만 부분적으로 교체하고 있습니다.
    •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을 확충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부터 추가 투자를 멈춘 탓에 구식 라인을 돌리고 있습니다.
  • 경쟁력 약화:
    • 유럽 자동차 업체들이 한국 배터리 3사와의 계약 기간이 끝나면 중국 CATL 등 최신 생산라인으로 갈아타고 있습니다.
    • 한국 배터리 3사의 유럽 공장 평균 가동률은 2년 전 100%에 가까웠으나 현재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 올 1분기 유럽 전기차 판매량은 증가했지만, 국내 배터리 3사의 유럽 매출은 감소했습니다.
  • 정부 지원 요구: 배터리업계는 2차전지가 반도체 못지않은 국가 전략산업이라며 정부의 정책 지원이 절실하다고 주장합니다.
    • 직접 환급제 도입: 투자금액에 비례해 현금으로 돌려주는 직접 환급제 도입을 요구합니다. 현재 한국은 법인세 감면 방식을 고수하여 적자 기업은 혜택을 받지 못합니다.
    • 배터리 펀드 조성: 정부와 민간이 공동 투자하여 공동 수익을 기대하는 펀드 조성을 대안으로 거론합니다.

7. 주식 시장 활성화 정책: 배당소득 분리과세 추진

정부가 '코리아디스카운트' 해소 및 주식 시장 활성화를 위해 배당소득 분리과세 도입을 추진합니다. 이는 최대주주의 배당 확대를 유도하고 국내 증시로 자금 유입을 늘려 주가 상승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구상입니다.

주요 내용:

  • 추진 배경: 한국 증시의 고질적인 저평가 원인인 낮은 주주환원율과 단기 투자 중심 문화를 개선하기 위함입니다.
  • 배당소득 분리과세 (이소영 의원안 중심):
    • 대상: 배당성향(순이익 중 배당금 비율)이 35% 이상인 상장사가 지급하는 배당.
    • 세율:
      • 2천만 원 이하: 기존과 동일하게 15.4%
      • 2천만 원 초과 3억 원 이하: 22% (별도 세율)
      • 3억 원 초과: 27.5% (별도 세율)
    • 기존 문제점: 현재는 배당소득과 금융소득을 합해 연 2천만 원이 넘으면 최고 49.5%의 금융소득종합과세가 적용되어 최대주주가 배당을 늘릴 유인이 적었습니다.
  • 기대 효과: 배당세 부담을 줄여 기업의 배당 확대를 유도하고, 장기 투자를 장려하여 주식 시장에 더 많은 자금을 유입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논의 및 추진: 국정기획위원회와 기획재정부가 세수 영향을 시나리오별로 분석 중이며, 내년도 세제 개편안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추가 검토 사항:
    • 연금저축 및 IRP 세액공제 확대: 세액공제 한도를 900만 원에서 1,800만 원으로 확대 검토.
    • ISA 제도 개편: 주니어 ISA, 국내투자형 ISA, 재정매칭형 ISA 도입 등을 건의. 국내투자형 ISA는 국내 주식 및 주식형 펀드로 투자 대상을 한정하는 대신 비과세 한도(1천만 원)가 일반 ISA보다 두 배 많습니다.
  • 정부 입장: 부동산 쏠림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주식 투자 인센티브를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이번주, 미국 주식시장 나름 뜨거웠다고 생각합니다. 딱 일주일전 미국의 이란 핵시설 폭격으로 월요일 장이 너무 걱정되었으나, 다행히 이란의 반격이 예상보다 낮았고, 트럼프의 강력한 경고 앞에 이스라엘과 이란이 극적 휴전하면서 격동의 순간이 빨리 지나갔습니다. 
게다가 중국과의 무역전쟁도 나름 타결되고.. 주식시장에 훈풍이 불었습니다. 
 
그야말로 엔비디아는 독보적인 행보를 이어가는 모습이었습니다. 
 
그럼 주식시장이 쉬는 주말, 저의 주식이야기를 또 이어가 보겠습니다. 
 

나의 주식투자 길잡이가 되어 준 책 

 
주식에 입문하는 사람 모두가 그러하듯이 저 또한 이것 저것 주식관련 서적, 경제 관련 서적을 읽기 시작하였습니다. 
 
그 중에 20여년이 지난 지금에도 저의 투자 방식에 영향을 주는 책이 있었습니다. 
 
바로 '고승덕 변호사의 주식강의'라는 3권으로된 책이었습니다. 

 


고승덕 변호사는 그야말로 천재입니다. 고시 3관왕, 방송인, 법조인, 주식투자자.. 그가 못하는 것은 그 당시 거의 없었습니다.
그가 쓴 책은 정말 저에게는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20여년 주식을 하면서 깡통을 차지 않고 나름 즐기면서 지금까지도 투자할 수 있는 능력을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왜 주식 투자를 열심히 하게 되었나? 

 

물론 지난번 글에서 우연히 '바이 코리아'펀드로 수익을 내어 주식에 입문했다고 했으나, 그건 간접투자 방식이고, 직접 주식을 매매하는 투자 방식을 선호하게 된 것은 바로 '월요병 극복' 을 위해서 였습니다.
 
그 당시 사회 초년생인 저는 월요일이 오는 것이 너무 싫었고, 무기력했었습니다. 많은 분들도 일요일 저녁 잠자리에 빨리 들지 못하는 이유가 일요일을 보내기 싫어서가 아닐까요^^
 

주식투자를 하면서 월요일이 기다려지기 시작하였습니다. 놀라운 변화였습니다.

 
희노애락도 생겼습니다. 게다가 거시경제, 세상 돌아가는 일들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전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다 주식시장과 관련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제가 고등학교때 상업을 배운것도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교과과목 중에서 그렇게 실생활에 쓸모가 있는 과목도 드물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지금 고등교육에서 하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금융교육(상업)은 의무교육으로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다행히 20여년 주식매매가 큰 실패도, 큰 성공도 아닌 그져 삶에 희노애락을 넣어주는 역할을 잘 해주었다는 느낌이 드네요. 가끔 주식으로 번 돈으로 밥도 사고.. 품위유지도 하고, 친구들과 이야깃거리도 만들고.. 
 
이번 글에서는 나에게 빛이 되어준 책, 주식매매로 월요병을 날려버린 이야기를 해봤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https://namu.wiki/w/고승덕

고승덕

대한민국 의 법조인 , 방송인 , 정치인 . 생애 1957년 11월 12일 전라남도 광주시 월산동 (

namu.wiki

 
 

고승덕 변호사의 『주식 강의』 책 내용 요약 

고승덕 변호사의 『주식 강의』는 총 3권으로 구성된 주식 투자와 기술적 분석에 관한 대표적인 입문서이자 실전 투자 지침서입니다. 이 책은 저자만의 독창적인 기술적 분석 이론, 특히 ‘파동원리’를 중심으로 주식시장과 차트 해석의 원리를 쉽게 설명합니다.

 

powered by perplexity.ai

1. 책의 구성과 특징

  • 총 3권(1권: 분석원리, 2권: 실전기법, 3권: 선물/옵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식 초보자부터 실전 투자자까지 단계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됨12.
  • 기존의 기술적 분석 이론을 연구하고, 저자만의 분석법과 투자 철학을 체계적으로 정리13.
  • 특히 ‘파동원리’라는 독창적 분석법을 통해 차트와 시장 흐름을 해석하는 방법을 강조123.
  • 차트 해석, 보조지표, 시장 심리 등 실전 투자에 꼭 필요한 내용을 쉽게 풀어 설명24.

2. 각 권별 주요 내용

1권: 분석 원리 편

  • 기본 개념: 개미(개인 투자자)와 세력(큰 자금의 투자자)의 차이, 주식 시작 방법, 주가 결정 원리 등 주식투자의 기초를 다룸564.
  • 차트 분석의 기초: 차트 해석의 기본, 봉(캔들), 이동평균선, 스토캐스틱, 거래량 등 주요 보조지표의 개념과 해석법564.
  • 파동원리 분석법: 주가의 움직임을 파동(쌍바닥, 쌍봉 등)으로 해석하여 매수·매도 시점을 찾는 방법에 집중124.
  • 실전 분석: 파동원리의 실제 적용 사례와 다양한 지표의 활용법56.

2권: 실전 기법 편

  • 잘못된 투자 원칙과 어설픈 기법 비판: 엘리어트 파동이론, 캔들차트, 그랜빌 법칙 등 기존 이론의 한계와 저자만의 해석5.
  • 시장 흐름 분석: 경제지표와 주식시장, 종합주가지수, 미국 시장 등 거시적 흐름과 투자 전략5.
  • 매매 신호와 실전 매매법: 매수·매도 타이밍, 실전에서 자주 쓰이는 매매법, 개미들이 선호하는 매매법 등 실전 투자에 바로 적용 가능한 노하우5.

3권: 선물/옵션 편

  • 선물과 옵션 등 파생상품 투자에 파동원리를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12.

3. 책의 핵심 이론: 파동원리

  • 파동원리란?
    시장의 모든 움직임은 일정한 파동(물결) 형태로 반복된다는 전제에서 출발123.
  • 쌍바닥, 쌍봉 등 기본적인 파동 패턴을 중심으로 주가 흐름을 해석하고, 매수·매도 시점을 포착2.
  • 차트와 보조지표는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투자자 심리와 군중 심리가 반영된 결과물로 해석해야 한다고 강조43.

4. 기타 특징 및 평가

  • 기존 기술적 분석서와 달리, 저자만의 해석과 실전 경험이 녹아 있어 실질적인 투자 지침서로 평가받음123.
  • 차트 해석에만 치중하지 않고, 시장의 본질적 원리와 투자 심리를 깊이 있게 다룸43.

요약

고승덕 변호사의 『주식 강의』는 기술적 분석, 특히 파동원리에 근거한 차트 해석과 실전 투자법을 중심으로, 주식시장의 원리와 투자 심리를 쉽고 깊이 있게 설명한 책입니다. 초보자에게는 주식의 기본 원리와 차트 해석법을, 실전 투자자에게는 실제 매매 전략과 시장 흐름 분석법을 제공하는 실용적인 투자서로 평가받고 있습니다15243.

  1. https://blog.naver.com/dancing_line/120156743163
  2. https://ilikeen.tistory.com/1015
  3. http://blog.naver.com/smblaw/10183078569
  4. https://blog.naver.com/cache999/223169523383
  5. https://pplas.tistory.com/90
  6. https://m.yes24.com/goods/detail/274313
  7.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47505
  8. https://www.bandinlunis.com/front/product/detailProduct.do?prodId=2262443
  9.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568239
  10. https://blog.naver.com/iqc/223664031687

 
 
 
https://stock-road-82.tistory.com/88

나의 주식 이야기 (1)

앞서 블랙먼데이 걱정을 하다 제가 그간 경험한 폭락이 여러번이었다는 기억을 떠올렸습니다. 그러다 은행에 저축하지 않고 처음으로 주식시작에 발을 들여놓은 때가 언제였던가 생각해봅니다

stock-road-82.tistory.com

 
 
 

2025년 6월 27일 시장 동향

부동산 시장 동향

  • 아파트 매매 가격

    • 서울 아파트: 20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하며 6월 셋째 주(16일 기준)에 전주 대비 0.36% 상승했습니다. 올해 누적 상승률은 3.1%에 달합니다. 6월 23일 기준으로는 0.43% 상승하여 2018년 9월 둘째 주(0.45%) 이후 6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
    • 전국 아파트: 2주 연속 상승세를 보이며 6월 셋째 주에 전주 대비 0.05% 상승했습니다. 지방은 전주 대비 0.03% 하락했습니다.
    • 주요 지역 상승률 (6월 셋째 주 서울 자치구):
      • 성동구: 0.76% 상승 (금호·하왕십리동 선호 단지 위주)
      • 강남구: 0.75% 상승 (압구정·대치동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
      • 송파구: 0.7% 상승 (신천·잠실동 위주)
    • 한강 벨트 및 과천 아파트값 상승률 (올해 누적):
      • 성동구: 5.74%
      • 마포구: 5.11%
      • 동작구: 3.25%
      • 영등포구: 3.19%
      • 광진구: 3.09%
      • 과천시: 7.60% (전국 상승률 3위, 송파구 8.58%, 강남구 7.84%에 이어)
    • 특정 단지 거래 사례: 성수동1가 서울숲아이파크리버포레 1차 전용면적 84㎡(31층)가 지난달 34억 9,000만원에 거래되어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4월 같은 면적 24층이 29억 원에 팔린 것과 비교해 한 달 새 5억 9,000만원 급등한 수치입니다.
    • 평균 아파트 매매가: 지난달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KB부동산 기준 13억 4,543만원으로 치솟았습니다. 이는 작년 5월(11억 9,773만원) 대비 1년 새 1억 4,770만원 상승한 것입니다.
    • 서울 평균 주택 매매가: 지난달 처음으로 10억원을 넘어섰습니다 (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 포함).
    • PIR (소득 대비 주택 가격) 지수: 서울 PIR 지수는 1314 수준으로 뉴욕·런던(78 수준), 시드니(5 미만)보다 높습니다.
    • 고가 아파트 거래: 올해 30억 원 이상 아파트 거래가 2천 건을 넘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 아파트 전세 가격

    • 전국 전세가격지수: 전주보다 0.01% 상승했습니다.
    • 수도권 전세가격지수: 전주 대비 0.03% 상승했습니다.
    • 서울 전세가격지수: 전주 대비 0.07% 상승했습니다.
    • 지방 전세가격지수: 전주 대비 0.01% 하락했습니다.
  • 월세 시장 동향 (서울 연립·다세대 원룸, 보증금 1천만원 기준)

    • 5월 평균 월세: 72만원으로 올해 들어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4월 대비 4만원(6%) 상승)
    • 5월 평균 전세 보증금: 2억 1,841만원을 기록했습니다. (4월 대비 587만원(2.8%) 상승)
    • 평균 월세가 가장 높은 자치구:
      • 용산구: 102만원 (서울 평균 대비 41%, 30만원 높음, 4월 대비 44.8% 상승)
      • 강남구: 92만원
      • 서초구, 성동구: 81만원
      • 동작구: 80만원
      • 중구, 강서구: 77만원
      • 중랑구, 금천구, 영등포구: 76만원
      • 강동구: 74만원
    • 전세 보증금이 가장 높은 자치구:
      • 서초구: 평균 2억 7,258만원 (5개월 연속 1위, 서울 평균 대비 5,417만원 높음, 서울 평균 시세의 125% 수준)
      • 강남구: 2억 5,927만원
      • 광진구: 2억 3,896만원
      • 용산구: 2억 3,728만원
      • 중구: 2억 2,668만원
      • 성동구: 2억 2,265만원
      • 송파구: 2억 2,332만원
      • 마포구: 2억 2,162만원
    • 월세 보증금 1억원 미만 원룸: 평균 월세 보증금 2,493만원, 평균 월세 67만원.
      • 용산구: 평균 월세 보증금 2,143만원, 월세 97만원.
      • 강남구: 평균 월세 보증금 1,906만원, 월세 88만원.
  • 주택 구매 수요 및 청약 통장:

    • 청약 통장 가입자 수: 2,639만 3,790계좌 (5월 기준), 2022년 6월 최고치(2,859만 9,279계좌) 대비 3년 새 220만 계좌 이상 급감했습니다.
    • 서울 거주자의 타 지역 아파트 매매 비중 증가:
      • 인천: 올해 1월 6.1%(95건) → 4월 7.4%(229건)
      • 하남: 20% → 30.8%
      • 광명: 25.8% → 31.5%
      • 수원: 5.6% → 6.8%

고용 시장 동향 (2025년 5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기준)

  • 근로자 1인당 명목 임금: 397만 1,000원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
  • 근로자 1인당 실질 임금: 341만 2,000원 (소비자 물가 고려, 0.6% 증가)
  • 산업별 평균 임금:
    • 금융 및 보험업: 744만 2,000원 (가장 높음,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
    •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589만 1,000원
    • 숙박 및 음식점업: 218만 3,000원 (가장 낮음)
  • 종사자 지위별 임금:
    • 상용근로자: 월평균 임금 421만 5,000원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
      • 정액급여: 361만 3,000원 (2.7% 증가)
      • 초과급여: 24만 6,000원 (2.8% 증가)
      • 특별급여: 35만 6,000원 (3.6% 증가)
      • 총 근로시간: 174.2시간 (전년 동기 대비 6.5시간 증가)
    • 임시일용직: 월평균 임금 178만 6,000원 (전년 동기 대비 3.1% 감소)
      • 총 근로시간: 87.3시간 (전년 동기 대비 0.2시간 감소)
      • 건설업 종사자 수 4만 6,000명(-15.3%) 감소, 12개월 연속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 지속.
  • 제조업 종사자 수: 2023년 10월부터 20개월 연속 감소 중입니다.
  • 입직자 수: 86만 4,000명 (전년 대비 6.6% 감소)
  • 기업 채용 계획 규모 (2025년 상반기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국내 기업들이 올해 2~3분기 채용 계획 규모를 5만명 이상 줄였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7% 줄어든 수치입니다.
  • 채용 계획 인원이 많은 상위 5개 직종: 경영·행정·사무직 (6만 4,000명), 영업·판매직 (5만명), 음식 서비스직 (4만 6,000명), 운전·운송직 (3만 9,000명), 기계설치·정비·생산직.

반도체 산업 동향

  • 마이크론 실적 (2025 회계연도 3분기: 3~5월):
    • 매출: 93억 달러 (약 12조 6,600억원),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 시장 전망치 상회.
    • 영업이익: 24억 9,000만 달러 (약 3조 3,700억원), 165% 급증. 시장 전망치 상회.
    • HBM을 포함한 D램의 50% 이상 성장이 실적을 이끌었습니다.
    • 데이터센터 매출은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하여 분기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SK하이닉스 전망 (2분기):
    • 매출: 20조 5,000억원 안팎 (시장 추정치).
    • 영업이익: 9조원 수준 (시장 추정치), 창사 이래 최대 분기 실적 유력.
    • 1분기 영업이익은 7조 4,000억원을 기록하며 8분기 연속 실적 개선세를 보였습니다.
    • 2분기에는 AI 반도체 수요 확산에 따라 HBM3E 매출 비중이 절반을 넘어서며 전체 수익성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하반기에는 HBM4 샘플 공급 확대 및 연내 양산 체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주가: 5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 29만 3,000원에 마감했으며, 오전 프리장에서는 30만원까지 상승했습니다.
  • 삼성전자 (DS 부문) 전망 (2분기):
    • 영업이익: 약 2조원 (KB증권 전망), HBM 인증 지연, 파운드리 부문 적자 지속, 환율 하락 등이 실적에 부담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업계에서는 2분기가 삼성전자 실적의 저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하반기에는 HBM 공급 확대와 함께 파운드리 수익성 악화 우려가 완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가상자산 시장 및 관련주 동향

  • 미국 주택담보대출 심사 시 암호화폐 자산 인정: 연방주택금융청(FHFA)은 패니메이와 프레디맥에 주택담보대출 심사 시 암호화폐를 현금화하지 않고도 자산으로 인정하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지시했습니다. 이는 암호화폐가 가계 금융자산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확대되고 있음을 인정한 것입니다.
  •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 발언: 스테이블코인 산업이 상당히 성숙했으며 금융시장에서 주류의 일부가 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의 암호화폐 정책: 미국을 '세계 암호화폐 수도'로 만들겠다고 밝혔으며, 비트코인, 리플, 솔라나, 카르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5개를 전략 자산으로 비축하라고 지시했습니다.
  • 스테이블코인 제도권 편입: 미국 상원은 이달 17일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으로 편입하는 '지니어스법'을 통과시켰습니다.
  • 비트코인 가격: 6월 26일 한때 10만 8,305.54달러에 거래되었으며, 이날 오후 2시 30분 기준 10만 7,612.23달러를 기록했습니다.
  • '한국판 스트래티지' 표방 코스닥 기업:
    • 비트맥스 (구 맥스트): 과거 메타버스 대장주였으나 가상자산 회사로 변신했습니다. 주가는 지난달 초 1,000원대 후반에서 7,120원(6월 26일)으로 276% 급등했습니다. 비트코인 보유량이 300개를 넘었으며, 1,00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해 이 중 약 900억 원을 비트코인 매입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신약 개발 회사에서 가상자산 관련주로 전환하며 나흘째 상한가(2,680원, 6월 26일)를 기록했습니다. 닷새 만에 700원대에서 폭등했습니다.
    • 이니텍: 보안업체였으나 스테이블코인 사업에 진출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 앱트뉴로사이언스: 지열 에너지 사업 주력 기업이었으나 가상자산 업체로 변신했습니다.
  • 알트코인 비축 전략 채택 기업:
    • 비트디지털: 비트코인 채굴 기업에서 이더리움 비축 및 스테이킹 기업으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3월 31일 기준 이더리움 2만 4,434.2개와 비트코인 417.6개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보유 비트코인을 모두 이더리움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샤프링크게이밍: 스포츠 베팅 플랫폼 기업으로 이더리움 비축 전략을 도입했습니다. 6월 20일 기준 이더리움 18만 8,478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비보파워: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 XRP 중심의 비축 전략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주식 사모 발행으로 1억 2,100만 달러를 조달했습니다.
  • 금융 당국 규제 완화: 하반기부터 금융 회사 등을 제외한 상장사 약 2,500곳의 투자·재무 목적 가상자산 거래를 시범적으로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증시 동향

  • 나스닥 100 지수: 6월 25일(현지시간) 2만 2,237.74를 기록하며 지난 2월 19일 달성했던 전고점을 회복했습니다.
  • 주요국 증시 상승률 (올해 들어):
    • 코스피: 28.0%
    • 홍콩 항셍: 21.3%
    • 독일 DAX: 18.0%
    • S&P500: 3.58%
    • 나스닥: 3.43%
  • 미국 증시 주요 기업 주가:
    • 엔비디아: 이달 들어 17.5% 상승하며 신고가를 경신하고 시가총액 1위 자리를 회복했습니다 (현재 주가 154.31달러, 역사적 최고가 154.31달러).
    • 마이크로소프트: 6월 25일 역사상 최고가를 다시 썼습니다 (현재 주가 492.27달러, 역사적 최고가 492.27달러).
    • 애플: 전고점 대비 22.5% 하락 (현재 주가 201.56달러, 역사적 최고가 260.1달러).
    • 테슬라: 33% 하락 (현재 주가 327.55달러, 역사적 최고가 488.54달러).
    • 아마존: (현재 주가 211.99달러, 역사적 최고가 242.52달러).
    • 알파벳: (현재 주가 171.49달러, 역사적 최고가 208.7달러).
    • 메타: (현재 주가 708.68달러, 역사적 최고가 740.91달러).

 

주요 내용 요약

  • Cobra 분리막 공정, 기준 생산(baseline production) 진입 — 핵심 기술이 상용화 단계로 진입하면서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 25배 빠른 열처리율 · 최소 설비 공간 — Raptor 대비 속도·효율·공간 세 면에서 우위 확보quantumscape.com+11ir.quantumscape.com+11finance.yahoo.com+11.
  • 폭스바겐·무라타 파트너십 확대 기대 — 고체배터리 양산에 필요한 역량 보강, 공급망·제조 협력 기반 강화 .

 

1️⃣ Cobra 분리막 기술이란?

✅ 핵심 포인트


2️⃣ 왜 ‘기준 생산(baseline production)’ 진입이 중대한가?

✅ 단계별 의미

  • 단순 개발 → 샘플 생산  상용용량 생산 체제 전환
  • 이제 Cobra는 QuantumScape의 표준 생산 라인 핵심 공정으로 자리잡았으며, 이는 기술 실증과 양산 준비 완료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것을 뜻합니다 fool.com+11benzinga.com+11electrek.co+11.
  • 이 기반은 기가급 규모 생산(Gigawatt-scale) 을 향한 실제 발판이 됩니다 .

3️⃣ 시장 반응 및 주가 동향


4️⃣ 전략적 파트너십과 라이선싱

  • QuantumScape는 폭스바겐 PowerCo와 협력 모델을 확장 중이며, **무라타(Murata)**와의 세라믹 공정 라이선싱 구조 구축도 추진 중 fool.com+8ca.investing.com+8gurufocus.com+8.
  • 이러한 협력은 경량·고에너지 밀도 QSE‑5 셀의 OEM용 생산 및 라이선스 기반 확대에 긍정적 신호임electrek.co+1reddit.com+1.

5️⃣ 장기 전망 & 리스크

 
 기대 요인 2026년기 B1 샘플 생산 본격화 계획<br>- OEM 대상 라이선스 확대 → 저자본 성장 가능성
⚠️ 리스크 요소 - 실제 양산 단계에서의 품질 유지·제조 안정성
- 전통 Li-ion 및 경쟁 고체전지 기업(CATL, Solid Power 등)과의 경쟁 압박
- 무매출 상태, Q2~Q3 고객 수주/계약 여부가 주가 분수령

2025년 6월 24일 시장은 부동산 시장의 구조적 불균형 심화, 기록적인 주가 지수 상승과 개인 투자자의 '곱버스' 베팅, 그리고 주요 기업들의 명운을 가른 기술 혁신 등 다채로운 이슈들로 요약됩니다.


Ⅰ. 부동산 시장: 수도권 '공급절벽' vs 지방 '미분양' 심화

수도권의 공급 부족 문제와 지방의 미분양 문제가 동시에 심화되며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가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농림지역 규제 완화 카드를 꺼내 들었지만, 시장의 구조적 불균형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1. 수도권 입주절벽 현실화

  • 핵심 데이터: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에 따르면, 수도권 입주 물량은 2025년 14만 가구에서 2026년 10만 가구약 30% 급감할 전망입니다.
  • 원인: 수년간 지속된 건설 착공 감소의 여파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 정책 제언: 건산연은 ▲3기 신도시 등 공공주택 조기 공급 ▲민간 사업성 제고 ▲금융 접근성 강화 ▲지방 정주 여건 개선 등 4대 정책과제를 제시했습니다.

2. 뜨거운 대전 부동산 시장

  • 분양 전망: 주택산업연구원의 6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에서 대전은 116.7로 전국 2위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월 대비 16.7포인트 급등한 수치입니다. (1위 세종: 118.2)
  • 거래량: 4월 대전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월 대비 1.7배 증가했습니다.
  • 소비 심리: 대전의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5월 106.2를 기록하며 '매도자 우위'를 의미하는 100을 넘어섰습니다.
  • 배경: 새 정부의 과학수도 육성 전략,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 광역철도 등 교통 인프라 확충 기대감이 시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3. 농림지역 규제 완화

  • 주요 내용: 농업인이 아닌 일반 국민도 농림지역(보전산지·농업진흥구역 제외)에서 단독주택(1,000㎡ 미만) 건축이 허용됩니다.
  • 영향 범위: 전국 약 140만 필지가 규제 완화 대상이 될 것으로 추정됩니다.
  • 기대 효과: 귀농·귀촌 및 주말 여가 수요 증가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Ⅱ. 금융 및 증시: 코스피 3100 돌파 속 '개미의 눈물'

이스라엘-이란 휴전 협상과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에 코스피가 3100선을 돌파하는 등 증시는 뜨거웠지만, 개인 투자자들은 지수 하락에 베팅하며 큰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 주요 지수 현황

  • KOSPI: 전일 대비 2.96%(89.17p) 급등3103.64에 마감하며, 3년 9개월 만에 3100선 돌파.
  • KOSDAQ: 전일 대비 2.06%(10.41p) 상승800.93에 마감하며, 11개월 만에 800선 회복.
  • 상승 동력: 삼성전자(+4.31%), SK하이닉스(+7.32%) 등 반도체 투톱이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2. 투자자별 동향과 '곱버스' 비극

  • 수급: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318억 원, 2,593억 원을 순매수했으나, 개인은 6,384억 원을 순매도했습니다.
  • 개인 투자: 개인은 지수 하락 시 2배 수익을 내는 'KODEX 200선물 인버스2X' ETF를 최근 1주일간 1,237억 원 순매수했습니다.
  • 수익률: 해당 ETF는 6월 한 달간 -25.29%의 손실을 기록하며, 개인 투자자들의 큰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 증권가 전망: 유안타증권은 하반기 코스피 상단을 3300으로 상향 조정하는 등 긍정적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3. 금융 정책 변화

  • 주담대 자본규제: 정부가 주택담보대출 위험가중치를 현행 15%에서 25%로 상향 조정을 검토 중입니다.
    • 영향: 4대 금융지주의 위험가중자산(RWA)이 약 45조 원 증가하고,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평균 0.48%p 하락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는 자영업자·중소기업 대출 문턱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 미국 금리 인하설: 트럼프가 임명한 연준 내 매파 인사들이 '7월 금리 인하'를 시사하며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 CME 페드워치: 6월 23일 기준 7월 금리 인하 확률은 7.7%로 나타났습니다.

Ⅲ. 산업 및 기업 동향: 희비가 엇갈린 기업들

HBM 기술로 새 역사를 쓴 SK하이닉스와 기술수출 대박을 터뜨린 에이비온이 주목받은 반면, 일부 기업들은 정책과 시장 변화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1. SK하이닉스, 시총 200조 시대 개막

  • 주가 및 시총: 주가가 7.32% 급등하며 278,500원에 마감, 시가총액은 202조 7,487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삼성전자에 이어 국내 상장사 역대 2번째입니다.
  • 성장 동력: 2013년 세계 최초로 개발에 착수한 고대역폭메모리(HBM)가 AI 시대의 필수 부품으로 자리 잡으며 시장을 장악한 것이 주효했습니다. (2024년 HBM 시장 점유율 52.5%)

2. 한국전력, 전기요금 동결에도 주가 20% 급등

  • 주가: 3분기 전기요금 동결 발표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20.71% 급등34,100원(52주 신고가)을 기록했습니다.
  • 배경: 국제 유가 하락으로 연료비 부담이 줄어 실적 개선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서부텍사스원유(WTI) 가격은 1년 전보다 약 18% 하락했습니다.

3. 주요 기업 계약 및 성과

  • 현대건설: 핀란드 국영 에너지 기업 포툼, 웨스팅하우스와 함께 핀란드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사전업무착수계약(EWA)을 체결하며 본계약 수주에 유리한 고지를 점했습니다.
  • 에이비온: 자체 항체 플랫폼 'ABN501'로 제작한 항체 신약 후보물질을 총 1조 8,000억 원(13억 1,500만 달러) 규모로 기술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 테슬라: 텍사스 오스틴에서 진행된 로보택시(무인택시) 시범 서비스가 호평을 받으며 주가가 하루 만에 8.23% 급등했습니다.

포모(FOMO)' 투자 심리 속 '서클(Circle)' 주가 폭등

미국 최대 스테이블코인(USDC) 발행사 '서클'의 주가가 역사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주요 가상자산 기업들의 시가총액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주가 성과: 상장 후 주가가 공모가(31달러) 대비 약 8.5배 폭등하여 263.45달러에 마감했습니다.
시가총액: 638억 달러를 기록하며, 주식 거래 플랫폼 로빈후드(673억 달러)를 턱밑까지 추격했습니다.
상승 배경:
스테이블코인 시장 성장 및 제도권 편입에 대한 기대감.
미국 상원에서 통과된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이 미국 기업인 서클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
우려 지점: 단기 급등으로 인한 고평가(밸류에이션) 부담이 지적됩니다. 과거 12개월 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이 2634.5배에 달해 코인베이스(57.71배) 등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Ⅳ. 고용 정책: '쉬었음 청년' 지원 강화

청년 고용 문제가 심화되자 정부가 구직수당을 대폭 인상하는 등 지원 강화에 나섭니다.

  • 현황: 일도 구직도 하지 않는 '쉬었음' 청년 인구가 지난 2월 사상 처음으로 5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 연구 결과: '쉬었음' 기간이 1년 늘어날 때마다 다음 해 취업 성공 확률이 7%p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정부 대책:
    • 구직촉진수당: 현행 월 50만 원에서 월 80만 원으로 인상 추진.
    • 자발적 이직자 실업급여: 34세 이하 청년이 자발적으로 이직할 경우, 생애 1회에 한해 월 최대 100만 원의 구직급여를 지급하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2025년 6월 23일 시장 동향 요약

2025년 6월 23일 월요일, 국내외 시장은 재건축 기대감에 따른 부동산 시장 과열,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의 영향, 그리고 K뷰티·반도체 등 특정 산업의 강세가 두드러지는 등 다양한 동향을 보였습니다.


1. 부동산 시장: 재건축과 '갭 메우기'로 뜨거운 서울

여의도, 재건축 속도전에 집값 '불'

여의도를 중심으로 한 영등포구의 아파트 가격이 재건축 사업 가속화에 힘입어 급등하고 있습니다.

  • 주요 지표:
    • 영등포구 주간 아파트 상승률: 0.33% (올해 최고치)
    • 영등포구 올해 누적 상승률: 2.70% (작년 동기 0.59% 대비 급증)
  • 주요 단지 동향:
    • 대교아파트 (95㎡): 지난달 28억 1,000만 원에 신고가를 기록, 두 달 만에 4억 원 상승.
    • 시범아파트 (79㎡): 지난달 26억 8,000만 원에 거래, 전년 대비 7억 2,000만 원 급등.
    • 삼부아파트 (135㎡): 조합 설립을 앞두고 지난달 37억 2,000만 원에 신고가 경신.
  • 시장 상황: 재건축 기대감으로 매수 문의는 많으나 매물이 부족하고 호가가 계속 올라 실제 거래는 많지 않은 상황입니다.

서울 전역, '갭 메우기' 장세 확산

강남 3구에서 시작된 상승세가 마포·용산·성동 등 '한강 벨트'를 거쳐 서울 전역으로 확산하는 '갭 메우기'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서울 아파트 매매가: 1주일 만에 0.36% 상승, 이는 6년 9개월 만의 최대 상승폭입니다.
  • 상승 주도 지역 (올해 누적): 송파(7.6%), 강남(7.0%), 서초(6.3%) 등 강남권이 시장을 이끌었습니다.
  • '갭 메우기' 유망 단지: 전문가들은 목동한신청구, 행당한진타운, 구의현대2단지 등 핵심지 내에서 상대적으로 덜 오른 대단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 이들 단지는 최근 한 달 새 5% 이상 시세가 상승했습니다.

2. 거시 경제 및 정책 동향

30조 원 추경, 집값 상승 부채질하나

정부가 편성한 30조 5,000억 원 규모의 추경이 통화량 증가를 통해 부동산 가격을 추가로 상승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 KDI 보고서 분석 (2020년): 통화량이 1% 증가할 경우, 주택 가격은 4분기에 걸쳐 0.9%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는 공급이 비탄력적인 부동산 시장의 특성 때문입니다.
  • 시사점: 최근 주택 공급이 부진한 상황에서 추경 편성은 단기적으로 집값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외환 및 채권 시장

중동 리스크와 정부의 재정 정책이 시장에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원·달러 환율: 미국의 중동 분쟁 직접 개입 여부에 따라 1,400원 선을 위협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다만, 정부의 추경안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감은 환율 상승을 제어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주 환율은 1,350원 ~ 1,400원 사이에서 움직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 채권 시장: 정부가 추경 재원 마련을 위해 19조 8,000억 원 규모의 적자국채 발행을 계획함에 따라 금리 상승 압박이 존재합니다. 시장은 추가 추경 가능성에 대한 경계감도 보이고 있습니다.

3. 증시 및 투자 동향

업종별 동향

  • K-뷰티: 미국과 유럽 등 신시장으로의 수출이 급증하며 관련주가 전방위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코스맥스: 최근 5거래일간 16.70% 급등.
    • 아모레퍼시픽: 같은 기간 11.92% 상승.
    • 전망: K-뷰티가 단순 유행을 넘어 구조적 성장 구간에 진입했다는 긍정적 분석이 나옵니다.
  • 반도체: 범용 D램 가격이 예상을 뛰어넘는 급등세를 보이며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실적 개선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 DDR4 16Gb 가격: 4주 만에 100% 넘게 급등.
    • 원인: 구형 제품 단종과 미 관세 정책 우려에 따른 재고 비축 수요 증가.
    • 전망: 3분기 범용 D램 가격이 18~23% 추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HBM 이슈로 부진했던 삼성전자 주가에 긍정적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스테이블코인 관련주: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 기대감에 관련주가 폭등했습니다.

    • 카카오페이: 최근 한 달간 162.71% 급등.
    • 미투온: 같은 기간 276.28% 폭등.
    • 배경: 정부와 여당의 제도화 추진 및 관련 법안 발의가 주가에 불을 지폈습니다.

투자 주체별 동향

  • 고액 자산가: 반도체와 원전주를 집중 매수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 순매수 1위: SK하이닉스 (한투증권 고객 기준, 주간 117억 원 순매수)
    • 순매수 2위: 두산에너빌리티 (주간 63억 원 순매수, 올해 233% 급등)
  • 본주 vs 우선주: 코스피 상승 랠리 속에서 의결권이 있는 본주가 우선주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며 괴리율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배당수익률보다 시세차익을 우선시하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단, NH투자증권우처럼 배당률이 월등히 높은 경우는 예외)


4. 주요 기업 동향

  • LG CNS: '피지컬 AI' 시장 선점을 위해 로봇 전문 연구소 '퓨처 로보틱스 랩'을 신설했습니다.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는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 개발을 통해 스마트팩토리 등 산업용 AI 로봇 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입니다.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관리종목 탈피를 위해 미국 디지털자산 투자사 '파라택시스'로부터 250억 원의 자금을 유치하며 경영권이 파라택시스로 넘어갑니다. 잇단 임상 실패로 제약업계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은 결과로 분석됩니다.
  • 애플: AI 역량 강화를 위해 AI 검색엔진 스타트업 '퍼플렉시티(Perplexity AI)' 인수를 내부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성사 시 애플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M&A가 될 수 있습니다.

 

앞서 블랙먼데이 걱정을 하다 제가 그간 경험한 폭락이 여러번이었다는 기억을 떠올렸습니다. 

그러다 은행에 저축하지 않고 처음으로 주식시작에 발을 들여놓은 때가 언제였던가 생각해봅니다. 

제 기억으로는 '바이코리아' 펀드라는 것을 호기심에 2~3백만원정도 넣어 시작한게 처음 시작이었습니다. 

바이코리아 펀드 - 나무위키를 찾아보니 1999년에 발매가 되었더라구요.. 그랬던 것 같습니다. TV CF가 참 인상 깊었던 것 같습니다. 

 

1999년 펀드를 사면서 주식시장에 입문하다.

바이코리아 펀드

https://youtu.be/v94BoMFPyFA?si=wVRfsiJOnAaOzyDr

 

 

펀드를 가입하자 얼마되지 않았는데 무려 수익율이 20%를 넘겨 '은행 예금 이자보다 주식이라는게 정말 좋은 것이구나' 느끼며 직접 주식을 사기 시작하면서 지금까지 25년 넘게 주식을 한 것 같습니다. 

 

그 때 새롬기술이라는 주식이 있었는데 (저는 사지 못했지만) 정말 장안에 화제였던 주식이 있었습니다. 정말 놀라운 상승을 보인 주식이었죠. 

https://namu.wiki/w/새롬%20데이타맨

 

새롬 데이타맨

(주)새롬기술에서 개발한 PC통신 에뮬레이터 . 시대에 맞게 처음부터 윈도우 용으로 개발했다는게 특징으로 1

namu.wiki

 

새롬기술은 1999년 당시 여기 다니는 직원은 1등 신랑감 신부감으로 여겨지던 때였습니다. 선망의 대상이었죠. 당시 IT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인터넷 전화기술을 개발하면 승승장구하였습니다. 물론 급격히 몰락하였죠.

 

주식 초보로 첫 실패를 맛본 주식 - KTF

저 또한 주식 초보자로서 쓰디쓴 경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당시  sk텔레콤이 황제주에 오르자, KTF라고 016을 사용하던 회사가 상장하면서 KTF도 100만원이 될 것이라는 헛된 희망에 아무것도 모르면서 20만원 이상 고가에 샀다가  많은 손해를 보고 말았던 것입니다.

 

주식 매매 공부를 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됩니다
 
 

- 오늘 이야기 여기서 끝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상승 로켓입니다. 

 

이스라엘-이란 충돌이 겪화되고 미국은 참전을 저울질하고 있던 지난 주 

주식을 정리하지 못하고 그대로 가지고 있었는데, 주말.. 트럼프가 블랙먼데이를 그대로 만들어버리네요.

 

늘 폭락하면 폭락하는대로 그대로 받아들였던지라, 이번에도 낙폭 충격은 있겠지만 또 시간이 지나면 회복하겠죠..

 

그저 소박하게는 내일 오후 장에 오전장 낙폭을 다 회복해주길 기원합니다. 

 

 

2025년 6월 18일 시장 동향 요약

부동산 및 건설

1. "고급화보다 속도" 마음 급한 강남 재건축
내년 서울시장 선거를 앞두고 강남권 재건축 단지들이 사업 속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시장이 교체될 경우 재건축 규제가 부활할 것을 우려해, 오세훈 시장 임기 내에 인허가를 받으려는 움직임이 활발합니다. 압구정 2구역(신현대 9·11·12차)은 18일 시공사 입찰 공고를 내며,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경쟁하고 있습니다. 조합은 서울시와 협의한 설계 준수를 강조하며, 사업 지연을 막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잠실주공 5단지 등 다른 단지들도 통합심의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2. 대우건설·삼성물산 참전, '개포우성7차' 재건축 경쟁 심화
서울 강남의 '개포우성7차' 재건축 수주전이 대우건설과 삼성물산의 참여로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19일 입찰 마감을 앞두고, 대우건설은 하이엔드 브랜드 '써밋' 리뉴얼 적용을, 삼성물산은 150억 원의 입찰보증금을 조기 납부하며 강한 의지를 보였습니다. 포스코이앤씨도 참여를 검토 중입니다. 이 단지는 기존 802가구에서 35층, 1122가구로 재건축되며, 총공사비는 약 6778억 원입니다. 용적률이 157%로 낮아 사업성이 높게 평가받고 있습니다. 시공사는 8월 23일 총회에서 결정됩니다.

 

3. 서울 도심 오피스, '공급 과잉' 아닌 '공급 부족' 전망
2030년까지 공급 과잉이 우려됐던 서울 도심(CBD) 오피스 시장이 실제로는 공급 부족을 겪을 것으로 보입니다. 공사비 상승과 PF 대출 규제 등으로 사업 추진이 지연되면서, 2026년부터 2031년까지 실제 공급량은 기존 예상치(429만㎡)의 3분의 1 수준인 149만㎡에 그칠 전망입니다. 특히 2027년에는 신규 공급이 전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신축 프라임 오피스 수요는 꾸준해 임대료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4. '제3판교테크노밸리' 사업 난항
2조 원 규모의 제3판교테크노밸리 조성 사업이 대학·연구소 유치 실패와 공사비 조율 난항으로 삐걱대고 있습니다. GH(경기주택도시공사)는 지난 2월 건설사 공모를 중단한 후 넉 달째 재개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올해 말 착공 계획은 사실상 무산될 전망입니다.

 

5. '서리풀 복합시설' 개발 본궤도, 5.3조 자금 조달 성공
서울 서초동 옛 정보사 부지 개발 사업이 PF 대출 약정 체결로 본궤도에 올랐습니다. 엠디엠그룹은 신한·KB·우리금융그룹 등으로부터 5조 3000억 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성공했으며, 이는 국내 부동산 PF 역사상 최대 규모입니다. 시공사는 포스코이앤씨로, 7월 착공하여 2028년 준공을 목표로 '한국판 실리콘밸리'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정책 및 경제

6. 국정기획위, '100조 국민펀드' 구체화 속도
이재명 정부의 국정기획위원회가 100조 원 규모의 '국민펀드' 조성 논의를 본격화합니다. 이 펀드는 AI, 반도체, 바이오 등 첨단 전략산업에 집중 투자해 국민과 성과를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사회적 기업 지원과 영상 콘텐츠, 웹툰 등 문화 산업에 대한 세제 혜택 강화 방안도 추진됩니다.

 

7. 일본은행, 국채 매입 감축 속도 조절
일본은행이 통화정책 정상화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시장 충격을 줄이기 위해 내년부터 국채 매입 감축 규모를 기존의 절반인 분기별 2000억 엔으로 줄이기로 했습니다. 기준금리는 연 0.5%로 3회 연속 동결했습니다.

 

8. 미국, "태양광 공제 2028년 폐지, 배터리는 현행 유지"
미 상원 재무위원회가 'OBBBA' 법안 초안에서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지원 기간을 현행대로 2032년까지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국내 배터리 업계에 긍정적인 소식입니다. 반면, 태양광 및 풍력 에너지 세금 공제는 2028년 완전히 종료될 예정입니다.

금융 및 증시

9. 코스피 3000선 앞두고 숨 고르기, 대형주 희비 교차
17일 코스피는 장중 연고점(2998.62)을 기록했으나, 차익 실현 매물과 중동 리스크 부각으로 상승 폭이 줄어 2950.3(0.12%↑)에 마감했습니다. 그동안 소외됐던 삼성전자(1.57%↑)와 현대차(1.74%↑)는 상승했지만, 한화오션(7.85%↑)을 제외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2.78%), HD현대중공업(-2.78%) 등은 하락하며 대형주 내에서도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10. 외국인, 증권주 팔고 은행주 매수 전환
이달 들어 외국인 투자자들이 증권주를 팔고 은행주로 갈아타고 있습니다. 17일까지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 주식을 4350억 원 순매수하며 배당 확대 등 주주환원 정책에 대한 기대감을 보였습니다. 반면, 미래에셋증권(-230억 원) 등 주요 증권주는 차익 실현을 위해 매도했습니다.

 

11. '한국 증시 3배 추종' ETF, 서학개미에 인기
국내 증시의 단기 상승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이 뉴욕증시에 상장된 3배 레버리지 ETF 'KORU'를 집중 매수하고 있습니다. 이달 들어 279억 원을 순매수했으며, KORU는 연초 대비 101.63% 급등했습니다. 국내에는 3배 레버리지 상품이 없어 세금 불리함에도 해외로 눈을 돌리는 모습입니다.

 

12. "한국 증시, 상승 랠리에도 PBR 0.95배로 여전히 저평가"
주요국 증시와 비교했을 때, 한국 증시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유일하게 1배를 밑도는 0.95배를 기록하며 여전히 저평가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JP모간은 새 정부 정책 기대감으로 코스피 목표치를 3200으로 제시하는 등 글로벌 투자자금 유입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산업 및 기업

13. SK·롯데 오너 3세, '바이오 USA' 현장 지휘
신유열 롯데지주 부사장과 최윤정 SK바이오팜 본부장이 세계 최대 바이오 행사인 '바이오 USA'에 참석해 직접 해외 수주를 챙겼습니다. 롯데는 위탁개발생산(CDMO) 수주를, SK는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 홍보에 집중하며 차세대 먹거리인 바이오 사업의 글로벌 시장 개척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14. LG CNS, 6조원 가치 휴머노이드 AI 기업과 협력
LG CNS가 미국 AI 로봇 스타트업 '스킬드AI'와 전략적 협약을 맺고 산업용 AI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에 진출합니다. 스킬드AI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을 기반으로 로봇 통합 서비스를 개발해, 2035년 380억 달러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는 시장을 선점한다는 목표입니다.

 

15. AMD, 신규 AI 칩 공개에 월가 목표가 상향
AMD가 AI 칩 '인스팅트 MI400' 기반의 랙 시스템 '헬리오스'를 공개하며 엔비디아에 대항할 기술력을 선보였습니다. 이에 월가에서는 목표주가를 140달러로 상향하는 등 긍정적 평가가 이어지며 주가가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16. 트럼프 가족 기업, 스마트폰 사업 진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가족기업인 트럼프오거니제이션이 499달러짜리 스마트폰 'T1'을 8월에 출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메이드 인 USA'를 강조하며 애플 아이폰을 뛰어넘는 사양이라고 밝혔습니다.

 

17. 미국, 경기 둔화 우려에 신입 대졸 실업률 10년래 최고
미국 고용시장이 겉보기엔 견조하지만, 신입 대졸자(20~24세)의 평균 실업률은 최근 1년간 6.6%로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기업들이 경기 둔화를 우려해 신규 채용을 줄이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2025년 6월 18일 시장 동향 종합 분석

불확실성 속 기회 탐색: '속도', '선택', '미래'가 시장을 관통하다

2025년 6월 18일 시장은 '불확실성'이라는 안개 속에서 각 경제 주체들이 생존과 성장을 위해 활발히 기회를 모색하는 역동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부동산 시장의 '속도전', 금융 시장의 '포트폴리오 재편', 그리고 산업계의 '미래 기술 베팅' 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가 시장 전반을 관통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책 변화와 글로벌 경기라는 변수 앞에서 수동적으로 기다리기보다, 적극적인 '선택과 집중'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