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이번엔 참 많이 뒤늦었지만 K-뷰티 관련 기업들 중에 상당히 흥미로운 회사가 있어 리뷰를 해보았습니다.

 

1. 기업 분석: 잉글우드랩의 기업 현황과 전략

기업 개요: 잉글우드랩(Englewood LAB)은 2004년 미국 잉글우드에 설립된 고품질 화장품 및 스킨케어 제품을 주로 생산하는 글로벌 뷰티 ODM(Original Design Manufacturer) 및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기업입니다. 회사는 다양한 글로벌 뷰티 브랜드와 협력하여 제품을 개발하며, 특히 고기능성 화장품과 혁신적인 스킨케어 제품을 제조합니다. 잉글우드랩의 토토와 및 인천 공장은 모두 미국 FDA 승인을 받아 OTC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이들 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95% 이상이 미국 현지에서 소비되고 있으며, 한국에도 연구개발 및 생산 시설을 운영하여 글로벌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Global Cosmetic Industry)​. 2018년 6월, 모회사인 코스메카코리아에 인수되었으며, 현재 코스메카코리아가 39%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3 사업보고서에 의하면 잉글우드랩의 주요 제품 매출 요약과 매출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품군 매출액 (억원) 매출 비중 (%)
기초화장품 [Moisturizer, Face cream & other basics] 1,360.45 68.19
기능성화장품 및 의약부외품[SPF, ACNE and BB] 414.63 20.78
색조화장품 150.52 7.54
용역 및 기타매출 69.56 3.49

 

경쟁 우위: 잉글우드랩은 뛰어난 기술력과 혁신적인 연구개발(R&D) 역량을 바탕으로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피부 장벽 강화 및 멀티 유즈 제품 등 최신 K-뷰티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은 글로벌 뷰티 브랜드와의 협력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DrRachelHo)​​(Sensient Beauty)​.

잉글우드랩의 경쟁력 요약

  • 연구개발 및 기술경쟁력:
    • 업계 최고의 경력과 전문성을 가진 연구인력
    • 자외선 차단제 등 OTC 제품 제조에 특화된 경험과 생산시설
    • FDA의 안전성 및 효능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독보적 기술력
  • One-Stop Consulting:
    • FDA 및 수출국가 규제 준수를 위한 컨설팅 제공
    • 국가별 규제 변화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대응
    • 규제 미준수로 인한 금전적 손실 및 평판 악영향 예방
  • 품질관리 및 시스템:
    • 최신 생산설비와 엄격한 유지관리 및 생산절차 통제
    • 제조, 혼합, 배칭, 충진 및 포장 전 과정의 고품질 유지
    • FDA 등 감독기관의 정기적인 검사 수검을 통한 품질 보증

 

전략적 행보: 잉글우드랩은 지속 가능한 화장품 소재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회사는 최근 중국에서 특수 충전 장비를 도입하여 제품 내 '꽃잎'을 포함하는 독특한 효과를 창출하는 등 혁신적인 제품 포맷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는 글로벌 시장 확장을 위해 새로운 제품 형식과 고효능 천연 스틱 비누 등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적 행보를 통해 잉글우드랩은 글로벌 뷰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Global Cosmetic Industry)​.

 
 

잉글우드랩의 연구개발 활동 요약

연구개발 활동 개요:

  • 잉글우드랩은 고객의 요구를 우선적으로 파악하고 업계 내 차별화된 기술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해 전담 조직에서 연구개발(R&D)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담당 조직:

  • 연구소장을 포함한 총 33명의 연구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14명은 잉글우드랩코리아 소속입니다.
  • R&D 담당 이사는 연구개발 조직과 인력을 직접 관리하고, 프로젝트 매니저는 연구원과 영업조직 간의 협업을 조율하며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관리합니다.
  • 연구팀은 특정 연구분야나 고객사에 따라 유기적으로 배정되어 연구를 진행하며, 필요시 고객사, 원료소재 개발업체, 제3의 연구소와 협업합니다.
  • 제도전담인력(Regulatory Compliance Specialist)과 안정성 검사 인력을 포함하여, 글로벌 화장품 원료 규제 및 제품 개발과 관련된 규제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비용:

  • 2023년 연구개발비용: 4,443천 USD (약 5,728.80백만 원)
  • 2022년 연구개발비용: 3,305천 USD (약 4,261.47백만 원)
  • 2021년 연구개발비용: 3,405천 USD (약 4,390.41백만 원)
  • 연구개발비용은 매출액 대비 각각 2.80%, 2.82%, 2.4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보유 인증 및 자격사항:

  • cGMP(Current GMP) Facility 인증 (2005.01)
  • FDA 의약품 제조업체 등록 (2006.01)
  • FDA 의약품 포장업체 등록 (2006.01)
  • FDA 의료기기 제조업체 등록 (2006.01)
  • 뉴저지주 의약품 및 의료기기 제조업체 등록 (2006.01)
  • 뉴저지주 식품 및 화장품 제조업체 등록 (2006.01)
  • 캐나다 FDA 등록 (2011.03)

이와 같은 연구개발 활동을 통해 잉글우드랩은 높은 기술력을 유지하며, 고객의 요구와 글로벌 규제에 부합하는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2. 산업 동향: 뷰티 산업의 전망과 도전

산업 전망: K-뷰티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으며, 이는 잉글우드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피부 장벽 강화, 유기농 및 천연 성분, 멀티 유즈 제품 등 트렌드는 잉글우드랩의 주요 제품 라인과 잘 맞아떨어집니다​ (DrRachelHo)​​ (Sensient Beauty)​.

 

최신 뷰티 트렌드 요약

1) 클린뷰티: 클린뷰티는 인체에 유해성이 의심되는 성분을 배제하고 만들어진 제품을 의미합니다. 최근 소비자들이 제품 성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특히 MZ 세대의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 증가로 클린뷰티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잉글우드랩은 다음과 같은 활동을 통해 클린뷰티 트렌드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 친환경 원료 개발
  • 친환경 인증 확대
  • 재활용 가능한 용기 개발
  • 불필요한 포장 제거
  • 화장품 리필스테이션 운영

2) 뷰티테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온라인 쇼핑이 확대되었고, 뷰티테크 시장이 새로운 프리미엄 뷰티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잉글우드랩은 다양한 혁신 기술을 접목하여 온라인 쇼핑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온라인 및 앱을 통한 피부 측정, 메이크업, 헤어 염색 체험 프로그램 개발
  • 3D 프린터를 활용한 색조 화장품 제조
  • 유전자 분석을 통한 맞춤형 화장품 제조

3) 코스메슈티컬: 코스메슈티컬은 화장품(Cosmetic)과 의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로, 피부재생, 여드름, 안티에이징, 피부질환 등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제품을 의미합니다. 잉글우드랩은 코스메슈티컬 제품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장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 피부재생 및 치료 목적의 제품 개발
  • 여드름 치료 및 예방 제품
  • 안티에이징 제품
  • 피부질환 개선 제품

4) 인디브랜드: 화장품 시장은 대규모 브랜드 중심에서 인디 뷰티 브랜드로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인디 뷰티 브랜드는 설립자가 독립적으로 소유 및 운영하는 브랜드로, 전자 상거래 플랫폼과 소셜미디어의 등장, MZ 세대의 소비 패턴 변화가 이러한 브랜드의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잉글우드랩은 다음과 같은 전략으로 인디브랜드 트렌드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 다양한 온라인 고객사 확보
  • 유망 인디 브랜드 유치를 위한 맞춤형 영업 활동
  • 독립적이고 창의적인 브랜드와의 협력

이와 같은 트렌드를 반영한 잉글우드랩의 혁신적 접근은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잉글우드랩은 글로벌 뷰티 시장에서 더욱 견고한 입지를 다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디 뷰티 트렌드 수혜

잉글우드랩은 최근 인디 뷰티 브랜드와의 대량 수주 증가로 고객사 포트폴리오가 변하고 있습니다. 고객사 수는 2019년 170개에서 2020년 180개, 2021년 210개로 매년 꾸준히 증가했으며, 2022년에도 210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별도법인의 고객사 수도 2019년 105개에서 2022년 130개로 증가했습니다.

특히, 인디 브랜드 트렌드의 수혜를 가장 크게 받고 있는 곳은 잉글우드랩코리아입니다. 2023년 2분기 기준, 잉글우드랩코리아의 상위 3개 고객사(합산 비중 36%)는 모두 최근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인디 브랜드로, 뷰티 플랫폼들의 PB 브랜드 대량 수주가 매출액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잉글우드랩의 주요 긍정적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량 수주에 따른 영업 레버리지 효과
  2. 수출 확대에 따른 계절성 완화
  3. OGM 비중 증가에 따른 마진 개선

 

3. 재무 분석: 잉글우드랩의 펀더멘털 평가

재무 성과: 최근 3년간 잉글우드랩의 매출과 영업이익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제품의 높은 품질과 시장의 수요 증가 덕분입니다.

 

잉글우드랩의 실적 요약 (2023년 vs. 직전연도)

매출액:

  • 2022년: 1,515억 원
  • 2023년: 2,068억 원 (직전 연도 대비 36.5% 증가)

영업이익:

  • 2022년: 99억 원
  • 2023년: 289억 원 (직전 연도 대비 192.9% 증가)

당기순이익:

  • 2022년: 73억 원
  • 2023년: 207억 원 (직전 연도 대비 183.6% 증가)

영업이익률:

  • 2022년: 6.52%
  • 2023년: 13.95% (영업이익률 개선)

순이익률:

  • 2022년: 4.79%
  • 2023년: 10.03% (순이익률 개선)

ROE(지배주주):

  • 2022년: 8.35%
  • 2023년: 19.95% (수익성 개선)

유보율:

  • 2022년: 1,393.85%
  • 2023년: 1,713.76% (유보율 증가)

EPS(주당순이익):

  • 2022년: 366원
  • 2023년: 1,044원 (직전 연도 대비 185.2% 증가)

PER(주가수익비율):

  • 2022년: 13.92배
  • 2023년: 12.77배 (평가 개선)

BPS(주당순자산):

  • 2022년: 4,682원
  • 2023년: 5,784원 (자산가치 증가)

PBR(주가순자산비율):

  • 2022년: 1.09배
  • 2023년: 2.30배 (평가 증가)

주당배당금:

  • 2023년: 101원 (배당률 0.76%, 배당성향 9.68%)

분석 요약

  • 매출과 이익의 큰 폭 증가: 2023년 잉글우드랩은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에서 전년 대비 큰 폭의 증가를 기록하였습니다.
  • 수익성 개선: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이 모두 개선되었으며, ROE도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 재무 건전성: 당좌비율과 유보율이 증가하여 유동성과 재무 건전성이 개선되었습니다.
  • EPS 및 BPS 상승: 주당순이익(EPS)과 주당순자산(BPS) 모두 증가하여 주주 가치가 높아졌습니다.
  • PER 및 PBR 변화: 주가수익비율(PER)과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변화하며 시장에서의 평가가 반영되었습니다.
  • 배당: 2023년에는 주당 101원의 배당금을 지급하였으며, 이는 회사의 배당정책을 반영한 것입니다.

잉글우드랩의 2023년 실적은 전년 대비 큰 폭의 성장을 보여주며, 수익성 및 재무 건전성이 크게 개선된 점이 특징입니다

 

밸류에이션: 잉글우드랩의 현재 PER 및 PBR 평가는 시장 평균과 비교할 때 합리적인 수준에 위치해 있으며, 이는 회사의 안정적인 성장 가능성을 반영합니다.

 

성장 전망: 2025년까지 잉글우드랩의 매출 및 영업이익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K-뷰티 시장의 성장과 함께 회사의 제품 라인이 잘 맞아떨어지기 때문입니다.

4. ESG 평가: 지속 가능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환경적 기여: 잉글우드랩은 친환경 소재 사용과 생산 과정에서의 에너지 효율성 증대를 통해 환경적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와 일치합니다.

사회적 책임: 잉글우드랩은 사회적 책임을 중요하게 여기며, 다양한 사회적 기여 활동과 윤리적 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지배구조: 이사회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독립성과 전문성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5. 챠트가 들려주는 이야기

 5월24일 기준 주가는 22550원으로 역사적으로 최고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무리 좋은 주식이고, K-뷰티가 대세라고 하지만 최고점에서 매수는 항상 망설여지는 부분입니다. 특히 갖은 기사들이 다 호재성발언을 쏟아내고 있는 이시점에서는 그저 바라만 볼 뿐입니다.

잉글우드랩은 무척 매력적인 회사라고 생각이 듭니다. 따라서 관심은 가지고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6. 투자 의견 및 위험 요인

투자 매력: 현재 주가 대비 잉글우드랩은 투자 매력은 그리 높지 않는다고 판단됩니다. 회사의 안정적인 재무 성과와 미래 성장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하락시 분할 매수가 어느 정도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잉글우드랩, 너무 늦게 알게되었다는 것이 아쉬움으로 다가오는 주식이었습니다. 그저 바라만 볼 수 밖에 없는 아름다운 미인이라고나 할까요^^?

 

이상 상승로켓이었습니다. 

 

 

 

선진뷰티사이언스 보유 유무
2024년 3월 1일 현재 미보유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오늘은 제가 사용하는 주식앱의 기업리포트 중에서 맨 위 게시물이 '선진뷰티사이언스' 리포트였습니다.

클릭해보니 내용이 전혀 없길래 궁금해서 한번 리뷰해보았습니다. 

 

기본적으로 제가 좋아하는 가격대(1-2만원대)이거나 시총 3천억 미만에 속하는 주식이면서 ROE가 좋아서 일단 맘에 들었습니다.

 

 

자, 그럼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는 선진뷰티사이언스의 행보를 짚어 보겠습니다.

 

선진 뷰티사이언스는 화장품 원료 제조 전문 기업으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 선진뷰티사이언스의 주력 제품군 :  자외선 차단 소재, 마이크로비드, 스킨케어 소재 등 화장품 소재
  • 특히, 화장품 소재용 자외선 차단제 생산에 대해서는 미국 FDA의 기준에 맞추었고, 실사를 통해 국내 유일의 자외선 차단제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기업과 관련된 기사들을 검색해봤습니다.

  • 우선, 서울시와 서울경제진흥원이 주관하는 '하이서울기업'에 선정되었다는 기사가 있었고,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72.8% 증가하여 8억 원을 기록함으로써 재정적으로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선진뷰티사이언스, 서울시 주관 우수기업 인증 '하이서울기업' 선정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화장품 원료 제조 전문 기업 선진뷰티사이언스가 서울시와 서울경제진흥원이 주관하는 '2023년 하이서울기업'에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하이서울기업 인증사업은

newspim.com

 

특색있는 소재 - "헥토라이트"

  • 회사가 연구한 '헥토라이트' 소재에 관한 논문이 SCI급 저널의 전면 표지 논문으로 채택되었다는 기사가 있어 상당히 흥미로왔습니다. 이에 대해 좀더 알아보았습니다(제가 화장품쪽은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으로서 바라본 시각이라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Langmuir 1985년에 창간되어 미국 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에서 발행하는 주간 학술지입니다이 저널은 인터페이스가 구조와 기능을 지배하는 시스템과 재료의 과학 및 응용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표면 및 콜로이드 화학 분야를 포함한 연구를 다룹니다저널의 이름은 1932년 화학 분야에서 노벨상을 수상한 어빙 랭뮤어(Irving Langmuir)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현재 Languir는 impact factor 4.331 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연구성과인 헥토라이트 기반은 선진뷰티사이언스의 연구소재개발과 관련이 있으며 제 2저자 이성호 (대표이사), 대표저자인 김진웅 교수는 회사와 C & D 계약을 체결한 관계입니다. 

헥토라이트 기술개발과 선진뷰티바이오사이언스

헥토라이트는 희귀한 부드럽고 윤기 있는 흰색 점토광물로, 주로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며, 화학 및 기타 산업 응용 분야에서도 사용됩니다.

헥토라이트는 피부와 모발에서 기름과 불순물을 흡수하는 능력으로 인해 스킨케어 및 헤어케어 제품에서 인기 있는 성분입니다. 피부에서는 모공을 청소하고 빛나는 것을 줄여 깨끗하고 상쾌한 느낌을 주며, 모발 제품에서는 모발을 두껍게 하고 질감을 추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헥토라이트는 또한 메이크업 제품에서 번짐을 방지하고 매끄러운 마무리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헥토라이트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그 특성으로 인해 스킨케어, 헤어케어, 네일케어 및 메이크업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안전성과 효과성이 잘 입증되었으며, 자연스러운 성분으로서 소비자와 제조업체 사이에서 인기가 있습니다.

 

헥토라이트기반 이멀전 기술

 

 

선진뷰티바이오사이언스는 제품의 안정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헥토라이트 기반의 이멀전 기술을 지속적으로 연구 발전시켰고, 그동안 피커링 에멀젼의 단점으로 지적돼 온 유화 불안정성 극복을 위해 셀룰로오스 섬유와 헥토라이트 간 이중 복합화 작용을 이용한 것을 논문으로 발표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성과들을 종합해 볼 때, 선진뷰티사이언스는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화장품 소재 산업 내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향후 더 큰 성장을 기대해 볼 수 있겠습니다.

장항 신공장의 생산 효율성

  • 생산 능력 강화: 연 4,800톤의 생산 능력 확보
  • 매출 잠재력: 최대 1,500억원대 매출 가능성 시사
  • 성장 전망: 키움증권 리포트를 통해 회사의 안정적인 성장 가능성을 암시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의 선진뷰티사이언스

  • 당사의 제품군은 크게 화장품 소재, 계면활성제, 산업용 소재로 나눌 수 있습니다. 2020년 기준 매출액 비중은 화장품 소재 67%, 계면 활성제 31%, 산업용 소재는 2%로 소개되어 있고 대부분을 수출을 하고 있습니다. 
  •  

투자 관점에서의 재무 분석

  • 매출액: 2020년 464억에서 2021년 487억으로 증가하였으며, 2022년에는 643억을 기록, 큰 폭으로 성장하였습니다. 2023년 9월 매출액은 153억으로, 직전 분기인 2023년 6월 190억 대비 감소하였으나, 연말 예상치는 193억으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최종적으로 2023년 연매출 740억원, 영업이익 104억원 달성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신한투자증권리포트)
  • 영업이익: 2020년 36억에서 2021년 37억으로 약간 증가하였고, 2022년에는 53억으로 더욱 증가하였습니다. 
  • 당기순이익: 2020년 30억에서 2021년 16억으로 감소했지만, 2022년에는 201억으로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2023년 3분기 당기순이익은 6억으로, 2023년 6월 17억 대비 감소하였습니다.
  • 영업이익률: 2022년 8.27%에서 2023년 3분기 9.58%로 증가하였습니다.
  • ROE(지배주주): 2022년 35.37%에서 2023년 3분기 35.24%로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부채비율: 2022년 102.75%에서 2023년 3분기 77.64%로 감소하였습니다.
  • 당좌비율: 2022년 131.00에서 2023년 3분기 102.08로 감소하였습니다.
  • 유보율: 2022년 986.10에서 2023년 3분기 1,055.60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PER(배): 2022년 4.18배에서 2023년 3분기 4.85배로 증가하였습니다.
  • BPS(원): 2022년 5,376원에서 2023년 3분기 5,733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PBR(배): 2022년 1.25배에서 2023년 3분기 1.44배로 증가하였습니다.

이 데이터는 최근 연간 실적과 분기별 실적을 바탕으로 한 추이를 보여줍니다. 전년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일부 지표에서는 감소하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는 괜찮아보입니다. 

이 정보는 투자자분들이 선진뷰티사이언스의 현재 상황과 미래의 전망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자세한 분석과 논의를 위해서는 관련 자료와 리포트를 참조하는 것이 좋으며, 주식 시장의 동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거래 정보와 전문가 분석이 필수적입니다.

 

챠트가 알려주는 이야기 

다음은 선진뷰티사이언스의 주봉챠트입니다. 

작년 8월 11920원으로 고점을 찍은 뒤 하락하여 7700원대를 지지하고 있습니다. 최저점보다 높은 저점을 형성하고 있고 장기 이동평균선의 강한 지지를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시기로는 상당히 괜찮은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의할 점은 무상증자, 유상증자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 점,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본금 변동내역

* 단위 : 주,천원

2022/03/30
무상증자 주식발행초과금 자본전입
6,087,630 6,101,640
2021/01/27
유상증자 시장상장공모
1,280,050 3,057,825
2021/01/27
액면분할
  2,417,800
2021/01/27
액면분할
  2,417,800
2021/01/27
무상증자 주식발행초과금 자본전입
169,680 2,417,800

 

 

선진뷰티사이언스는 로레알을 비롯한 세계 여러나라의 기업을 고객사를 가지고 있고, 현재는 자외선차단소재, 마이크로 비드가 전체 매출의 90%를 차지하고 있지만 위와 같이 스킨케어 소재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이루어내고 있는 기업으로 파악됩니다.

 

2024년 저의 관심종목에 포함시켰습니다. 

 

이상 상승로켓이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