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2월 19일 현재 가격과 기간조정을 거치며 11000원을 지지하는 중이며 5,20, 60, 120일 이평선이 수렴하고 있는 양상이다. 곧 주가가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모양새이다. 다행히 미국 금리상승이 멈추는 신호를 보이고 있는 등 외적인 경제 환경이 다소나마 안정을 찾아가고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차트가 알려주는 이야기 -2] 2024.2월 13일 현재 1만4천원대 주가로 기관이 15일 연속매수에 대한 글이었습니다. 120선을 지지하며 아주 조금씩 우상향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표가 나지 않게 매수중인 셈이죠. 아마도 기관 및 연기금의 매수가 완료될 때 쯤 주가의 움직임이 커지지 않을까 전망해봅니다...
2024년 5월 24일 금요일, 다음주에 전환사채가 추가 상장됨에도 불구하고 기관과 외국인이 무려 38만주이상을 매수하는 그야말로 폭풍매수세를 보였습니다.
주가도 제가 처음 리뷰한 23년12월 1만1천원대에서 24년5월24일 종가 19550원으로 거의 두 배 가까이 올랐네요.
과연 월요일에 어떤 주가 흐름을 보여줄지 초미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전환사채 출현으로 하락할 지, 아니면 기관, 외국인의 폭풍매수는 다가올 큰 호재의 전조인지, 그야말로 흥미로운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미국 특허취득만으로 이런 매수세를 보였다고 보긴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최근 기사화된 호재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앱클론은 최근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성과를 발표했습니다. 먼저, 앱클론의 CAR-T 치료제 후보물질 'AT101'이 임상 1상에서 암세포가 사라지는 '완전 관해'를 확인했습니다. 이는 혈액암 환자들에게 큰 희망을 주는 소식입니다(인터넷뉴스 한경닷컴) (앱클론(주)).
또한, 앱클론은 최근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AT501'과 'AM105'라는 혁신적인 항암치료제 플랫폼 기술을 발표했습니다. AT501은 고형암을 타겟으로 한 CAR-T 치료제이며, 암 표적을 찾아내 추적하는 새로운 '스위치'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 CAR-T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AM105는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종양 단백질과 면역자극인자에 동시에 결합해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합니다 (앱클론(주)) (아이뉴스24).
또한, 앱클론이 중국 헨리우스 바이오텍에 기술이전한 항체 치료제 'HLX22'가 임상 2상에서 기존 치료제 대비 뛰어난 효과를 보였습니다. 이는 HER2 양성 위암 치료제로, 상업화 시 로열티 수익이 기대됩니다 (앱클론(주))
HLB의 FDA 승인 불발로 인한 바이오제약의 약세흐름에 반전과 투심을 회복할 수 있는 좋은 소식이 들려오면 좋겠습니다. 이상 상승로켓이었습니다.
주가는 상당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시장에서는 자산가치 대비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
업종 내 다른 기업들도 비슷한 재무 상황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전반적인 업종의 도전과 기회를 반영할 수 있으며 임상2상 시험중인 CAR-T 치료제 AT101의 성공적인 결과가 가시화되는 경우 주가가 도약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늘은 앱클론(174900 ) 종목을 알아보았다.
홈페이지는 상당히 멋지다.
회사 소개
앱클론은 암을 비롯한 난치성 질환 극복을 위한 항체 신약개발을 목표로 2010년에 설립하였다.
주요 파이프라인은 다음과 같다.
CAR-T: 개인 맞춤형 항암 유전자 세포 치료제 플랫폼이다. CAR-T 치료제는 환자의 면역세포를 분리한 후 유전자 조작을 통해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새로운 치료 기능을 부여한 세포 치료제로, 기존 항암제 대비 월등한 효능을 지속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NEST (Novel Epitope Screening Technology): 질환 단백질의 새로운 부위에 결합하는 혁신 항체 치료제를 개발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지금까지의 항체 치료제와는 전혀 다른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AffiMab: 두 가지 표적 단백질에 동시 작용하는 이중항체 신약개발 플랫폼이다. AffiMab은 단클론 항체와 Affibody의 장점을 극대화한 이중항체로, 난치성 질환의 두 가지 표적에 동시에 작용하여 기존 항체 치료제보다 치료 효과를 극대화한다. 이를 통해 류마티스관절염 대상 후보물질 'AM201'과 대장암 등 고형암 대상 후보물질 'AM105'을 개발하고 있. 전임상 연구를 수행 중이다.
가장 관심있는 CAR-T 치료제 AT101 개발 진행 현황
앱클론(주)은 자사가 개발 중인 혁신적인 CAR-T 치료제 AT101의 임상 2상을 확대하고 신속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 결정은 AT101의 기대되는 임상 1상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앱클론은 임상 2상을 짧은 기간에 진행하며, 국내에서는 AT101의 신속허가 승인 트랙을 밟을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임상 1상 결과
AT101은 완전관해율(Complete Response, CR) 75%, 객관적 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 91.7%의 높은 치료효과를 보여주었다. 저용량 투여군 환자 3명 모두 투여 후 1년 이상 완전관해를 유지하고 있어, 기존 카티 치료제 대비 차별화된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임상 2상 목표
앱클론은 2025년 상반기에 임상 2상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번에 추가된 3개 병원을 포함하여 총 7개 병원에서 임상 2상을 진행함으로써 임상 속도를 높이고, 임상 1상 결과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계획이다.
2023년 12월 19일 기준앱클론 기본 정보
시가총액: 1,834억 원으로, 코스닥에서 471위에 위치하며, 이는 중소규모의 기업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시장에서의 영향력이 크지 않음을 나타낸다.
외국인 소진율: 8.65%
52주 최고/최저: 최고 28,900원, 최저 10,950원
PER/EPS: 현재 PER(주가수익비율)은 N/A(적용 불가)이며, EPS(주당순이익)는 -571원. PER이 적용되지 않는 것은 회사가 순손실을 기록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PBR/BPS: PBR(주가순자산비율)은 6.66배, BPS(주당순자산가치)는 1,763원으로, PBR이 높다는 것은 시장에서 주식이 자산가치 대비 높게 평가받고 있음을 나타낸다.
동일업종 PER/등락률: 동일업종 PER은 -30.16배, 동일업종 PER이 음수인 것은 업종 내 다른 기업들도 순손실을 기록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차트가 알려주는 이야기]
2023년 12월 19일 현재 가격과 기간조정을 거치며 11000원을 지지하는 중이며 5,20, 60, 120일 이평선이 수렴하고 있는 양상이다. 곧 주가가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모양새이다. 다행히 미국 금리상승이 멈추는 신호를 보이고 있는 등 외적인 경제 환경이 다소나마 안정을 찾아가고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주요 기사 리스트
날짜
뉴스 제목
2023-12-13
앱클론, 카티 치료제 임상 신속 진행 위해 추가 자금 확보
2023-12-12
앱클론, 유펜의대와 유전자가위 이용한 난치암 카티 치료제 발표
2023-12-11
앱클론, AT101 혈액암 카티 치료제 기존 블록버스터 카티 치료제 한계를 뛰어넘은 혁신 치료제로 보고
바이오 테크놀로지의 최신 동향에 관심이 많은 분들에게 흥미로운 소식을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최근, 다발성골수종 치료를 위한 이중특이성 항체(이중항체) 신약의 개발과 승인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요, 이는 의학계와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의 빛이 되고 있습니다.
1. 이중항체 신약의 등장
최근 혈액암, 특히 난치성 다발성골수종 치료 분야에서 이중항체 신약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얀센의 '탈베이'(탈쿠에타맙), 화이자의 '엘렉스피오', 그리고 얀센의 '테크베일리'(테클리스타맙)는 이 분야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죠. 이들 신약은 기존 치료법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습니다.
2. 얀센의 시장 주도
얀센은 CAR-T 치료제에 이어 이중항체 신약까지 확보하며, 다발성골수종 후기 치료 분야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특히 '탈베이'는 이중특이항체의 새로운 기전을 가진 최초의 신약으로, T세포와 형질세포에 동시에 작용하는 혁신적인 치료법입니다.
3. 국내 바이오텍의 활약
국내에서도 종근당, 앱클론, 파멥신 등이 이중항체 신약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다양한 후보물질 개발에 주력하고 있어, 국내 바이오테크 산업의 미래가 더욱 기대됩니다.
종근당(185750): 종근당은 폐암 대상 이중항체 신약 후보 'CKD-702'의 국내 임상 1상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현재 2상 임상을 진행 중입니다. CKD-702는 간세포성장인자 수용체(cMET)와 상피세포성장인자 수용체(EGFR)를 동시에 타깃하는 약물로, 기존 표적항암제의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퍼스트인 클래스 약물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앱클론: 앱클론은 이중항체 개발 플랫폼 '어피맵'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류마티스관절염 대상 후보물질 'AM201'과 대장암 등 고형암 대상 후보물질 'AM105'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앱클론은 전임상 연구를 수행 중입니다.
파멥신: 파멥신은 다중표적 항체개발 플랫폼 'DIG-XY'를 보유하고 있으며, 안과질환 적응증을 노리는 이중항체 2종(PMC-291, PMC001)과 고형암 대상 삼중항체 'PMC-122' 등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4. 시장 전망
이중항체 시장은 매우 밝은 전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FDA가 승인한 이중항체 신약은 이미 11종에 달하며, 300여 개의 후보물질이 임상개발 단계에 있습니다. 2030년까지 이 시장은 연평균 44% 성장해 약 149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