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2024.11.19기준으로 마이크로스트래티지와 마라 홀딩스 중 어디가 더 매수하기 좋은지 비교해보았습니다.

 

배경: 비트코인을 전혀 보유하지 못한 저로서 대안을 찾다 추천받은 마이크로스트래터지와 마라홀딩스 중에서 어딜 투자해야할지 고민하다 정리해본 것입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네이버 증권의 분기별 재무재표 (2023-20204)의 정보를 활용했습니다.

 

클로드 3.5 sonnet이 권장하는 투자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수 전략 (MARA):

  • 진입가격: 현재가 $18.11 근처
  • 1차 목표가: $22 (+21.5%)
  • 2차 목표가: $25 (+38.0%)
  • 손절가: $15.5 (-14.4%)

포지션 관리:

  1. 초기 매수: 총 투자금의 40%
  2. $16 하향 시 추가 30%
  3. $19 상향 돌파 시 추가 30%

리스크 관리:

  • $15.5 선에서 전량 손절
  • 비트코인 가격 급락 시 포지션 축소
  • 일일 변동성 20% 초과 시 당일 매매 자제

 

이상 상승로켓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앱클론. 참 어렵고 힘든 시간인 것 같습니다. 

연기금을 포함한 기관의 연일 매수가 종료된 이후, 전환사채의 물량을 제대로 소화해내지 못하면서 지속적으로 주가가 하락하였습니다. 

 

적절한 호재가 나오지 않는한 어려운 시간을 보내야하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하지만, 종종 발표되는 데이터는 매우 우수한 결과로 희망을 포기하기에는 아직 이른 것 같습니다. 

다음은 일반적인 기술분석을 대쉬보드 형태로 작성해보았습니다. 

 

 

어디까지나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상, 상승로켓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오늘은 최근 AI 반도체에 관심이 집중 및 과열되고 있는 상황에서 저평가되어 아직 상승하지 못하고 있는 종목을 찾아보았습니다. 

애플이 '애플 인텔리젠스'라는 on-device AI에 대한 관심을 한껏 받으면서 관련 수혜주에 대한 관심이 한껏 고조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앞으로 핸드폰을 비롯한 상당한 전자기기, 가전등에 온디바이스 AI가 적용될 것입니다.

따라서, 디바이스 자체에서 인공지능을 돌리게 된다는 것은 전력효율, 발열관리의 문제를 해결해야한다는 의미가 되며, 고성능 보호회로의 수요가 증가한다는 의미가 될 것 같습니다.

 

보호회로의 달인-아이티엠반도체, 온디바이스 AI의 날개를 달까? 

1. 서론

아이티엠반도체 소개 아이티엠반도체는 2000년에 설립된 한국의 2차전지 보호회로 전문 기업입니다. 회사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전자담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는 고성능 보호회로를 제공하며, 2차전지의 과충전 및 과방전 방지를 위한 필수 제품을 생산합니다​ (FN Guide)​​ (아시아경제)​.

 

회사의 역사와 주요 비즈니스 영역 아이티엠반도체는 설립 이후 꾸준히 기술력을 강화하며 성장해 왔습니다. 2018년 베트남 하노이에 제2공장을 준공하고, 2019년 코스닥에 상장했습니다. 주요 비즈니스 영역은 2차전지 보호회로, 전자담배 관련 제품, 그리고 최근 진출한 전기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시장입니다​ (주식(증권) 전종목 - 통합 주식정보)​​ (아시아경제)​.

 

최근 주식 성과와 관심 이유 최근 아이티엠반도체의 주가는 주요 고객사와의 협력 강화 및 신제품 출시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전자담배와 전기차 BMS 사업에서의 성과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FN Guide)​​ (아시아경제)​.

 

전자담배 사업 성장 전망

아이티엠반도체의 전자담배 사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 2022년 매출액: 540억원
  • 2023년 매출액: 960억원
  • 2024년 예상 매출액: 1,584억원

2. 회사 개요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2차전지 보호회로
  • 전자담배 및 액상형 카트리지
  • 전기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시장에서의 위치와 경쟁력 아이티엠반도체는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을 제공하며, 주요 IT 기기 제조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FN Guide)​​ (아시아경제)​.

주요 고객 및 파트너십 주요 고객으로는 KT&G, 북미 지역의 스마트폰 제조사 등이 있으며, 다양한 글로벌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3. 재무 분석

연간 실적 분석

매출액

  • 2021: 5,125억원
  • 2022: 6,335억원 (+23.6% YoY)
  • 2023: 5,805억원 (-8.4% YoY)
  • 2024(E): 6,558억원 (+13.0% YoY)

영업이익

  • 2021: 54억원
  • 2022: -162억원 (적자 전환)
  • 2023: -149억원 (적자 지속)
  • 2024(E): 30억원 (흑자 전환)

당기순이익

  • 2021: 62억원
  • 2022: -213억원 (적자 전환)
  • 2023: -330억원 (적자 확대)
  • 2024(E): -58억원 (적자 축소)

영업이익률

  • 2021: 1.05%
  • 2022: -2.55%
  • 2023: -2.56%
  • 2024(E): 0.46%

주요 지표 분석

  • 영업이익률: 2023년 3분기에 영업이익률이 3.96%로 개선되었으나, 연말에 다시 적자로 전환. 2024년에도 영업이익률 개선이 쉽지 않을 전망.
  • 순이익률: 2023년 3분기에 순이익률 2.91%로 흑자 전환되었으나, 연말에 다시 적자로 전환.
  • 부채비율: 2022년부터 부채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여 2023년에도 높은 수준을 유지.
  • 당좌비율: 2022년에 크게 하락했으나, 2023년 소폭 개선.
  • EPS: 2022년과 2023년 큰 폭의 적자 발생, 2024년에도 적자 지속 예상.

2024년 2분기 실적 분석

아이티엠반도체의 2024년 2분기 실적은 매출액 1,4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영업적자는 24억원으로 지속되고 있지만, 영업이익률은 1.7%로 개선될 전망입니다. 이는 북미 고객사의 스마트폰 신제품향 매출 반영과 국내 고객사의 클램쉘 타입 폴더블폰 보호회로 공급 시작으로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등 주요 재무 지표 아이티엠반도체는 고수익 제품 비중 증가와 전사적 비용 절감 활동을 통해 영업손실을 줄이고 있습니다. 2024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34.4% 증가했으며, 영업손실은 63.2% 감소했습니다​ (FN Guide)​.

 

제품별 매출 전망:

  • 보호회로: 4,173억원 (-1.1% YoY)
  • 전자담배: 1,584억원 (+65% YoY)

전년 대비 수익성 개선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감가상각비 부담 완화 및 유휴 설비 조정
  2. 북미 거래선향 PMP 공급 품목의 수익성 중심 재편
  3. 국내 거래선향 PMP 공급 시작
  4. 수익성 높은 전자담배 관련 매출의 전사 이익 기여도 확대

이러한 개선 포인트들이 하반기에 집중되면서 계절적 성수기와 맞물려 하반기 턴어라운드가 기대됩니다.

4. 시장 및 산업 분석

반도체 시장 동향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와 스마트 기기의 확산으로 2차전지 보호회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Hankyung)​.

글로벌 및 국내 반도체 시장 전망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8%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의 반도체 산업도 이에 맞춰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Hankyung)​.

주요 트렌드와 성장 요인 전기차,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등의 수요 증가가 반도체 산업의 주요 성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Hankyung)​.

아이티엠반도체의 위치 아이티엠반도체는 2차전지 보호회로 분야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자담배 및 전기차 BMS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5. 성장 가능성 및 전략

성장 동력 신제품 출시와 기술 혁신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전자담배와 전기차 BMS 사업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스마트폰 부품 업종 Top Pick 아이티엠반도체는 삼성증권에 의해 스마트폰 부품 업종의 Top Pick으로 제시되었습니다. 이는 온디바이스AI의 출현으로 스마트폰과 보호회로 수요에 대한 기존의 틀이 깨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이티엠반도체의 배터리 보호회로인 PMP는 일반 보호회로 대비 단가가 비싸지만, 배터리의 전력 및 발열 관리에 강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PMP 보호회로의 강점 PMP 보호회로는 배터리의 전력 소모와 발열 관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솔루션입니다. 현재 AI를 활용하는 디바이스들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점이 전력 소모가 크고 발열 관리가 어렵다는 점인데, PMP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국내 고객사의 전격적인 채용 결정으로 2024년 2분기부터 매출이 신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장기 신사업 준비 현황

아이티엠반도체는 중장기적으로 다음과 같은 신성장 동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1. 잠수함용 배터리셀: 2023년 12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수출 잠수함용 셀트레이(용기)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한화오션의 3000t급 잠수함에는 기존 납축전지를 대체한 리튬전지가 탑재되며, 동사는 이를 위한 배터리팩을 공급할 계획입니다. 2027년부터 연간 1,000억원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전장부품: SiP 설계 기술을 기반으로 차량용 통신모듈 SiP 시장에 진출합니다. 사업이 본격적으로 자리잡기까지 시간이 더 필요하겠지만, 기반 기술을 바탕으로 영역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주요 성장 요인

  1. 국내 스마트폰 제조사 내 침투율 확대
  2. 북미 고객사향 실적 안정화
  3. 온디바이스AI용 고부가 제품의 수요 증가 및 비중 확대

 

6. 리스크 분석

잠재적 리스크 요인

실적에 대한 잠재적인 하방 위험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보호회로 관련: 중국을 중심으로 북미 고객사의 스마트폰 수요가 악화될 경우, 보호회로 공급 물동이 예상보다 하회할 수 있으며, 부품 판가 인하 압력이 강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전자담배 관련: 러시아 전쟁 장기화로 인한 공급 차질 가능성은 전자담배 기기 공급 시기 지연 및 물동 감소를 야기할 수 있는 잠재 위험 요소입니다.

7. 투자 의견

종합 평가 아이티엠반도체는 안정적인 재무 성과와 성장 가능성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주요 고객사 매출 의존도와 경쟁 심화 등의 리스크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시아경제)​.

 

아이티엠반도체는 안정적인 재무 성과와 성장 가능성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온디바이스AI와 관련된 고부가 제품의 수요 증가로 인해 주가 상승 흐름이 기대됩니다. 

 

챠트가 들려주는 이야기

위 그림은 주봉챠트입니다. 일봉챠트에서는 4월19일 18420원을 최저점으로 상승으로 돌아섰고, 주봉 챠트 또한 우상향을 그리고 있어 서서히 기지개를 켜는 모습입니다. 온디바이스 AI의 훈풍이 아이티엠반도체에도 영향을 미쳐 120일선의 강한 저항을 뚫고 올라갈 수 있을지 궁금해지는 상황입니다. 모든 추세선이 수렴해나가고 있어 향후 변동이 있을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8. 결론

주요 포인트 요약 아이티엠반도체는 2차전지 보호회로 및 전자담배, 전기차 BMS 분야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향후에도 높은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향후 주목해야 할 사항 향후 기술 혁신과 글로벌 시장 확장 전략에 주목해야 합니다.

 

 

9. 참고자료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이번엔 참 많이 뒤늦었지만 K-뷰티 관련 기업들 중에 상당히 흥미로운 회사가 있어 리뷰를 해보았습니다.

 

1. 기업 분석: 잉글우드랩의 기업 현황과 전략

기업 개요: 잉글우드랩(Englewood LAB)은 2004년 미국 잉글우드에 설립된 고품질 화장품 및 스킨케어 제품을 주로 생산하는 글로벌 뷰티 ODM(Original Design Manufacturer) 및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기업입니다. 회사는 다양한 글로벌 뷰티 브랜드와 협력하여 제품을 개발하며, 특히 고기능성 화장품과 혁신적인 스킨케어 제품을 제조합니다. 잉글우드랩의 토토와 및 인천 공장은 모두 미국 FDA 승인을 받아 OTC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이들 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95% 이상이 미국 현지에서 소비되고 있으며, 한국에도 연구개발 및 생산 시설을 운영하여 글로벌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Global Cosmetic Industry)​. 2018년 6월, 모회사인 코스메카코리아에 인수되었으며, 현재 코스메카코리아가 39%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3 사업보고서에 의하면 잉글우드랩의 주요 제품 매출 요약과 매출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품군 매출액 (억원) 매출 비중 (%)
기초화장품 [Moisturizer, Face cream & other basics] 1,360.45 68.19
기능성화장품 및 의약부외품[SPF, ACNE and BB] 414.63 20.78
색조화장품 150.52 7.54
용역 및 기타매출 69.56 3.49

 

경쟁 우위: 잉글우드랩은 뛰어난 기술력과 혁신적인 연구개발(R&D) 역량을 바탕으로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피부 장벽 강화 및 멀티 유즈 제품 등 최신 K-뷰티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은 글로벌 뷰티 브랜드와의 협력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DrRachelHo)​​(Sensient Beauty)​.

잉글우드랩의 경쟁력 요약

  • 연구개발 및 기술경쟁력:
    • 업계 최고의 경력과 전문성을 가진 연구인력
    • 자외선 차단제 등 OTC 제품 제조에 특화된 경험과 생산시설
    • FDA의 안전성 및 효능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독보적 기술력
  • One-Stop Consulting:
    • FDA 및 수출국가 규제 준수를 위한 컨설팅 제공
    • 국가별 규제 변화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대응
    • 규제 미준수로 인한 금전적 손실 및 평판 악영향 예방
  • 품질관리 및 시스템:
    • 최신 생산설비와 엄격한 유지관리 및 생산절차 통제
    • 제조, 혼합, 배칭, 충진 및 포장 전 과정의 고품질 유지
    • FDA 등 감독기관의 정기적인 검사 수검을 통한 품질 보증

 

전략적 행보: 잉글우드랩은 지속 가능한 화장품 소재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회사는 최근 중국에서 특수 충전 장비를 도입하여 제품 내 '꽃잎'을 포함하는 독특한 효과를 창출하는 등 혁신적인 제품 포맷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는 글로벌 시장 확장을 위해 새로운 제품 형식과 고효능 천연 스틱 비누 등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적 행보를 통해 잉글우드랩은 글로벌 뷰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Global Cosmetic Industry)​.

 
 

잉글우드랩의 연구개발 활동 요약

연구개발 활동 개요:

  • 잉글우드랩은 고객의 요구를 우선적으로 파악하고 업계 내 차별화된 기술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해 전담 조직에서 연구개발(R&D)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담당 조직:

  • 연구소장을 포함한 총 33명의 연구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14명은 잉글우드랩코리아 소속입니다.
  • R&D 담당 이사는 연구개발 조직과 인력을 직접 관리하고, 프로젝트 매니저는 연구원과 영업조직 간의 협업을 조율하며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관리합니다.
  • 연구팀은 특정 연구분야나 고객사에 따라 유기적으로 배정되어 연구를 진행하며, 필요시 고객사, 원료소재 개발업체, 제3의 연구소와 협업합니다.
  • 제도전담인력(Regulatory Compliance Specialist)과 안정성 검사 인력을 포함하여, 글로벌 화장품 원료 규제 및 제품 개발과 관련된 규제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비용:

  • 2023년 연구개발비용: 4,443천 USD (약 5,728.80백만 원)
  • 2022년 연구개발비용: 3,305천 USD (약 4,261.47백만 원)
  • 2021년 연구개발비용: 3,405천 USD (약 4,390.41백만 원)
  • 연구개발비용은 매출액 대비 각각 2.80%, 2.82%, 2.4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보유 인증 및 자격사항:

  • cGMP(Current GMP) Facility 인증 (2005.01)
  • FDA 의약품 제조업체 등록 (2006.01)
  • FDA 의약품 포장업체 등록 (2006.01)
  • FDA 의료기기 제조업체 등록 (2006.01)
  • 뉴저지주 의약품 및 의료기기 제조업체 등록 (2006.01)
  • 뉴저지주 식품 및 화장품 제조업체 등록 (2006.01)
  • 캐나다 FDA 등록 (2011.03)

이와 같은 연구개발 활동을 통해 잉글우드랩은 높은 기술력을 유지하며, 고객의 요구와 글로벌 규제에 부합하는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2. 산업 동향: 뷰티 산업의 전망과 도전

산업 전망: K-뷰티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으며, 이는 잉글우드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피부 장벽 강화, 유기농 및 천연 성분, 멀티 유즈 제품 등 트렌드는 잉글우드랩의 주요 제품 라인과 잘 맞아떨어집니다​ (DrRachelHo)​​ (Sensient Beauty)​.

 

최신 뷰티 트렌드 요약

1) 클린뷰티: 클린뷰티는 인체에 유해성이 의심되는 성분을 배제하고 만들어진 제품을 의미합니다. 최근 소비자들이 제품 성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특히 MZ 세대의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 증가로 클린뷰티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잉글우드랩은 다음과 같은 활동을 통해 클린뷰티 트렌드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 친환경 원료 개발
  • 친환경 인증 확대
  • 재활용 가능한 용기 개발
  • 불필요한 포장 제거
  • 화장품 리필스테이션 운영

2) 뷰티테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온라인 쇼핑이 확대되었고, 뷰티테크 시장이 새로운 프리미엄 뷰티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잉글우드랩은 다양한 혁신 기술을 접목하여 온라인 쇼핑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온라인 및 앱을 통한 피부 측정, 메이크업, 헤어 염색 체험 프로그램 개발
  • 3D 프린터를 활용한 색조 화장품 제조
  • 유전자 분석을 통한 맞춤형 화장품 제조

3) 코스메슈티컬: 코스메슈티컬은 화장품(Cosmetic)과 의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로, 피부재생, 여드름, 안티에이징, 피부질환 등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제품을 의미합니다. 잉글우드랩은 코스메슈티컬 제품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장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 피부재생 및 치료 목적의 제품 개발
  • 여드름 치료 및 예방 제품
  • 안티에이징 제품
  • 피부질환 개선 제품

4) 인디브랜드: 화장품 시장은 대규모 브랜드 중심에서 인디 뷰티 브랜드로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인디 뷰티 브랜드는 설립자가 독립적으로 소유 및 운영하는 브랜드로, 전자 상거래 플랫폼과 소셜미디어의 등장, MZ 세대의 소비 패턴 변화가 이러한 브랜드의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잉글우드랩은 다음과 같은 전략으로 인디브랜드 트렌드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 다양한 온라인 고객사 확보
  • 유망 인디 브랜드 유치를 위한 맞춤형 영업 활동
  • 독립적이고 창의적인 브랜드와의 협력

이와 같은 트렌드를 반영한 잉글우드랩의 혁신적 접근은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잉글우드랩은 글로벌 뷰티 시장에서 더욱 견고한 입지를 다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디 뷰티 트렌드 수혜

잉글우드랩은 최근 인디 뷰티 브랜드와의 대량 수주 증가로 고객사 포트폴리오가 변하고 있습니다. 고객사 수는 2019년 170개에서 2020년 180개, 2021년 210개로 매년 꾸준히 증가했으며, 2022년에도 210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별도법인의 고객사 수도 2019년 105개에서 2022년 130개로 증가했습니다.

특히, 인디 브랜드 트렌드의 수혜를 가장 크게 받고 있는 곳은 잉글우드랩코리아입니다. 2023년 2분기 기준, 잉글우드랩코리아의 상위 3개 고객사(합산 비중 36%)는 모두 최근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인디 브랜드로, 뷰티 플랫폼들의 PB 브랜드 대량 수주가 매출액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잉글우드랩의 주요 긍정적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량 수주에 따른 영업 레버리지 효과
  2. 수출 확대에 따른 계절성 완화
  3. OGM 비중 증가에 따른 마진 개선

 

3. 재무 분석: 잉글우드랩의 펀더멘털 평가

재무 성과: 최근 3년간 잉글우드랩의 매출과 영업이익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제품의 높은 품질과 시장의 수요 증가 덕분입니다.

 

잉글우드랩의 실적 요약 (2023년 vs. 직전연도)

매출액:

  • 2022년: 1,515억 원
  • 2023년: 2,068억 원 (직전 연도 대비 36.5% 증가)

영업이익:

  • 2022년: 99억 원
  • 2023년: 289억 원 (직전 연도 대비 192.9% 증가)

당기순이익:

  • 2022년: 73억 원
  • 2023년: 207억 원 (직전 연도 대비 183.6% 증가)

영업이익률:

  • 2022년: 6.52%
  • 2023년: 13.95% (영업이익률 개선)

순이익률:

  • 2022년: 4.79%
  • 2023년: 10.03% (순이익률 개선)

ROE(지배주주):

  • 2022년: 8.35%
  • 2023년: 19.95% (수익성 개선)

유보율:

  • 2022년: 1,393.85%
  • 2023년: 1,713.76% (유보율 증가)

EPS(주당순이익):

  • 2022년: 366원
  • 2023년: 1,044원 (직전 연도 대비 185.2% 증가)

PER(주가수익비율):

  • 2022년: 13.92배
  • 2023년: 12.77배 (평가 개선)

BPS(주당순자산):

  • 2022년: 4,682원
  • 2023년: 5,784원 (자산가치 증가)

PBR(주가순자산비율):

  • 2022년: 1.09배
  • 2023년: 2.30배 (평가 증가)

주당배당금:

  • 2023년: 101원 (배당률 0.76%, 배당성향 9.68%)

분석 요약

  • 매출과 이익의 큰 폭 증가: 2023년 잉글우드랩은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에서 전년 대비 큰 폭의 증가를 기록하였습니다.
  • 수익성 개선: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이 모두 개선되었으며, ROE도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 재무 건전성: 당좌비율과 유보율이 증가하여 유동성과 재무 건전성이 개선되었습니다.
  • EPS 및 BPS 상승: 주당순이익(EPS)과 주당순자산(BPS) 모두 증가하여 주주 가치가 높아졌습니다.
  • PER 및 PBR 변화: 주가수익비율(PER)과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변화하며 시장에서의 평가가 반영되었습니다.
  • 배당: 2023년에는 주당 101원의 배당금을 지급하였으며, 이는 회사의 배당정책을 반영한 것입니다.

잉글우드랩의 2023년 실적은 전년 대비 큰 폭의 성장을 보여주며, 수익성 및 재무 건전성이 크게 개선된 점이 특징입니다

 

밸류에이션: 잉글우드랩의 현재 PER 및 PBR 평가는 시장 평균과 비교할 때 합리적인 수준에 위치해 있으며, 이는 회사의 안정적인 성장 가능성을 반영합니다.

 

성장 전망: 2025년까지 잉글우드랩의 매출 및 영업이익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K-뷰티 시장의 성장과 함께 회사의 제품 라인이 잘 맞아떨어지기 때문입니다.

4. ESG 평가: 지속 가능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환경적 기여: 잉글우드랩은 친환경 소재 사용과 생산 과정에서의 에너지 효율성 증대를 통해 환경적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와 일치합니다.

사회적 책임: 잉글우드랩은 사회적 책임을 중요하게 여기며, 다양한 사회적 기여 활동과 윤리적 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지배구조: 이사회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독립성과 전문성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5. 챠트가 들려주는 이야기

 5월24일 기준 주가는 22550원으로 역사적으로 최고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무리 좋은 주식이고, K-뷰티가 대세라고 하지만 최고점에서 매수는 항상 망설여지는 부분입니다. 특히 갖은 기사들이 다 호재성발언을 쏟아내고 있는 이시점에서는 그저 바라만 볼 뿐입니다.

잉글우드랩은 무척 매력적인 회사라고 생각이 듭니다. 따라서 관심은 가지고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6. 투자 의견 및 위험 요인

투자 매력: 현재 주가 대비 잉글우드랩은 투자 매력은 그리 높지 않는다고 판단됩니다. 회사의 안정적인 재무 성과와 미래 성장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하락시 분할 매수가 어느 정도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잉글우드랩, 너무 늦게 알게되었다는 것이 아쉬움으로 다가오는 주식이었습니다. 그저 바라만 볼 수 밖에 없는 아름다운 미인이라고나 할까요^^?

 

이상 상승로켓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지난번 글에서 앱클론을 기관과 연기금 등이 연속 순매수한 이후 주가가 변동이 생길 것이라 예상하는 글을 올렸습니다. 

https://stock-road-82.tistory.com/26

 

 

앱클론 - 기관, 연기금 연속 순매수: 상승 준비중?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저의 매수 종목에 들어있는 앱클론의 투자자별 매매현황을 1-2주전부터 심상치 않게 보고 있습니다. 기관, 연기금등에서 조금씩 매일 매수 중인 것을 알게 되었습

stock-road-82.tistory.com

 

연속 매수가 종료될 시점에 주가가 1만3천원 초반까지 하락해서 좀 시간이 걸릴 것이라 생각했는데 금일 다음과 같은 기사와 함께 급등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역시 뭔가가 있었군요. 이렇게 항상 기관과 언론의 유기적인 움직임에 개인 투자자들은 항상 뒤늦게 뛰어드는 셈입니다. 

하지만 앱클론의 미래는 아직 시작도 하지 않은 상태라 시간적 여유가 있으신 분들은 관심을 가져볼 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003832

 

앱클론, 제2의 HLB 가능성…中 위암 로열티+CAR-T 성과 기대 '강세'

앱클론이 코스닥 시가총액 3위인 HLB의 주가 급등 초창기 때와 비슷하다는 분석에 상승세다. 26일 오전11시2분 현재 앱클론은 전일대비 6.44% 오른 1만4370원에 거래 중이다. 이날 한 매체는 앱클론의

n.news.naver.com

 

 

이상 상승로켓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저의 매수 종목에 들어있는 앱클론의 투자자별 매매현황을 1-2주전부터 심상치 않게 보고 있습니다. 

기관, 연기금등에서 조금씩 매일 매수 중인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주가를 올리지 않으면서 매수중이라는 것은 뭔가 매집을 조용히 해야할 이유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다음과 같은 기사가 떴습니다.

15일간 계속 매수중이고 거의 10만주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그동안의 앱클론 챠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20선을 지지하며 아주 조금씩 우상향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표가 나지 않게 매수중인 셈이죠.

아마도 기관 및 연기금의 매수가 완료될 때 쯤 주가의 움직임이 커지지 않을까 전망해봅니다... 

 

 

 

앱클론에 대한 정보는 이전 저의 글을 참고하세요~

 

https://stock-road-82.tistory.com/5

 

앱클론(174900)

최초 작성일: 2023.12.19. 종합 분석 요약 앱클론은 중소규모의 바이오/제약 기업으로, 현재 순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주가는 상당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시장에서는 자산가치

stock-road-82.tistory.com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오픈AI의 chatGPT의 유료버전을 사용하면서 이렇게 유료 구독을 하는 것 중에 가장 만족감을 느끼고 최대한 사용한 서비스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모든 것을 잘 해내는 비서를 월 20달러 수준으로 고용한 느낌입니다.

 

그런 오픈AI의 대규모 언어모델이 탑재된 로봇이 나오면 참 대단하겠다는 생각을 하던 차에 오픈AI가 투자한 로봇회사에 대한 기사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그야말로 비약적인 로봇의 발전이 멀지 않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1X technolgy

 

https://youtu.be/yauNW4C-Tfo?si=oh-MP43yXxo5azo3

 

1X Technologies는 인간과 함께 일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를 설계하여 세계의 노동 수요를 충족시키고 풍요로운 사회를 구축하고자 하는 기업이라고 소개가 되어 있습니다.

2014년 베른트 오이빈드 베르니히 CEO에 의해 처음으로 설립된 이 회사는 당초 Halodi Robotics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으며, 노르웨이를 기반으로 한 이후 글로벌로 확장해 나갔습니다. 

 

1X의 주요 안드로이드 제품은 EVE와 NEO입니다. 위 유튜브 동영상은 EVE 제품에 대한 최신 동영상입니다. EVE는  바퀴 달린 안드로이드로, 물류부터 소매까지 다양한 분야의 팀과 함께 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반면 NEO는 현재 개발 중인 이족 보행 안드로이드로, 산업 작업부터 가정 보조 및 동반자 역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를 목표로 합니다. 두 모델 모두 안전을 우선시하며, 실제 세계 시나리오에서 테스트된 부드럽고 유기적으로 영감을 받은 메커니즘을 특징으로 하여 인간의 공간에 적합하도록 보장한다고 설명합니다

​​​​https://www.1x.tech/androids/neo

 

NEO by 1X Technologies | Your Intelligent Android Assistant

Safe, balanced, and smart: NEO is your intelligent android assistant. Learn more about 1X’s next innovation in humanoid robotics, currently in development.

www.1x.tech

 

2022년 OpenAI와의 파트너십은 특히 주목할 만한 순간으로, 첨단 AI와 고급 로보틱스를 결합하여 구현된 학습을 강화하는 회사의 야심 찬 비전을 반영합니다​​. 작년 테슬라 자동차 조립에 자체 로봇을 사용하고, 3천만원대의 로봇을 양산할 것이라는 머스크의 말이 허풍이 아닐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당분간은 로봇 관련기업의 투자를 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이 들겠지만 이미 올라타기에는 너무도 높은 상태가 아닐 수 없습니다. 해외 로봇관련 ETF로는 BOTZ가 있습니다.

 

한국의 로봇의 기술수준과 비교해볼 때 그 격차가 크지 않나 생각합니다. 

국내 로봇 관련 ETF보다는 해외 로봇 관련 ETF인 BOTZ가 더 나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https://www.globalxetfs.com/funds/botz/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ETF

The Global X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ETF (BOTZ) seeks to invest in companies that stand to benefit from increased adoption of robotics and AI

www.globalxetfs.com

 

국내 로봇관련주에 대한 리뷰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stock-road-82.tistory.com/13

 

로봇 산업의 성장을 포트폴리오에 담다: 로봇 관련 ETF 투자 가이드

안녕하세요, 스탁로드의 상승로켓입니다. 오늘은 로봇 관련 ETF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로봇 관련 ETF란? 미래 성장 분야로 인공지능, 로봇, 전기차-자율주행, 이차전지 분야를 떠올리긴 쉽고 다

stock-road-82.tistory.com

 

노동시장에 큰 변화 또는 산업혁명에 준하는 혁명의 시대가 곧 도래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유토피아 또는 디스토피아가 될 가까운 미래에 우리 인간은 어떤 존재로 살아남을까요?

 

 

 

안녕하세요 상승로켓입니다. 

 

오늘은 별다른 매매를 진행하지 못하면서 그저 바라만 보고 있는 저를 돌아봤습니다. 

놀라운 상승세: 테마주의 급등과 투자자의 고민

작년 저점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많은 주식들이 상당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헬스케어, 바이오와 같은 테마주들의 상승세는 무섭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투자자들은 '지금 들어가기엔 부담스럽다'는 생각을 할 수밖에 없다.

 

경기가 어렵다고 해도 오를 종목들은 이미 조용히 오른 상태이다. 테마주를 보유하지 않은 필자와 같은 투자자들은 상당한 소외감을 느낄 수 밖에 없을 것 같다.

단기 급등주의 유혹: 실적과 무관한 상승


실적과 상관없이 급등한 주식들도 적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자칫 조급한 마음에 잘못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어려운 경기 속에서의 투자 자세

마침 다음과 같은 헤드라인의 기사가 눈에 들어왔다.

 

오늘의 헤드라인에도 나온 것처럼, 테마주에서 수익을 낸 투자금은 또 다른 종목군으로 이동하며 새로운 테마를 형성한다. 이런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조급한 마음에 올바른 매수·매도 타이밍을 놓칠 위험이 크다.

순환매

 

경기가 어려운 시기에는 이와 같이 실적보다는 테마 위주의 상승세가 이어질 때가 많다. 이런 상황에서 필요한 투자 자세는 무엇일까? 단기적인 수익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조급함과 후회: 투자의 시기와 전략

테마주에 뒤늦게 투자하고 조급한 마음에 잘못된 결정을 내리는 것은 투자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다. 중요한 것은 시장의 타이밍을 정확히 파악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다.

현명한 1월 보내기: 보유 주식의 재평가 - 포트폴리오 조정

1월은 현재 보유 중인 주식들을 차근차근 들여다보고, 비중을 조정하는 데 좋은 시기다. 힘들고 소외되어 괴로울 수 있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투자 시장은 언제나 변화무쌍하며, 특히 테마주 시장은 그 변동성이 더욱 크다. 하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안정적인 전략을 구축하고, 단기적인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의 시장 상황을 이해하고, 현명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투자의 성공으로 이끄는 길이 될 것이다.

 

 

 

안녕하세요, 스탁로드의 상승로켓입니다.  오늘은 바이오디젤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바이오디젤의 정의

바이오디젤은 재생 가능한 자원에서 생산되는 친환경 연료이다. 이는 식물성 기름, 동물성 지방, 심지어 사용한 식용유를 원료로 하여 화석 연료의 대체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디젤은 디젤 엔진에서 직접 사용 가능하며, 기존 디젤 연료와 혼합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바이오디젤의 역할과 중요성: 바이오디젤은 식물성 유지, 동물성 지방을 활용한 지방산에틸에스테르로, 자동차용 경유에 혼합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석유대체연료이다. 이는 환경 보호 및 에너지 다양화에 기여하며, 바이오디젤 산업의 성장을 촉진한다. 출처: 한국바이오연료포럼

바이오디젤, 선박유, 항공유: 미래 에너지 시장의 성장 전망

환경 규제 강화와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바이오디젤 시장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유럽, 북미,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바이오디젤 의무혼합비율 상향 조정: 정부는 2030년까지 일반 경유와 혼합해 사용하는 바이오디젤의 의무혼합비율 목표를 현재 5%에서 8%로 상향 조정할 계획이다. 출처: 에너지타임즈
  • 바이오항공유와 바이오선박유 도입 추진: 바이오항공유와 바이오선박유는 실증을 거쳐 빠른 시일 내에 국내에 도입될 예정이다. 바이오선박유는 2025년, 바이오항공유는 2026년 도입이 목표로 설정되어 있다. 이는 국내 에너지 시장의 다양화와 친환경 에너지원 확대를 위한 중요한 단계이다. 출처: 이투뉴스

시장 규모의 전망

글로벌 바이오 에너지 시장은 2022년 4344억 7000만 달러에서 2030년까지 8041억 8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연평균 8.0%의 성장률을 나타내며, 바이오디젤 시장의 성장 잠재력을 강조한다. 특히, 바이오디젤 시장은 2021년 320억 5천만 달러에서 2030년에는 755억 7천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연평균 9.9%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 연료의 국내 생산량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에너지통계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투자 기회

바이오디젤 산업의 성장은 바이오디젤 생산업체, 원료 공급업체, 관련 기술 개발 기업들의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기업들은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원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주요 바이오디젤 관련 기업들

  • 제이씨케미칼: 제이씨케미칼은 바이오디젤의 주요 고객사로 SK에너지와 S-Oil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바이오중유의 주요 고객사로는 한국중부발전 및 한국남부발전의 제주기력발전소가 있다. 이 회사는 바이오디젤과 바이오중유의 제조 및 판매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출처: 제이씨케미칼 공시자료] https://stock-road-82.tistory.com/7
  • GS칼텍스: GS칼텍스는 바이오선박유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바이오유 시장에 진출했다. 이 회사는 바이오디젤 연간 10만 톤을 생산하며, 바이오선박유와 바이오항공유 등 차세대 바이오연료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출처: GS칼텍스 공식 블로그
  • 에코바이오: 에코바이오는 매립가스 및 바이오가스 관련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으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여 바이오디젤 관련주로 부각되고 있다. 출처: 네이버 블로그
  • 이외에 친환경·바이오 사업에 속도를 내는 애경케미칼(161000), SK케미칼(285130) 등도 주목할 기업이다(출처 : 이코노믹리뷰(https://www.econovill.com))

리스크 관리

바이오디젤 투자는 원료 가격 변동성, 정부 정책 및 규제 변화, 기술적 진보 등의 리스크를 내포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요소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한다.

결론

바이오디젤은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이 산업의 성장은 주식 시장에서 새로운 투자 기회를 제공하며, 투자자들에게는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가진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투자에 앞서 리스크를 충분히 고려하고, 지속적인 시장 분석을 통해 현명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 Recent posts