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소개

제이씨케미칼은 화학 산업 분야에서 활동하는 중견 기업으로, 다양한 화학 제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2006년에 설립된 이 회사는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혁신을 통해 시장에서의 입지를 굳건히 하고 있다.

사업 범위

제이씨케미칼의 주요 사업 범위는 다음과 같다:

 

바이오디젤 생산: 제이씨케미칼은 바이오연료 제조업체로 바이오디젤의 주요 생산자이다. 환경 친화적인 연료의 생산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는 재생 가능한 자원에서 얻은 바이오디젤을 통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차량용 바이오디젤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바이오선박유가 부각됨에 따라 수혜를 볼 것 같다. 

 

재무 상태 분석

  • 시가총액: 1,917억 원
  • 시가총액순위: 코스닥 453위
  1. 매출액: 2022년 매출액은 5,117억 원으로, 2021년 대비 약 30.3% 증가했다. 2023년 9월까지의 분기별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 영업이익: 2022년 영업이익은 426억 원으로, 2021년 대비 약 7.0%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8.33%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
  3. 당기순이익: 2022년 당기순이익은 192억 원으로, 2021년 대비 약 42.5% 감소했다. 순이익률은 3.75%로, 전년 대비 감소했다.
  4. ROE(지배주주): 2022년 ROE는 14.63%로, 2021년 대비 약 48.0% 감소했다.
  5. 부채비율: 2022년 부채비율은 115.24%로, 2021년 대비 약 22.9% 감소했다.
  6. 당좌비율: 2022년 당좌비율은 49.61%로, 2021년 대비 약 5.1% 증가했다.
  7. 유보율: 2022년 유보율은 1,243.44%로, 2021년 대비 약 14.0% 증가했다.

외국인 투자자 상황

  • 외국인소진율(B/A): 2.97%

투자 지표

  • 투자의견/목표주가: N/A
  • 52주 최고/최저: 9,080원 / 6,450원
  • PER/EPS (2023.09): 13.55배 / 636원
  • PBR/BPS (2023.09): 1.16배 / 7,422원
  • 배당수익률 (2022.12): 1.86%

 

[챠트가 알려주는 이야기]

다음은 주봉 차트이다 2022년 6월 최고점을 찍은 후 지속적으로 하락추세를 보이다 어제부터 급등하기 시작하여 120 이동 평균선도 상향 돌파하는 강력한 상승을 시도하고 있는 중인데 기관과 외국인의 대량매수가 주가 상승을 유도하는 모양새이다.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 동향

  • 기관 순매매량: 기관 투자자들은 대부분의 날에 순매수를 보였으며, 특히 2023.12.20일에는 105,746주를 순매수했다.
  • 외국인 순매매량: 외국인 투자자들도 대체로 순매수를 보였으며, 2023.12.20일에는 68,294주를 순매수했다.

 

 

제목 정보제공 날짜
[특징주] 제이씨케미칼, '이스라엘-하마스 분쟁' 사태 유가상승 수혜 파이낸셜뉴스 2023.10.10 09:24
리서치알음 "제이씨케미칼, 유가 상승과 인니 수도이전 수혜..하반기 실... 파이낸셜뉴스 2023.08.08 10:11
제이씨케미칼, 이종응·이윤희 공동대표이사 체제로 변경[주목 e공시] 한국경제 2023.03.22 13:55
제이씨케미칼, 이종응·이윤희 공동대표 체제로 뉴시스 2023.03.22 13:40
제이씨케미칼, 주당 160원 현금배당 결정 헤럴드경제 2023.03.03 16:46
제이씨케미칼, 지난해 영업익 426억…전년비 7.2% ↑ 헤럴드경제 2023.03.03 16:06
[급증주 지금은]팜유주 테마에 폭등했던 제이씨케미칼 뉴시스 2023.02.12 11:00

 

안녕하세요, 스탁로드의 상승로켓입니다.  오늘은 아픈 손가락인 수소관련 뉴스 적어보았습니다.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1218_0002561938&cID=13003&pID=13100

 

내년 수소버스 2700대 달린다…액화수소 충전소도 구축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정부가 2030년 수소차 30만대 보급, 수소 충전소 660기 구축 목표를 이행하기 위해 600여대인 대중교통용 수소버스를 내년 4배 가량 늘리고 액화수소 충전소를 내년부터

www.newsis.com

 

 

수소버스와 충전소 확대 계획

  • 수소버스 증가: 2023년까지 대중교통용 수소버스가 현재 600대에서 2,700대로 4배 2030년까지는 2만여대로 증가할 예정입니다.
  • 액화수소 충전소 구축: 내년부터 액화수소 충전소를 구축할 계획이며, 청정수소 생산 단가를 절반 가까이 저감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R&D)과 인력양성

  • 수소 R&D 예산: 2023년 수소 및 연료전지 분야 R&D 예산이 17배 증액되어, 기술 격차 극복 및 청정수소 경제성 확보에 중점을 둘 예정입니다.
  • 인력 양성 증가: 수소 산업 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예산도 4배 증액되어, 국내 수소 산업의 기술력과 전문성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수소경제위원회의 심의 내용

  • 수소경제위원회: 청정수소 인증제 운영방안, 수소산업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육성 전략 등을 논의했습니다.
  • 청정수소 인증제: 온실가스 배출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청정수소로 인증하고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전망과 기대

  • 수소차 보급 확대: 정부는 2030년까지 수소차 30만대 보급, 수소 충전소 660기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기업 투자 본격화: 청정수소 기준 설정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청정수소 투자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관련 국내 대기업

LG화학, SK E&S, 효성중공업, 블룸에너지, SK에코플랜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