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스탁로드의 상승로켓입니다.  오늘은 바이오디젤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바이오디젤의 정의

바이오디젤은 재생 가능한 자원에서 생산되는 친환경 연료이다. 이는 식물성 기름, 동물성 지방, 심지어 사용한 식용유를 원료로 하여 화석 연료의 대체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디젤은 디젤 엔진에서 직접 사용 가능하며, 기존 디젤 연료와 혼합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바이오디젤의 역할과 중요성: 바이오디젤은 식물성 유지, 동물성 지방을 활용한 지방산에틸에스테르로, 자동차용 경유에 혼합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석유대체연료이다. 이는 환경 보호 및 에너지 다양화에 기여하며, 바이오디젤 산업의 성장을 촉진한다. 출처: 한국바이오연료포럼

바이오디젤, 선박유, 항공유: 미래 에너지 시장의 성장 전망

환경 규제 강화와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바이오디젤 시장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유럽, 북미,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바이오디젤 의무혼합비율 상향 조정: 정부는 2030년까지 일반 경유와 혼합해 사용하는 바이오디젤의 의무혼합비율 목표를 현재 5%에서 8%로 상향 조정할 계획이다. 출처: 에너지타임즈
  • 바이오항공유와 바이오선박유 도입 추진: 바이오항공유와 바이오선박유는 실증을 거쳐 빠른 시일 내에 국내에 도입될 예정이다. 바이오선박유는 2025년, 바이오항공유는 2026년 도입이 목표로 설정되어 있다. 이는 국내 에너지 시장의 다양화와 친환경 에너지원 확대를 위한 중요한 단계이다. 출처: 이투뉴스

시장 규모의 전망

글로벌 바이오 에너지 시장은 2022년 4344억 7000만 달러에서 2030년까지 8041억 8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연평균 8.0%의 성장률을 나타내며, 바이오디젤 시장의 성장 잠재력을 강조한다. 특히, 바이오디젤 시장은 2021년 320억 5천만 달러에서 2030년에는 755억 7천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연평균 9.9%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 연료의 국내 생산량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에너지통계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투자 기회

바이오디젤 산업의 성장은 바이오디젤 생산업체, 원료 공급업체, 관련 기술 개발 기업들의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기업들은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원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주요 바이오디젤 관련 기업들

  • 제이씨케미칼: 제이씨케미칼은 바이오디젤의 주요 고객사로 SK에너지와 S-Oil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바이오중유의 주요 고객사로는 한국중부발전 및 한국남부발전의 제주기력발전소가 있다. 이 회사는 바이오디젤과 바이오중유의 제조 및 판매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출처: 제이씨케미칼 공시자료] https://stock-road-82.tistory.com/7
  • GS칼텍스: GS칼텍스는 바이오선박유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바이오유 시장에 진출했다. 이 회사는 바이오디젤 연간 10만 톤을 생산하며, 바이오선박유와 바이오항공유 등 차세대 바이오연료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출처: GS칼텍스 공식 블로그
  • 에코바이오: 에코바이오는 매립가스 및 바이오가스 관련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으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여 바이오디젤 관련주로 부각되고 있다. 출처: 네이버 블로그
  • 이외에 친환경·바이오 사업에 속도를 내는 애경케미칼(161000), SK케미칼(285130) 등도 주목할 기업이다(출처 : 이코노믹리뷰(https://www.econovill.com))

리스크 관리

바이오디젤 투자는 원료 가격 변동성, 정부 정책 및 규제 변화, 기술적 진보 등의 리스크를 내포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요소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한다.

결론

바이오디젤은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이 산업의 성장은 주식 시장에서 새로운 투자 기회를 제공하며, 투자자들에게는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가진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투자에 앞서 리스크를 충분히 고려하고, 지속적인 시장 분석을 통해 현명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회사 소개

제이씨케미칼은 화학 산업 분야에서 활동하는 중견 기업으로, 다양한 화학 제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2006년에 설립된 이 회사는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혁신을 통해 시장에서의 입지를 굳건히 하고 있다.

사업 범위

제이씨케미칼의 주요 사업 범위는 다음과 같다:

 

바이오디젤 생산: 제이씨케미칼은 바이오연료 제조업체로 바이오디젤의 주요 생산자이다. 환경 친화적인 연료의 생산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는 재생 가능한 자원에서 얻은 바이오디젤을 통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차량용 바이오디젤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바이오선박유가 부각됨에 따라 수혜를 볼 것 같다. 

 

재무 상태 분석

  • 시가총액: 1,917억 원
  • 시가총액순위: 코스닥 453위
  1. 매출액: 2022년 매출액은 5,117억 원으로, 2021년 대비 약 30.3% 증가했다. 2023년 9월까지의 분기별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 영업이익: 2022년 영업이익은 426억 원으로, 2021년 대비 약 7.0%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8.33%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
  3. 당기순이익: 2022년 당기순이익은 192억 원으로, 2021년 대비 약 42.5% 감소했다. 순이익률은 3.75%로, 전년 대비 감소했다.
  4. ROE(지배주주): 2022년 ROE는 14.63%로, 2021년 대비 약 48.0% 감소했다.
  5. 부채비율: 2022년 부채비율은 115.24%로, 2021년 대비 약 22.9% 감소했다.
  6. 당좌비율: 2022년 당좌비율은 49.61%로, 2021년 대비 약 5.1% 증가했다.
  7. 유보율: 2022년 유보율은 1,243.44%로, 2021년 대비 약 14.0% 증가했다.

외국인 투자자 상황

  • 외국인소진율(B/A): 2.97%

투자 지표

  • 투자의견/목표주가: N/A
  • 52주 최고/최저: 9,080원 / 6,450원
  • PER/EPS (2023.09): 13.55배 / 636원
  • PBR/BPS (2023.09): 1.16배 / 7,422원
  • 배당수익률 (2022.12): 1.86%

 

[챠트가 알려주는 이야기]

다음은 주봉 차트이다 2022년 6월 최고점을 찍은 후 지속적으로 하락추세를 보이다 어제부터 급등하기 시작하여 120 이동 평균선도 상향 돌파하는 강력한 상승을 시도하고 있는 중인데 기관과 외국인의 대량매수가 주가 상승을 유도하는 모양새이다.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 동향

  • 기관 순매매량: 기관 투자자들은 대부분의 날에 순매수를 보였으며, 특히 2023.12.20일에는 105,746주를 순매수했다.
  • 외국인 순매매량: 외국인 투자자들도 대체로 순매수를 보였으며, 2023.12.20일에는 68,294주를 순매수했다.

 

 

제목 정보제공 날짜
[특징주] 제이씨케미칼, '이스라엘-하마스 분쟁' 사태 유가상승 수혜 파이낸셜뉴스 2023.10.10 09:24
리서치알음 "제이씨케미칼, 유가 상승과 인니 수도이전 수혜..하반기 실... 파이낸셜뉴스 2023.08.08 10:11
제이씨케미칼, 이종응·이윤희 공동대표이사 체제로 변경[주목 e공시] 한국경제 2023.03.22 13:55
제이씨케미칼, 이종응·이윤희 공동대표 체제로 뉴시스 2023.03.22 13:40
제이씨케미칼, 주당 160원 현금배당 결정 헤럴드경제 2023.03.03 16:46
제이씨케미칼, 지난해 영업익 426억…전년비 7.2% ↑ 헤럴드경제 2023.03.03 16:06
[급증주 지금은]팜유주 테마에 폭등했던 제이씨케미칼 뉴시스 2023.02.12 1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