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익실현을 위한 매도 시점인가? 아니면 ...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요즘 주식 시장에서 핫한 아이온큐에 대해 이제 차익실현을 해야할지 한번 고민해보는 글을 써 볼까 합니다. 

현재 아이온큐 주식이 없는데 양자컴퓨터 아이온큐 며칠만에 130% 급등했다는 기사를 보고 매수하고 싶어 클릭하셨다면 매수를 이 시점에 하는 것은 정말 조심해야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이온큐를 다루고 있는 유명 유튜브 채널들에서는 10%정도 매도를 하는 것도 좋고, 누구는 4%정도 매도 했다고 공지하는등 이미 많은 이들이 어느 정도 차익 실현을 하거나 권고하는 것을 감안해 보면 현재는 매수관점보다는 얼마나 차익실현을 하고 추매를 할 것인가 하는 상황입니다. 

 

과연 챗지피티는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 본 것을 적어보겠습니다. 가볍게 즐기시기 바랍니다. 

 


 

아이온큐(IonQ)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진행하겠습니다. 기술적, 재무적 분석을 통해 투자 의견을 도출하겠습니다.

1. 주가 동향 분석:
- 현재가 24.79 USD (+12.12%)로 강한 상승세
- 장중 급등 후 시간외 거래에서 소폭 조정(-1.69%)
- 차트상 상승 추세가 뚜렷함

2. 재무상태 분석:
```
강점:
- 현금성 자산 약 52억 달러 보유로 재무 안정성 높음
- 자본잉여금 지속 증가 (125억 달러)
- 부채비율 낮음 (11.7%)

약점:
- 지속적인 영업손실 발생
- ROA -28.39%로 수익성 부진
- EBITDA, EBIT 모두 적자 지속
```

3. 기술적 지표 분석:
```
RSI: 현재 70선 상회 추정 (과매수 구간)
볼린저 밴드: 상단 돌파로 상승 모멘텀 강함
이동평균선: 단기/중기/장기 모두 상승 추세
```

4. 종합 투자의견: `단기 차익실현 + 중장기 분할매수 전략`

 

역시 대규모 언어모델도 단기 차익 실현 + 중장기 분할 매수 전략을 권고하는군요^^

 

흥미로운 부분은 보유지분을 얼마나 매도할지 (30%), 언제 분할 매수할지까지도 권고하는 것이 놀랍습니다.




추가 투자 고려사항:

1. 단기 매매 전략:
- 현재 급등 구간으로 부분 차익실현 고려
- RSI 과매수 구간 진입으로 조정 가능성
- 20-22달러 지지선 확인 후 재진입 검토

2. 중장기 투자 포인트:
- 양자컴퓨팅 시장 성장성 높음
- 재무안정성 우수로 생존력 높음
- 매출 성장세 가속화 긍정적
- 손실폭 감소 추세로 수익성 개선 기대

3. 리스크 관리:
- 포지션 크기 전체 포트폴리오의 5% 이내 권장
- 분할 매수/매도로 리스크 분산
- 주요 지지선 하향 이탈시 손절 검토


투자 전략 제안:

단기 전략:

  • 현재 과매수 구간으로 신규 진입 부담
  • 보유 포지션 일부 차익실현 고려
  • 20달러 지지선 확인 후 재진입 검토

중장기 전략:

  • 강한 상승추세로 코어 포지션 유지
  • 15달러, 12달러 지지선에서 분할 매수
  • 30달러까지 상승 여력 존재

리스크 관리:

  • 20달러 선 하향 이탈 시 손절 검토
  • 급등 후 조정 가능성 높아 레버리지 투자 자제
  • 분할 매매로 리스크 분산

아이온큐로 모두에게 행복한 결말이 되면 좋겠습니다. 언제나 과도한 욕심은 화를 부른다는 것을 염두해 두세요~~

 

이상 상승로켓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액센츄어'에 이어 데이터 관리 솔류션을 제공하는 기업을 리뷰해보았습니다. 

 

인포매티카(INFA US)는 클라우드 데이터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리더 기업으로, 디지털 혁신 시대의 핵심 플레이어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근의 주가 동향과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을 살펴보며, 이 기업의 투자 가치를 분석해보겠습니다.

회사 개요

Informatica Inc.는 1993년 Gaurav Dhillon과 Diaz Nesamoney에 의해 설립된 미국의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입니다. 캘리포니아주 레드우드 시티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기업용 클라우드 데이터 관리 및 데이터 통합 솔루션을 전문으로 합니다. 회사의 제품 포트폴리오는 ETL, 정보 수명 주기 관리, 기업 간 데이터 교환, 클라우드 컴퓨팅 통합, 복잡한 이벤트 처리, 데이터 마스킹, 데이터 품질, 데이터 복제, 데이터 가상화, 마스터 데이터 관리, 초고속 메시징, 데이터 거버넌스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포괄합니다.

 

Informatica는 1999년 4월 29일 NASDAQ 증권 거래소에 INFA 기호로 상장되었습니다. 이후 Privitar와 같은 전략적 인수를 통해 유기적으로 성장해왔습니다. 2015년, Informatica는 약 53억 달러 규모의 거래로 Permira Advisers LLC와 캐나다 연금 계획 투자 위원회(CPPIB)에 의해 인수되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Informatica는 AI 기반 데이터 관리 도구를 도입하고 완전한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등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있습니다. Informatica의 고객 기반은 9,500개 이상으로, 데이터 관리 산업에서의 중요한 존재감을 보여줍니다. 특히 회사는 구독 기반 수익에 강력하게 집중하고 있으며, 2023년 2분기 기준 구독 연간 반복 수익(ARR)이 전년 대비 16% 증가하여 10억 4천만 달러에 달합니다.

 

주가 동향

 
 
인포매티카 주가 차트

 

인포매티카의 주가는 2021년 10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지속적인 하락 추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2024년 4월부터 반등의 조짐을 보이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다시 모이고 있습니다.

  1. 전반적인 추세: 2024년 초에 약 40달러까지 상승한 후 최근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 주요 가격 변동: 2024년 1월경 최고점인 40달러 근처까지 상승 후, 최근 급격한 하락으로 24.55달러까지 떨어졌습니다.
  3. 기술적 지표:
    • Stochastic 지표를 보면 최근 과매도 영역에 진입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Momentum 지표는 최근 크게 하락하여 음수 영역에 있어, 하락 모멘텀이 강함을 시사합니다.
  4. 이동평균선:
    • 주가가 최근 이동평균선 아래로 크게 떨어졌습니다. 이는 단기적으로 하락 추세가 강함을 나타냅니다.
  5. 최근 동향:
    • 최근의 급격한 하락은 특정 뉴스나 이벤트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시장의 신뢰도가 급격히 하락했음을 시사합니다.
  6. 향후 전망:
    • 기술적 지표상 과매도 상태이므로 단기적인 반등 가능성도 있고, 전체적인 추세가 하락세로 전환된 것으로 보이므로, 추가 하락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결론적으로, 인포매티카의 주가는 최근까지의 상승세가 꺾이고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이는 회사의 펀더멘털이나 시장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일 수 있으므로, 향후 회사의 실적 발표나 관련 뉴스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동성을 고려하여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비즈니스 모델

인포매티카는 기업들이 복잡한 데이터 환경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종합적인 데이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주요 서비스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데이터 통합 및 딜리버리
  • 데이터 품질 및 거버넌스
  • 마스터 데이터 관리
  • 클라우드 데이터 관리

시장 포지션

Gartner Magic Quadrant에서 데이터 통합 도구 부문 리더로 선정되는 등, 인포매티카는 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 네이티브 솔루션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로 디지털 전환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성장 동력

  • 클라우드 전환: 기업들의 클라우드 도입 가속화에 따라 인포매티카의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AI/ML 통합: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기술을 데이터 관리 솔루션에 통합하여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합니다.
  • 데이터 규제 대응: 글로벌 데이터 규제 강화 추세에 맞춰 기업들의 데이터 거버넌스 니즈를 충족시킵니다.

제무재표

 

  • 매출액 성장: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2023년 1595.2백만 USD에서 2025년 1823.9백만 USD로 약 14.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수익성 개선: 2021-2023년까지는 적자를 기록했지만, 2024년부터 흑자 전환이 예상됩니다. 영업이익률은 2023년 2.1%에서 2024년 32.1%로 급격히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 순이익 전환: 2023년까지 순손실을 기록했으나, 2024년부터 순이익 흑자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EPS 개선: 2023년 -0.43 USD에서 2024년 0.22 USD, 2025년 0.33 USD로 개선될 전망입니다.
  • ROE 상승: 2023년 -5.9%에서 2024년 14.7%, 2025년 15.2%로 큰 폭의 개선이 예상됩니다.
  • 밸류에이션: P/E ratio는 2024년 27.2배, 2025년 24.7배로 예상되며, P/B ratio는 점진적으로 하락하여 2025년 3.3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 전망

최근의 주가 반등은 시장에서 인포매티카의 가치를 재평가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데이터 경제의 성장과 함께 인포매티카의 솔루션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클라우드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와 전반적인 IT 지출 둔화 가능성은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할 요소입니다.

 

인포메티카 주식 분석: 애널리스트 의견

컨센서스 등급

Informatica Inc. (NYSE: INFA)는 지난 12개월 동안 11명의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 평가를 기반으로 "보통 매수" 컨센서스 등급을 받았습니다. 이들 11명의 애널리스트 중 6명은 "매수" 등급을, 5명은 "보유" 등급을 부여했습니다. MarketBeat는 각 애널리스트의 등급을 표준화된 점수로 변환하여, "매도"는 1, "보유"는 2, "매수"는 3, "강력 매수"는 4로 평가합니다. 이러한 평가의 평균값은 Informatica에게 2.55의 컨센서스 등급 점수를 부여합니다.

컨센서스 목표 주가

11명의 애널리스트가 설정한 Informatica의 12개월 목표 주가는 평균 $35.45입니다. 최고 목표 주가는 $44.00이며, 최저 목표 주가는 $25.00로, 현재 주가인 $24.55에서 약 44.42%의 상승 여력을 예측합니다.

애널리스트 커버리지

Informatica에 대한 연구 보고서는 지난 90일 동안 단 3건만 발행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보통 매수" 컨센서스 등급을 유지하고 있으며, 주식 성과에 대한 주목할 만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공매도 비율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Informatica의 유동 주식의 4.00%가 공매도되었습니다. 이러한 수준의 공매도 비율은 시장에 건강한 회의론이 존재함을 시사하지만, 전반적으로 약세 심리를 강하게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MarketRank™ 점수

MarketBeat의 MarketRank™ 점수는 분석, 평가 및 성과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Informatica를 5점 만점에 3.93점으로 평가합니다. 이는 컴퓨터 및 기술 부문 584개 주식 중 190위, 사전 패키지 소프트웨어 산업의 193개 주식 중 61위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평가들은 애널리스트들이 Informatica를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상세한 그림을 제공하며,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에 대한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줍니다.

 

경쟁사

Informatica는 데이터 통합 및 인텔리전스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매우 경쟁적인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데이터 수집 및 변환, 데이터 품질, 데이터 인텔리전스, 마스터 데이터 관리, 동적 데이터 이동 등 다양한 하위 시장에서 리더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치는 Informatica를 여러 주요 업계 경쟁자들과 직접적인 경쟁을 하게 되는 요인입니다.

 

주요 경쟁사:

  • Talend: 데이터 통합 및 관리 솔루션을 전문으로 하는 Talend는 데이터 품질 및 통합 부문에서 진전을 이루며, Informatica의 시장 점유율에 강력한 도전자가 되고 있습니다.
  • IBM: IBM InfoSphere 제품군을 통해 포괄적인 데이터 통합, 품질 및 거버넌스 도구를 제공하는 IBM은 기업 부문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보이며, 대규모 데이터 관리 솔루션 분야에서 Informatica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 Oracle: Oracle Data Integrator 플랫폼을 통해 강력한 데이터 통합 기능을 제공하는 Oracle은 다양한 환경에서 원활한 데이터 관리 솔루션을 찾는 기업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며, 광범위한 자원과 방대한 고객 기반을 통해 Informatica에 경쟁 압력을 가하고 있습니다.
  • Microsoft: Azure Data Factory를 통해 강력한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Microsoft는 Azure 클라우드 생태계의 일부로, 이미 Microsoft의 클라우드 솔루션에 투자한 기업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경쟁자가 되고 있습니다.
  • 신흥 경쟁사: Informatica는 또한 Fivetran과 Matillion과 같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데이터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신흥 경쟁사들과도 경쟁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사용의 용이성과 원활한 통합 기능 덕분에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관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시장에서 빠르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치열한 경쟁에도 불구하고, Informatica는 시장 점유율과 인지도에서 지속적으로 선도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7년 연속 IDC의 "세계 데이터 통합 및 인텔리전스 소프트웨어 시장 점유율, 2022" 보고서에서 1위를 차지한 것을 통해 입증됩니다. 또한, 2023년 2분기 Forrester Wave™ 마스터 데이터 관리 보고서에서 리더로, 2023년 Bloor Research 데이터 품질 시장 업데이트에서 챔피언으로 선정되는 등 다양한 찬사를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정은 Informatica가 혁신과 우수성에 지속적으로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잘 확립된 대기업들과 민첩한 신생 기업들이 가득한 경쟁 환경에서도 계속해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결론

인포매티카는 데이터 관리 시장에서의 강력한 포지션과 혁신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의 주가 반등이 지속 가능한 상승세로 이어질지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클라우드 및 AI 전략의 성공적인 실행이 향후 기업 가치 상승의 핵심이 될 것입니다. 데이터 중심 경제의 성장과 함께 인포매티카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되어, 장기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목록

1.        Informatica - Wikipedia

2.        Informatica Inc. (INFA): history, ownership, mission, how it works ...

3.        Informatica Inc. (INFA) 10-Q Quarterly Report August 2023

4.        Informatica (INFA) Stock Price, News & Analysis - MarketBeat

5.        Informatica History: Founding, Timeline, and Milestones - Zippia

6.        Informatica (INFA) Stock Chart and Price History 2024 - MarketBeat

7.        Informatica Inc. (NYSE) Receives Average Recommendation of ...

8.        Informatica Reports Third Quarter 2023 Financial Results

9.        Informatica Reports Fourth Quarter and Full-Year 2023 Financial Results

10.       Informatica Revenue 2018-2024 - Stock Analysis

11.       Informatica Reports First Quarter 2024 Financial Results

12.       Informatica Inc. (NYSE) Given Average Rating of ... - MarketBeat

13.       Informatica (INFA) - P/E ratio - CompaniesMarketCap.com

14.       Informatica Inc. (INFA) Statistics & Valuation Metrics - Stock Analysis

15.       Informatica Inc. (INFA) Stock Price, News, Quote & History - Yahoo Finance

16.       Informatica Historical PE Ratio

17.       Informatica (INFA) Stock Forecast and Price Target 2024 - MarketBeat

18.       Stock market and macroeconomic variables: new evidence from India ...

19.       Macroeconomic Indicators That Affect the US Stock Market - Investopedia

20.       Informatica Reports First Quarter 2023 Financial Results

21.       Informatica Reports Second Quarter 2023 Financial Results

 

 

powered by chatGPT4.0, claude 3.5 sonnet and STORM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오늘은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액센츄어 종목을 알아보았습니다. 

정말 좋은 회사로 생각되며 AI 시대에 팔란티어와 함께 강력한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보입니다. 

 

액센츄어(ACN US) 종목 분석 리포트

회사 개요

액센츄어는 미국의 전략 컨설팅 및 IT 서비스 기업으로, 1989년 아서앤더슨에서 분사하여 설립되었습니다. 현재 클라우드, 사이버 보안, 데이터 컨설팅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 티커: ACN-US (NYSE)
  • 시가총액: 1,662억 달러
  • 주요 주주: The Vanguard Group, Inc. (8.38%), BlackRock Fund Advisors (4.71%)

요약

Accenture PLC는 글로벌 전문 서비스 회사로, 전략 및 컨설팅, 기술, 운영,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1950년대 초 Arthur Andersen의 비즈니스 및 기술 컨설팅 부서에서 시작하여 2001년에 독립적인 법인이 되었으며, 여러 산업에 특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며 성장해왔습니다. 주요 부서로는 Industry X, Strategy & Consulting, Song, Operations, Technology가 있으며, 각 부서는 기업의 혁신과 재창조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Accenture는 윤리적인 경영으로 17년 연속 Ethisphere의 세계에서 가장 윤리적인 기업 중 하나로 선정되었습니다.

재정적으로도 강력한 성과를 보여주며, 매출 성장과 꾸준한 배당금 지급을 하고 있습니다. 2023 회계연도 2분기에는 매출 158억 1천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5% 증가한 수치입니다. 또한, 2023 회계연도 상반기 동안 25억 4천만 달러를 주식 재매입 프로그램에 사용하였습니다. 같은 기간 GAAP 영업이익이 6%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정된 영업 마진은 견고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Accenture의 주식 성과와 주요 재무 비율(P/S, P/BV)은 강력한 시장 위치를 나타내며, 디지털,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에 대한 전략적 집중으로 강화되었습니다.

 

액센츄어의 재무 실적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FY2022부터 FY2025까지의 예상 실적을 보면, 매출액은 연평균 6.6%, 영업이익은 7.6%, 순이익은 8.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회사 개요

 

 

  • Accenture PLC는 글로벌 전문 서비스 회사로, 전략 및 컨설팅, 기술, 운영,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 이 회사는 1950년대 초 Arthur Andersen의 비즈니스 및 기술 컨설팅 부서에서 시작하여 상업용 컴퓨터 시스템의 초기 도입을 위한 타당성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 2001년에 Arthur Andersen과 분리되어 독립적인 법인으로 재탄생하였습니다.
  • Accenture는 여러 산업에 걸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며, 미디어, 하이테크, 소프트웨어 및 플랫폼, 자본 시장, 보험, 공공 서비스, 여행 서비스, 산업, 생명 과학, 자원, 에너지, 유틸리티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합니다.
  • 회사는 심도 있는 산업 및 기능적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조직의 변혁과 회복력을 가속화하기 위해 설계된 독점 자산과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Technology 부서는 AI, 블록체인, 로봇 공학, 5G, 엣지 컴퓨팅, 양자 컴퓨팅 등 기술 연구 개발과 혁신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Accenture는 윤리적인 경영 관행에 대한 강한 강조로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17년 연속 Ethisphere의 세계에서 가장 윤리적인 기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재무 성과

분기 배당금 2023년 2월 15일, Accenture는 주주들에게 주당 1.12달러의 분기 현금 배당금을 지급하였으며, 이러한 현금 배당금 지급 총액은 7억 8백만 달러에 달합니다.  2022 회계연도의 분기 배당금인 주당 0.97달러에 비해 15% 증가한 것입니다.

 

주식 재매입 활동 2023 회계연도 2분기 동안 Accenture는 총 11억 2천만 달러에 해당하는 410만 주를 재매입하거나 상환하였습니다. 이는 공개 시장에서 재매입된 약 250만 주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활동은 2023 회계연도 상반기 동안 총 9.3백만 주를 재매입하거나 상환한 것으로, 총 금액은 25억 4천만 달러에 달하며, 공개 시장에서 재매입된 주식은 약 700만 주입니다.

 

매출 및 수익 2023 회계연도 2분기 매출은 158억 1천만 달러로, 2022 회계연도 2분기 매출 150억 5천만 달러에 비해 5% 증가하였습니다. 2022 회계연도 매출은 432억 달러로, 2018 회계연도에 비해 현지 통화 기준으로 8.5%, 미국 달러 기준으로 5% 증가하였습니다. 여기에는 디지털,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에서 약 200억 달러의 매출이 포함되며, 이는 현지 통화 기준으로 약 20% 증가한 수치입니다.

 

영업 이익 및 마진 2023 회계연도 2분기 GAAP 영업 이익은 19억 4천만 달러로, 2022 회계연도 2분기의 20억 6천만 달러에 비해 6% 감소하였으며, 이는 매출의 12.3%에 해당합니다. 조정된 영업 이익은 21억 9천만 달러로, 매출의 13.8%에 해당하며, 2022 회계연도 2분기와 비교하여 10베이시스 포인트 증가하였습니다. 2022 회계연도의 영업 마진은 14.6%로, 2018 회계연도에 비해 20베이시스 포인트 증가하였습니다.

 

수익성 및 세율 2023 회계연도 2분기의 총 마진은 30.6%로, 2022 회계연도 2분기의 30.1%에 비해 증가하였습니다. 2분기 판매, 일반 및 관리(SG&A) 비용은 26억 5천만 달러로, 매출의 16.7%에 해당하며, 2022 회계연도 2분기의 24억 6천만 달러, 매출의 16.4%에 비해 증가하였습니다. 분기 동안의 유효 세율은 20.4%로, 전년도 같은 분기의 19.2%에 비해 증가하였습니다. 2022 회계연도 3분기 주당 순이익(EPS)은 2.79달러로, 전년도 같은 분기의 2.40달러에 비해 16%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 EPS 증가는 높은 매출과 영업 실적, 기타 요인에 의해 주도된 것입니다.

 

시장 분석

기술 발전 Accenture의 기술 혁신에 대한 전념은 시장 성과의 주요 요인입니다. 이 회사는 생성 AI, 블록체인, 양자 컴퓨팅과 같은 신기술을 활용하여 서비스 제공을 강화하고 기업 혁신을 추진합니다. 이러한 기술 중심의 접근 방식은 Accenture가 팬데믹 전후에 동종 기업들보다 매출 성장과 투자 자본 수익률(ROIC)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게 하였습니다.

 

경쟁 환경 Accenture는 Deloitte, McKinsey와 같은 글로벌 컨설팅 회사들과 IBM, Infosys와 같은 기술 기업들과의 경쟁이 치열한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 환경은 지속적인 혁신과 전략적 차별화를 요구합니다.

 

평가 지표 

 

  1. 성장성: 매출액이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1년 약 505억 달러에서 2025년 약 684억 달러로 약 35% 성장이 예상됩니다.
  2. 수익성: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입니다. 다만 2023년에는 영업이익이 소폭 감소했지만, 2024년부터 다시 회복되어 2025년에는 약 108억 달러의 영업이익이 예상됩니다.
  3. 효율성: 영업이익률은 13.7%에서 15.7% 사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ROE(자기자본이익률)는 2022년 33%로 정점을 찍은 후 소폭 하락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27% 이상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4. 미래 전망: 2024년과 2025년의 예상 실적을 보면, 회사가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증가율이 매출 증가율보다 높아, 수익성 개선이 예상됩니다.

수익 및 영업 마진 전망 2023 회계연도에 대해 Accenture는 주당 순이익(EPS)을 $10.84에서 $11.06 사이로 예상하고 있으며, 조정된 EPS는 $11.41에서 $11.63 사이로 예상됩니다. 이는 2022 회계연도 대비 7%에서 9%의 증가를 나타냅니다. 영업 마진은 14.1%에서 14.3% 사이로 예상되며, 조정된 마진은 15.3%에서 15.5% 사이로 예상됩니다. 

 

 

주요 인수 및 그 영향

최근 인수 Accenture plc는 정보 기술 서비스와 컨설팅을 전문으로 하는 미국의 전문 서비스 회사로, 합병 및 인수(M&A) 시장에서 매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세금 혜택을 위해 명목상 더블린에 본사를 두고 있는 이 회사는 Arthur Andersen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275건 이상의 인수를 완료하였습니다. 지난 4년 동안에만 Accenture는 140건 이상의 거래를 진행하며 성공적인 연속 인수자로 발전하였고, 구조화된 M&A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습니다.

 

Partners in Performance Accenture는 자산 집약적인 산업에서 지속 가능한 가치를 제공하는 파트너스 인 퍼포먼스(Partners in Performance)를 인수하였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인수는 Accenture Strategy의 자문 및 실행 능력을 강화하고,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해 고객의 비즈니스와 지속 가능성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 진행되었습니다. 약 400명의 파트너스 인 퍼포먼스 직원이 Accenture Strategy에 합류하게 되며, 이 인수는 공급망, 탈탄소화 및 자본 프로젝트와 같은 분야에서 고객의 요구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OPENSTREAM HOLDINGS 또 다른 중요한 인수는 OPENSTREAM HOLDINGS입니다. 이 거래는 2024년 7월 1일에 완료되었으며, 약 1,000명의 클라우드 및 디지털 전문가가 Accenture 팀에 합류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및 디지털 엔지니어링, 제조 분야에서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 인수는 고객이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을 현대화하고, 클라우드, 데이터, AI, 사물 인터넷(IoT)과 같은 고급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전략적 영향 이러한 인수는 데이터 중심 조직으로 변모하여 다양한 산업에 특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려는 Accenture의 광범위한 전략의 일환입니다. Accenture는 M&A 지식을 사업 리더십 전반에 제도화하고, 글로벌 공통 승인 프레임워크를 구현함으로써 각 인수가 전략적 우선 순위와 일치하도록 보장합니다. 이러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은 회사가 신속하게 거래를 수행하고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게 하며, 전 세계적으로 300건 이상의 인수 경험을 활용할 수 있게 합니다.

매출원 및 세분화

 

매출 성장률 및 시가총액 2023년 11월 30일 기준으로 Accenture의 3개월 매출 성장률은 약 3.03%로, 정보 기술 부문에서 동종 기업들을 앞서는 주요 수익 증가를 보여줍니다. 회사의 시가총액은 업계 평균을 상회하며, 이는 강한 신뢰와 시장 지위를 나타냅니다.

기타 주요 지표

  • 총 마진: 최근 분기 총 마진은 30.6%로, 전년도 같은 기간의 30.1%와 비슷하게 유지됩니다.
  • 영업 이익률: 영업 이익률은 14.6%로, 전년도 대비 20베이시스 포인트 증가하였습니다.
  • 순 마진: Accenture의 순 마진은 12.16%로, 효과적인 비용 관리와 수익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 잉여 현금 흐름: 운영 현금 흐름에서 자산 및 장비 추가를 뺀 금액인 잉여 현금 흐름은 60억 달러입니다.

미래 전망

Accenture의 미래 전망은 전략적 기대감과 시장 평가사이에서 줄다리기 중입니다. 2024 회계연도에 대해 회사는 현지 통화 기준으로 매출 성장이 1.5%에서 2.5% 범위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전 예상치인 1%에서 3%보다 다소 좁아진 범위입니다. 영업 마진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되며, GAAP 영업 마진은 14.8%, 비즈니스 최적화 비용을 제외한 조정 영업 마진은 15.5%로 예측됩니다. 연간 유효 세율 역시 비즈니스 최적화 비용의 세금 영향을 제외하고 23.5%에서 24.5% 사이로 예상됩니다.

 

광범위한 성장 기대 측면에서 Accenture는 AI와 고급 분석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시장 동향을 신속하게 평가하고 성장 기회를 식별하고 있습니다. AI의 사용은 서비스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는 고객과 그들의 경험에서 발생하는 마찰점을 더 잘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며, 이를 통해 마케팅 및 영업 팀에 새로운 통찰력과 역량을 제공합니다. 이는 회사의 도달 범위를 확장하고 수익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시장 동향에 따르면, 73%의 임원들이 2025년까지 자사의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에 이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역사적 데이터는 80%의 기업 전략이 일관된 수익 성장을 달성하지 못하며, 95%의 임원들이 고객이 자사보다 더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Accenture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전략적 조정과 기술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챠트가 알려주는 이야기

다음은 주봉 차트입니다.

 

  • 현재 주가는 이전 저점에서 반등한 상태이며, 주가가 중요한 저항선인 $330 부근을 돌파할 경우, 추가 상승 여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거래량이 증가하는 것은 긍정적인 신호지만, 지속적인 추세 확인이 필요합니다.

https://invst.ly/15nseo

 

Accenture는 AI 기술을 선도하며 미래의 디지털 전환을 이끄는 핵심 플레이어로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인지 지켜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상 상승로켓이었습니다. 

 

powered by chatGPT4.0, claude 3.5 sonnet, STORM

참고 문헌

Accenture - Wikipedia

Accenture IPO raises $1.7B - Jul. 18, 2001 - CNN Business

Accenture Fact Sheet Q3 Fiscal 2024 | Accenture

U.S. | Let There Be Change | Accenture

LEADERS Interview with Laurence Morva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Accenture Reports Strong Revenues and Record New ... - Business Wire

Annual Report 2019 | Accenture

Accenture Reports Very Strong Third-Quarter Results - Business Wire

Strategy at the Pace of Technology | Accenture

Accenture plc margin, revenue and ratios benchmarking - ReadyRatios

Accenture plc (ACN) Stock 5 Years History [Returns & Performance]

Accenture PLC (NYSE) | Valuation Ratios - Stock Analysis on Net

Accenture PLC (NYSE) | Financial Analysis and Stock Valuation

Accenture plc: Business Model, SWOT Analysis, and Competitors 2023

Corporate Strategy & Growth | Accenture

Accenture Plc.: Financial ratios (ACN) - Infront Analytics

Accenture Q3 2024 Results

Accenture Stock Performance Analysis

Accenture 2024 Financial Projections

Accenture Fact Sheet 2024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오픈AI의 chatGPT의 유료버전을 사용하면서 이렇게 유료 구독을 하는 것 중에 가장 만족감을 느끼고 최대한 사용한 서비스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모든 것을 잘 해내는 비서를 월 20달러 수준으로 고용한 느낌입니다.

 

그런 오픈AI의 대규모 언어모델이 탑재된 로봇이 나오면 참 대단하겠다는 생각을 하던 차에 오픈AI가 투자한 로봇회사에 대한 기사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그야말로 비약적인 로봇의 발전이 멀지 않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1X technolgy

 

https://youtu.be/yauNW4C-Tfo?si=oh-MP43yXxo5azo3

 

1X Technologies는 인간과 함께 일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를 설계하여 세계의 노동 수요를 충족시키고 풍요로운 사회를 구축하고자 하는 기업이라고 소개가 되어 있습니다.

2014년 베른트 오이빈드 베르니히 CEO에 의해 처음으로 설립된 이 회사는 당초 Halodi Robotics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으며, 노르웨이를 기반으로 한 이후 글로벌로 확장해 나갔습니다. 

 

1X의 주요 안드로이드 제품은 EVE와 NEO입니다. 위 유튜브 동영상은 EVE 제품에 대한 최신 동영상입니다. EVE는  바퀴 달린 안드로이드로, 물류부터 소매까지 다양한 분야의 팀과 함께 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반면 NEO는 현재 개발 중인 이족 보행 안드로이드로, 산업 작업부터 가정 보조 및 동반자 역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를 목표로 합니다. 두 모델 모두 안전을 우선시하며, 실제 세계 시나리오에서 테스트된 부드럽고 유기적으로 영감을 받은 메커니즘을 특징으로 하여 인간의 공간에 적합하도록 보장한다고 설명합니다

​​​​https://www.1x.tech/androids/neo

 

NEO by 1X Technologies | Your Intelligent Android Assistant

Safe, balanced, and smart: NEO is your intelligent android assistant. Learn more about 1X’s next innovation in humanoid robotics, currently in development.

www.1x.tech

 

2022년 OpenAI와의 파트너십은 특히 주목할 만한 순간으로, 첨단 AI와 고급 로보틱스를 결합하여 구현된 학습을 강화하는 회사의 야심 찬 비전을 반영합니다​​. 작년 테슬라 자동차 조립에 자체 로봇을 사용하고, 3천만원대의 로봇을 양산할 것이라는 머스크의 말이 허풍이 아닐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당분간은 로봇 관련기업의 투자를 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이 들겠지만 이미 올라타기에는 너무도 높은 상태가 아닐 수 없습니다. 해외 로봇관련 ETF로는 BOTZ가 있습니다.

 

한국의 로봇의 기술수준과 비교해볼 때 그 격차가 크지 않나 생각합니다. 

국내 로봇 관련 ETF보다는 해외 로봇 관련 ETF인 BOTZ가 더 나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https://www.globalxetfs.com/funds/botz/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ETF

The Global X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ETF (BOTZ) seeks to invest in companies that stand to benefit from increased adoption of robotics and AI

www.globalxetfs.com

 

국내 로봇관련주에 대한 리뷰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stock-road-82.tistory.com/13

 

로봇 산업의 성장을 포트폴리오에 담다: 로봇 관련 ETF 투자 가이드

안녕하세요, 스탁로드의 상승로켓입니다. 오늘은 로봇 관련 ETF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로봇 관련 ETF란? 미래 성장 분야로 인공지능, 로봇, 전기차-자율주행, 이차전지 분야를 떠올리긴 쉽고 다

stock-road-82.tistory.com

 

노동시장에 큰 변화 또는 산업혁명에 준하는 혁명의 시대가 곧 도래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유토피아 또는 디스토피아가 될 가까운 미래에 우리 인간은 어떤 존재로 살아남을까요?

 

 

 

https://www.fnnews.com/news/202402100334391407

 

"오픈AI 올트먼, 최대 7조달러 조성해 글로벌 반도체 업계 재편"

[파이낸셜뉴스]  GPT-3로 인공지능(AI) 시대를 본격적으로 개척한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이 전세계 반도체 업계를 재편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월스트리트저널(WSJ)은 8일(이하 현지시간

www.fnnews.com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어제 미국 S&P 지수가 최고점을 돌파하면서 (체감적으로는 하나도 느껴지지 않는데) 강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하나도 반갑지 않았습니다. 저는 그 흐름에 올라타지 못하고 소외된 채 새해를 맞이했기 때문입니다. 

 

2024년 새해 접하는 소식중에 가장 담대한 기사의 하나는 아마도 오픈AI 올트먼의 투자계획이 아닐까 싶습니다.

 

위 기사를 한번 들여다 봤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8일(이하 현지시간) 소식통들을 인용해 올트먼이 5조~7조달러(약 6600조~9300조원) 자본을 조성해 반도체 생산설비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가 발표한 대규모 자금 조달 계획은 단순히 놀라움을 넘어서, 기술과 금융 세계에 파장을 일으키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오픈AI가 AI 시대의 선두주자로서 새로운 지평을 열고자 하는 이번 계획은, 최대 7조 달러를 투입해 전 세계 반도체 산업의 판도를 바꾸려는 야심 찬 시도입니다.

 

이 계획의 핵심은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을 포함한 중동 산유국들의 자금을 바탕으로,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고 운영하는 것입니다. 이는 AI 시스템 구축에 필수적인 AI 반도체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오픈AI의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입니다.

 

올트먼의 계획이 주목받는 이유는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반도체 산업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오픈AI의 이번 움직임은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재편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chatGPT가 보여준 대규모 언어모델의 놀라운 성과와 더불어 엔디비아, AMD, MS 등 인공지능관련주들의 상승세, 그리고 연이은 이같은 대규모 투자계획등은 인공지능, 로봇 관련 산업의 토대와 급성장, 그리고 새로운 일거리 창출등 그 파급효과가 엄청날 것으로 생각합니다. 

 

 기술의 미래, 글로벌 산업의 재편, 그리고 혁신을 향한 끊임없는 도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올해의 투자는 인공지능, 로봇, AI 반도체, 디바이스온 AI이 될 것이라는 것은 틀림이 없는 것 같습니다. 

 

 

증권가에서는 에코플라스틱의 주봉 챠트상 60이평선을 지지하고 있지만 추세선을 하향돌파의 위험도 함께 존재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투자를 하기에는 나쁘지 않은 상황인 것 같다.

 

종목발굴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고민하였다.

 

내가 어쩔 수 없이 삼성 mpop을 사용한지 20년이 지났지만 계속 조금씩 늘어나는 신메뉴, 신기능을 거의 들여다 보지 않았는데 종목발굴과 관련된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종목발굴 메뉴에는

  • 랭킹순위로 보는 메뉴 (실시간 거래 상위, 고수의 거래 상위, 인기 검색 상위),
  • 리서치 종목 (주간 추천종목, 퀀트 20종목, 나만의 AI 종목),
  • 제휴 추천종목 (해외 ETF 레이더, 미국 AI PICKS, 종목진단, 시그널엔진)이 있었다.

 

삼성 pop 기능 추천

오늘은 내가 사용하는 삼성mpop의 기능 중에서 다소 흥미롭고 자주 클릭할 것 같은 메뉴를 살펴보았다.

 

 

나만의 AI 종목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최근 1년간 주식거래를 분석하여 좋아할만한 종목을 매주 7개씩 추천한다고 한다.

위메이드, 포스코퓨처엠은 다들 많이 아는 종목이라 패스하고

 

3순위 에코플라스틱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도별 비교 분석: 2020년 대비 2021년 및 2022년

매출액

  • 2020년: 12,918억원
  • 2021년: 15,176억원 (증가)
  • 2022년: 18,215억원 (증가)

영업이익

  • 2020년: 23억원
  • 2021년: 158억원 (증가)
  • 2022년: 385억원 (증가)

당기순이익

  • 2020년: -65억원 (적자)
  • 2021년: 54억원 (흑자 전환)
  • 2022년: 236억원 (흑자 증가)

영업이익률

  • 2020년: 0.18%
  • 2021년: 1.04% (증가)
  • 2022년: 2.11% (증가)

순이익률

  • 2020년: -0.50%
  • 2021년: 0.36% (증가)
  • 2022년: 1.29% (증가)

ROE(지배주주)

  • 2020년: -5.90%
  • 2021년: 3.79% (개선)
  • 2022년: 16.62% (개선)

부채비율

  • 2020년: 475.31%
  • 2021년: 429.57% (감소)
  • 2022년: 418.16% (감소)

EPS(원)

  • 2020년: -212
  • 2021년: 145 (개선)
  • 2022년: 667 (개선)

PER(배)

  • 2020년: -8.49
  • 2021년: 19.41 (개선)
  • 2022년: 3.82 (개선)

BPS(원)

  • 2020년: 3,545
  • 2021년: 3,716 (증가)
  • 2022년: 4,505 (증가)

종합 분석

  • 매출액 및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영업이익률 및 순이익률 : 2020년 대비 2021년과 2022년에 모두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 ROE(지배주주), 부채비율, EPS, PER : 2020년의 부정적인 수치에서 2021년과 2022년에 긍정적인 수치로 전환되었다.

회사 개요

에코플라스틱(코드: 038110)은 자동차 내외장용 플라스틱 부품 및 금형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입니다. 주력 제품으로는 플라스틱 범퍼, 콘솔, 메인코어 등이 있으며, 자동차 산업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주가 동향

 

 

증권가에서는 에코플라스틱의 주봉 챠트상 60이평선을 지지하고 있지만 추세선을 하향돌파의 위험도 함께 존재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투자를 하기에는 나쁘지 않은 상황인 것 같다.

 

 

오늘은 삼성증권 mpop의 AI추천기능으로 종목을 탐색해보았는데 나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그런지 제법 관심을 가질 만한 주식들이 추천되지 않았나 생각해보았다.

 

안녕하세요, 스탁로드의 상승로켓입니다. 오늘은 로봇 관련 ETF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로봇 관련 ETF란?

미래 성장 분야로 인공지능, 로봇, 전기차-자율주행, 이차전지 분야를 떠올리긴 쉽고 다들 그런 성장하는 분야의 기업에 투자를 하고 싶어 한다. 하지만 어떤 기업에 투자를 해야하는지, 언제 매수를 해야하는지, 언제 매도를 해야하는지 실제적인 고민이 생길 수 밖에 없다. 

개별 기업 투자가 어렵고 부담스럽다는 생각이 들 경우에는  관련 분야에 투자를 하는 ETF가 제격이다. 

 

로봇 또한 먼 미래가 아니다. 당장 쿠팡같은 물류 기업만 봐도 로봇이 일하고 있다. 로봇관련 분야도 산업용 로봇, 전문 서비스 로봇, 개인 서비스 로봇, 로봇 부품, 로봇SW/플랫폼등 다양한 성격의 로봇 산업군으로 나눌 수 있다

 

마침 2023년 대한민국 대표 로봇기업 30개사가 선정되었다는 기사가 있었다. 어떤 로봇관련 기업들이 있는지 정보를 알 수 있는 좋은 기사라고 생각한다.

 

 

로봇신문은 '2023 올해의 대한민국 로봇기업(Korea Robot Company of the Year 2023)' 30개사를 선정, 발표했다. 이들 기업은 대한민국 로봇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적,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 CEO 경영 능력, 신제품 발표 및 시장 성과 등을 종합적 평가했다고 한다. 

  • 산업용 로봇 부문에서는 나우로보틱스, 뉴로메카, 두산로보틱스, 티로보틱스 등이 선정
  • 전문 서비스 로봇 부문에서는 고영테크놀러지, 로보티즈, 로봇앤드디자인, 모비어스, 시스콘, 유진로봇, 엑스와이지, LG전자, 코가로보틱스, 큐렉소, 트위니, 티라로보틱스
  • 개인 서비스 로봇 부문에는 로보케어, 엔젤로보틱스가, 로봇 부품 부문에는 시냅스이미징, 에스비비테크, 에스피지, 에이딘로보틱스, 유엔디, 웰콘시스템즈, 하이젠RNM 등이 이름을 올렸다.
  • 로봇SW/플랫폼 부문에서는 빅웨이브로보틱스, 씨메스, 클로봇이, 인공지능 부문에서는 마음ai, 원더풀플랫폼이 선정되었다.

이들 기업 중 유진로봇은 8년, 뉴로메카는 7년, 두산로보틱스는 6년 연속 수상의 영예를 안았으며, 티로보틱스는 6번째 수상을 기록했다. 이들 기업들은 연속 수상을 하며 로봇 산업에서의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원문 보기

 

국내 주요 로봇 관련 ETF 분석

로봇 ETF는 위험을 분산시키고, 산업 전반에 걸친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개별 기업의 성공에만 의존하지 않고, 산업 전체의 성장에 투자함으로써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1. KBSTAR AI&Robotics (44F5): 인공지능(AI) 및 로봇 관련 주요 국내 기업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더 알아보기
    • 상장일: 2023.10.24
    • 자산규모: 240억
    • 총보수: 연 0.4%
  2. KODEX K-로봇액티브: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영하는 로봇 관련 ETF로, 국내 로봇 관련 기업에 투자합니다. 더 알아보기
    • 상장일: 2022.11.15
    • 자산규모: 1,431억원
    • 총보수: 연 0.5%
  3. KODEX 글로벌로봇(합성):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로봇 및 자동화 관련 ETF입니다. 더 알아보기

 

로봇 및 AI 관련 ETF 분석: KODEX K-로봇액티브 vs KBSTAR AI&로봇

이들 두 ETF를 좀더 분석해보았다. 이들의 주요 편입 종목은 아래 표와 같다(비중 순으로 20개까지만)

KODEX K-로봇액티브 (삼성자산운용) KBSTAR AI&로봇 (469070) (KB자산운용)
종목명 비중(%) 종목명 보유비중(%)
삼성전자 8.99 두산로보틱스 7.07%
두산로보틱스 8.75 NAVER 5.74%
NAVER 8.22 레인보우로보틱스 5.53%
레인보우로보틱스 7.88 현대오토에버 5.20%
삼성에스디에스 7.77 셀바스AI 4.84%
현대오토에버 5.28 루닛 4.46%
KT 4.67 뉴로메카 4.12%
큐렉소 4.61 솔트룩스 3.74%
현대차 4.14 에스피지 3.71%
LG전자 3.99 엠로 3.52%
SK하이닉스 3.9 딥노이드 3.48%
뉴로메카 3.39 큐렉소 3.35%
에스피지 3.03 유일로보틱스 2.80%
SK텔레콤 2.92 코난테크놀로지 2.79%
카카오 2.59 알에스오토메이션 2.69%
로보티즈 2.17 로보티즈 2.57%
두산 2.05 엠투아이 2.55%
유진로봇 1.92 뷰노 2.52%
티로보틱스 1.87 마음AI 2.44%
    에스비비테크 2.43%

 

 

공통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주요 기업

  • 두산로보틱스, NAVER, 레인보우로보틱스, 현대오토에버, 큐렉소, 뉴로메카, 에스피지, 로보티즈

KODEX K-로봇액티브에만 포함된 주요 기업

  • 삼성전자, 삼성에스디에스, KT, 현대차, LG전자, SK하이닉스, SK텔레콤, 카카오, 두산, 유진로봇, 티로보틱스

KBSTAR AI&로봇에만 포함된 주요 기업

  • 셀바스AI, 루닛, 솔트룩스, 엠로, 딥노이드, 유일로보틱스, 코난테크놀로지, 알에스오토메이션, 엠투아이, 뷰노, 마음AI, 에스비비테크

 

요약: 로봇 산업의 미래를 투자하는 KBSTAR AI&로봇 ETF와 KODEX K-로봇액티브 ETF

KBSTAR AI&로봇 ETF

  • 특징: KBSTAR AI&로봇 ETF는 국내 AI 및 로봇 산업의 우수 종목군 중에서도 AI기반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종목을 선정하고 ( iSelect AI&로봇 지수) 해당 분야의 매출 관련도에 따라 최종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선정한다. 
  • 포트폴리오 구성: 전체 포트폴리오의 약 53.2%를 로봇 관련 종목에, 나머지 46.8%를 AI 관련 종목에 투자한다. 섹터별로는 IT(약 45%), 산업재(약 27%), 헬스케어(약 14%) 등으로 분포되어 있다.
  • 주요 종목: 산업용 로봇 제조 업체, 의료 AI/로봇 업체, 음성인식 및 자연어처리 SW 업체 등이 주된 편입 종목들이다.
  • 자료출처: https://www.kbstaretf.com/info/market/173

KODEX K-로봇액티브 ETF

  • 특징: KODEX K-로봇액티브 ETF는 경쟁력 있는 국내 로봇 관련 기업에 투자해, 장기적으로 코스피 대비 높은 자본이득을 추구하는 액티브 ETF다.
  • 투자 전략: 로봇 관련 핵심 경쟁력 보유 기업, 시장 선도 기업에 선별적으로 투자해 종목 선택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 지수 기반: AI 기반 키워드 필터링 기술로 국내 로봇 관련 종목을 추출한 ‘iSelect K-로봇테마 지수’를 기준으로 삼는다. 이 지수는 삼성전자, 현대차, 두산, 로보티즈, 레인보우로보틱스 등 다양한 업종을 포함한다.
  • 자료출처: https://m.samsungfund.com/etf/product/view.do?id=2ETFH5

이 두 ETF는 각각의 독특한 투자 전략과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국내 로봇 산업의 다양한 측면을 포착하고 있다. 

챠트가 알려주는 로봇 ETF 투자 전략

  • 현재 2023년 10월 27일 최저점을 찍고 지속해서 우상향하고 있다. 2024년 현재로서는 최고점 상태이다. 아무리 미래가 밝아보이고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고 하지만 지금 목돈을 투자할 수는 없다. 하락시마다 적립하듯 나누어 매수할 수 있을 정도라고 보인다.

로봇 ETF 투자의 위험과 고려사항

  • 코덱스 K-액티브 ETF는 삼성전자, 현대차, 네이버 등 대기업의 편입비중이 높아 큰 등락없이 리스크가 관리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올해 삼성전자, 현대차 등에 대해서는 밝은 전망을 내놓고 있어 그러한 기대에 편승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기업 편입비중이 높은만큼 고수익을 기대하기는 다소 어려울 수 있다.
  • KBSTAR AI&로봇 ETF는 상대적으로 코스닥등 미래가치가 높은 기업들이 많아 등락의 폭이 상대적으로 클수가 있는 것이 장점이자 단점일 수 있다. 또한 의료분야의 기업들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들  기업들의 선전에 따라 수익의 상당한 차이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당연하지만 언제나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좀더 재무상태가 양호한 기업이면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중소형주를 찾아보고 싶었다. 그러면서도 챠트상 너무 고점이 아니면 좋겠다는 바램도 있고...

 

영업이익율이 20%를 넘고, 매출도 계속 성장하고 차트도 기간조정을 거치면서 서서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는 트루엔이 상당히 매력적으로 느껴저 분석해보았다.

 

트루엔(417790): 혁신적인 영상감시 솔루션 기업의 시장 동향과 산업 내 위치

1. 회사 소개

  • 기업 개요: 트루엔은 영상감시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디지털 영상감시시스템과 IoT사업을 주요 사업 영역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상품으로는 IP 카메라, IoT기기, 영상 스트리밍 솔루션 등이 있다.
  • 연혁 및 발전 과정: 2005년에 설립된 트루엔은 2023년 5월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했다.

재무 상황

  • 시가총액: 1,279억 원
  • 시가총액순위: 코스닥 670위
  • 상장주식수: 10,999,650
  • 외국인 소진율: 0.92%
  • 52주 최고/최저: 20,750원 / 8,990원
  • PER/EPS (2022.12): 12.84배 / 906원
  • PBR/BPS (2022.12): 1.44배 / 8,089원

 

주요 제품 매출현황 

  (단위: 천원)
품 목 생산(판매) 
개시일
 주요상표 2023년 반기
매출액(비율)
제품설명
IP 카메라 2005년 TRUEN
(OEM/ODM)
16,553,611
 (82.31%)
- 고화질 주야간 영상감시장치
- 고배율/고해상도, 객체 인식 기능
- 방범, 어린이 보호, 주/정차 외
영상 스트리밍 솔루션 2008년 TRUEN 1,659,967
(8.26%)
- Video Encoder, Video Decoder
IoT 기기 2018년 EGLOO 1,629,747
(8.1%)
- 홈 카메라, 비디오 도어벨, 클라우드서비스
- 스마트 플러그, 스마트 리모컨
기타  264,434
 (1.32%)
- 서비스 및 상품 등
합계 20,107,759
(100%)
-

 

2. 시장 상황 및 산업 동향

디지털 영상감시시스템 시장 전망

  • 시장 규모: 글로벌 영상감시 시장은 2020년 53조원에서 2023년 82조원으로 성장할 전망이며, 2027년에는 146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연평균 성장률 +15.6%를 의미한다. 출처: 한국IR협의회
  • 산업 내 위치: 트루엔은 영상감시 솔루션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와 혁신을 바탕으로 경쟁사 대비 강점을 보이고 있다. 출처: 씽크풀

IoT기기 시장 전망

  • 시장 동향: IoT 솔루션의 B2C 시장 확대가 성장의 핵심 요소로 분석되고 있다. 트루엔은 이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출처: 씽크풀

영상 스트리밍 솔루션 시장 전망

3. 트루엔(417790): 재무적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

재무 상황 분석

트루엔은 지속적인 성장과 재무적 안정성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몇 년간의 재무 데이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 매출액 성장: 2020년부터 2023년 예상까지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0년 330억원에서 2023년 예상 매출액은 457억원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준다.
  •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역시 안정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23년 예상 영업이익은 112억원, 당기순이익은 102억원으로 예상되며, 이는 각각 전년 대비 증가하는 수치다.
  • 영업이익률 및 순이익률: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24.51%와 22.25%로 예상되며, 이는 트루엔의 수익성이 안정적임을 나타낸다.
  • ROE 및 부채비율: ROE는 15.85%로 예상되며, 부채비율은 매우 낮은 4.48%로 나타나 재무적 안정성이 높다.
  • 당좌비율 및 유보율: 당좌비율은 774.55%로 매우 높으며, 유보율은 7,876.06%로 회사의 내부 유보금이 많음을 보여준다.

시장에서의 평가

  • PER 및 PBR: 2023년 예상 PER은 11.53배, PBR은 1.62배로, 시장에서의 평가가 합리적인 수준임을 나타낸다.
  • EPS 및 BPS: 주당순이익(EPS)은 1,008원, 주당순자산(BPS)은 7,162원으로 예상되며, 이는 주주 가치 증대를 의미한다.

4. 투자 전망 및 유의 사항

오버행(매도가능 대기 물량) 이슈

  • 오버행 부담: KB증권은 트루엔에 대해 오버행 이슈를 부담 요인으로 지적했다. 주요 개인 주주와 유안타인베스트먼트가 상장 후 일부 엑시트에 나선 상황이다출처 : 파이낸셜투데이(http://www.ftoday.co.kr).
  • 주주 구성 변화: 유안타인베스트먼트는 지분율을 4.45%로 줄였으며, 다른 주요 개인 주주들도 지분을 일부 매각했다.

트루엔(417790)과 경쟁하는 AI 영상감시 시스템 기업들

트루엔은 AI 기반 영상감시 시스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기업이지만, 이 분야에는 여러 경쟁 기업들이 존재한다. 주요 경쟁 기업들은 다음과 같다:

  1. 한화비전: 한화비전은 영상 보안 시장에서 토털 솔루션의 경쟁력을 강조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등 최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출처: 잡코리아
  2. 아이디스홀딩스: 아이디스홀딩스는 물리보안 영역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여 사용자의 의사 결정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지능형 CCTV를 개발하고 있다. 출처: 잡코리아

트루엔의 경쟁력

  • 공공 영상감시 시장의 리더: 트루엔은 국내 공공 조달 시장에서 약 40%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공공분야의 인공지능 CCTV 설치 필요성 증가로 인한 수혜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당사의 주요 고객인 공공기관의 영상감시 카메라 시장은 매년 평균 12%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어 향후 좋은 전망이 예측됨
  • 지능형 CCTV의 수요 증가: 공공 CCTV의 지능형 전환과 관련하여 서울시가 2026년까지 공공 CCTV를 지능형 CCTV로 100% 전환할 계획을 세우고 있어, 트루엔의 중장기 성장성이 양호하다.

챠트가 알려주는 이야기

2023년 12월 22일 현재 다음은 주봉챠트이다. 상장시 2마원대 최고점을 찍은 후 지속적 하락 후 횡보를 보이고 있다. 일봉챠트에서 11월/9일 대량거래가 발생하면서 우상향하여 120 이동평균선을 돌파하고 있어 주봉 챠트도 상승형태를 만들 것으로 보인다. 

 

 

1. 회사 개요

설립 배경과 주요 사업

  • 설립연도: 2004년
  • 주요 사업: 티로보틱스는 클린 환경 물류 이송용 진공로봇 및 진공시스템 솔루션 분야 전문 업체입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반도체, 평판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OLED 등의 제조 분야에 사용되는 진공로봇 및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연구 개발 및 글로벌 선도

  • 연구 개발: 티로보틱스는 지속적인 연구와 기술 개발을 통해 8세대 진공로봇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며, 국내 유일의 중대형 진공로봇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사업 확장 및 전략

  • 사업 확장: 2004년 설립 이후 글로벌 진공로봇 전문기업에서 자율주행과 의료재활 분야에 대비한 종합로봇기업으로 변화 중입니다.
  • 주요 사업 부문: 글로벌 FPD/Semi제조사 및 장비사를 고객으로 하는 진공로봇 부문과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스마트팩토리 및 자율주행로봇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자율주행로봇 부문: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로봇과 일본 ZMP와의 협력을 통해 확보한 자율주행 솔루션으로 시장을 적극 공략 중입니다.

2. 최근 시장 동향

티로보틱스 관련 시장 전망: 푸드 테크 자동화, 의료재활,  웨어러블 로봇

  1. 푸드 테크 자동화 로봇 시장:
    o 현재 규모: 2022년 기준으로 글로벌 푸드 로보틱스 시장은 약 약 2조 7,300억 원.
    o 2023년 전망: 2023년에는 약 2조 9,640억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CAGR은 13.19%.
    o 장기 전망: 2028년까지 약 5조 2,000억 원, 2030년까지 약 7조 1,5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CAGR은 각각 10.2%와 12.8%.
  2. 의료재활 로봇 시장:
    o 의료재활 로봇 시장은 고령화 인구 증가, 재활 필요성 증가로 인해 성장 중.
    o 첨단 기술의 통합으로 더욱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재활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됨.
    o 재활 로봇 시장은 2023년부터 2035년까지 연간 약 23%의 CAGR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2년 시장 규모는 8억 달러로 추정되며, 2035년까지 이 시장은 2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3. 웨어러블 로봇 시장:
    o 웨어러블 로봇 시장은 제조, 물류,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증가 중.
    o 안전 강화, 효율성 증대, 재활 지원 등의 목적으로 채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o 웨어러블 로봇 및 외골격 시장은 2023년에 약 1.93조 원(USD 1.93 Billion)에서 2028년에는 약 7.76조 원(USD 7.76 Billion)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시장은 2023년부터 2028년까지 연간 약 32.05%의 CAGR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기술 발전과 응용 분야의 확대로 인해 상당한 성장이 예측됩니다.

3. 재무 성과 (2023.12월 현재)

  • 시가총액: 3,476억 원
  • 시가총액 순위: 코스닥 215위
  • 상장주식수: 17,773,193주
  • 액면가/매매단위: 500원/1주
  • 외국인 보유 현황:
    • 한도주식수(A): 17,773,193주
    • 보유주식수(B): 177,416주
    • 소진율(B/A): 1.00%
  • 52주 최고/최저: 39,500원/5,850원

티로보틱스의 최근 재무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매출액: 2022년 567억원에서 2023년 예상 457억원으로 감소 예상.
  • 영업이익: 지속적인 적자 기록. 2022년 -23억원, 2023년 예상 -37억원.
  • 당기순이익: 2022년 -13억원, 2023년 3분기 -36억원으로 적자 지속.
  • 영업이익률 및 순이익률: 각각 부정적인 수치 지속.
  • 부채비율: 높은 부채비율(2023년 3분기 1,284.82%).
  • 당좌비율: 유동성 관련 지표인 당좌비율 또한 낮은 편.
  • 유보율: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
  • EPS, PER, BPS, PBR: EPS와 PER는 부정적인 수치, BPS와 PBR은 시장가치 대비 자산가치가 낮은 수준을 보임.

4. 사업 전략 및 전망

  • 티로보틱스는 디스플레이용 진공로봇 생산을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이차전지 물류자동화 시스템 및 자율주행 로봇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회사의 기술 다각화와 사업 영역 확장을 반영하는 중요한 동향입니다​​.
  • 티로보틱스는 OLED 진공로봇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으며, 진공이송모듈과 진공로봇이 주요 매출원입니다. 헬스케어 웨어러블, 푸드테크, 자율주행 로봇 분야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자율주행 로봇 분야에서 일본 ZMP와의 협력과 모션디바이스 인수를 통해 기술 고도화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티로보틱스는 헬스케어, 자율주행 분야에서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로봇 개발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SK와의 물류자동화시스템 수주를 계기로 회사의 기술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추가 수주 및 고객사 다변화를 위해 노력 중입니다.

5. 투자자들을 위한 메시지

  • 재무 안정성 우려: 지속적인 영업 및 순이익 적자, 높은 부채비율, 낮은 당좌비율은 재무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 시장 가치 평가: PER 및 PBR 지표는 투자자들에게 비교적 부정적인 시장 가치 평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장기적 위험: 유보율 감소는 회사의 내부적인 성장 가능성과 재투자 능력이 낮아짐을 시사합니다.

2023년 12월 현재 최고점 39500원대비 50%하락한 19560원으로, 일봉은 18000원대에서 지지하며 반등을 모색하는 양상이며, 주봉챠트에서 60일 이동평균선에 근접하며 이평선을 테스트할 것으로 보입니다. 

 

 

 

1. 회사 소개

로보티즈(ROBOTIS)는 다음과 같은 사업 분야를 가지고 있습니다:

  • 실내자율주행로봇: 호텔, 리조트, 고층 빌딩 등에서 물품 배송 서비스를 제공.
  • 실외자율주행로봇(라스트 마일 배송로봇): 택배, 음식 배송 서비스 제공, 딥러닝 AI 기반 환경 감지 및 자율 작동.
  • 로봇 액츄에이터 부품과 지능형 소프트웨어: 모듈형 구동장치, 로봇 관절 구성 및 네트워크 통한 시스템 제어.
  •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초정밀 박형 감속기, 하모닉 감속기 대비 소형, 경량, 내충격성 우수.
  • 오픈 소스 로봇: 로봇 연구자 및 개발자 대상 시스템 제공, 플랫폼 프로바이더 지향.
  • 인공지능교육 및 창의력 개발도구 제공: 교육 및 개발 도구 제공.

로보티즈는 다양한 로봇 관련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하며, 기술 개발과 교육 분야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로보티즈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시가총액: 3,562억 원
  • 시가총액 순위: 코스닥 206위
  • 상장주식수: 12,766,717주
  • 주요 매출 구성: 액츄에이터 및 응용제품(90.74%), 자율주행 로봇(9.26%).
  • 외국인 주식 보유 상황:
    • 한도주식수: 12,766,717주
    • 보유주식수: 217,179주
    • 소진율: 1.70%
  • 52주 최고/최저: 46,450원 / 19,320원
  • PER/EPS (2023.09): N/A / -41원
  • PBR/BPS (2023.09): 3.80배 / 7,358원
  • 배당수익률: N/A

2. 최근 시장 동향

  • 협동로봇 시장 성장: 2021년 한국의 협동로봇 시장 규모는 1,082억 원이었으나, 2022년에는 1,623억 원으로 성장하여 전년 대비 52% 증가했습니다. 이 시장은 연평균 44.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2025년에는 약 5,000억 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3년에는 국내 협동로봇 시장 규모가 2,200억 원, 전체 로봇 시장 규모는 3조 2,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출처:인더스트리뉴스 - 2023 한국 협동로봇 시장 전망 관련 기사 https://www.indust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066)
  • 주요 이슈와 전망: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예비타당성(예타) 사업의 통과 여부가 2023년 한국 로봇산업 성장의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산업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사업으로, 로봇 기술 개발과 테스트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로봇신문사 - 2023 국내 로봇 이슈 전망 관련 기사 http://m.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465).
  • 정부의 장기 계획: 정부는 2030년까지 '미래 먹거리'로서 K로봇 시장을 20조원 규모로 키울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민간과 정부가 합쳐 3조 원 이상을 투자하며, 돌봄과 배송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로봇 100만 대를 보급할 예정입니다(코리아데일리 - '미래 먹거리' K로봇 시장 20조로 키운다 관련 기사 https://news.koreadaily.com/2023/12/14/economy/economygeneral/20231214120049620.html)
  •  

3. 재무 성과

로보티즈의 2022년 9월부터 2023년 9월까지의 분기별 재무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매출액은 2022년 9월 68억원에서 2023년 9월 66억원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계속해서 적자를 기록했으며, 2023년 6월 -17억원에서 9월 -15억원으로 소폭 개선되었습니다.
  • 순이익은 변동이 있었으나, 2023년 9월에는 -6억원의 적자를 보였습니다.
  • 자산총계와 부채총계는 각각 증가 및 감소 추세를 보였으며, 자본총계는 점차 증가했습니다.
  • 현금흐름, ROE, ROA 등의 재무 지표들은 변동성을 보이며, 특히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로보티즈의 2021-2023년 재무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매출액 (억원):
    • 2021: 223.6
    • 2022: 258.6
    • 2023: 290 (예상)
  • 순이익 (억원):
    • 2021: 7.3
    • 2022: -2.2
    • 2023: N/A (아직 제공되지 않음)

4. 사업 전략 및 전망

로보티즈는 서비스 로봇, 우주발사체, 애니메트로닉스, 의료 장비 등 다양한 분야에 로봇용 액추에이터 '다이나믹셀 (DYNAMIXEL)'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각화된 사업 전략은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하며,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로보티즈의 최신 뉴스 요약:

  1. 판다카라반과 업무협약: 로보티즈가 캠핑장에 자율주행 로봇 '누빈다'를 제공하기 위해 판다카라반과 업무협약을 체결함. (출처: 서울경제, 2023.11.27)
  2. 자율주행로봇 ‘개미’: 로보티즈의 자율주행로봇 '개미'가 캠핑장에서 서비스될 예정임. (출처: 매일경제, 2023.11.23)
  3. 지능형 로봇 촉진법 수혜: 지능형 로봇 촉진법 시행으로 로보티즈가 자율주행 로봇 관련 수혜를 기대함. (출처: 아시아경제, 2023.11.23)
  4. 롯데글로벌로지스와 협력: 롯데글로벌로지스와 자율주행 택배배송 실증 사업을 진행함. (출처: 연합뉴스, 2023.11.23)
  5. 실외 배송서비스 시장 공략: 지능형로봇법 시행에 따라 로보티즈가 실외 배송 서비스 시장을 적극 공략함. (출처: 매일경제, 2023.11.17)
  6. 새 액츄에이터 출시: 로보티즈가 새로운 액츄에이터를 선보이며 고객사 유치에 박차를 가함. (출처: 파이낸셜뉴스, 2023.10.25)

5. 투자자들을 위한 메시지

로보티즈의 주식은 기술 혁신과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바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재무적 측면, 특히 영업손실의 증가와 같은 부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장기적인 성장 전략과 R&D 투자의 효과를 면밀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챠트가 알려주는 이야기]

현재 일봉 차트에서 5일 이동평균선, 20일 이동평균선이 모두 120일 이동평균선을 뚫고 올라와 상승추세로 전환되었습니다. 또한 주봉차트에서도 120일 이동평균선을 지지하여 반등하는 모습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